DOI QR코드

DOI QR Code

복합쇼핑몰 '롯데몰 수원점'에 대한 거리 접근성이 수원시 권선구 내 인근 아파트가격에 미친 효과

The Effects of Distance-Accessibility to the Complex Shopping Mall of 'Lotte Mall-Suwon' on the Prices of Its Neighboring Apartments within the Gwonseon-gu of Suwon City

  • 정준호 (강원대학교 부동산학과)
  • Jeong, Jun Ho (Department of Real Estat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9.11.18
  • 발행 : 2019.12.31

초록

본 연구는 경기 이남의 역세권과 구도심에 위치한 '롯데몰 수원점'을 사례로 위계선형-이중차분법을 활용하여 거리 접근성이 권선구 내 주변 아파트가격에 미친 효과를 분석한다. 이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사 이전에는 거리 접근성 효과가 U자형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수원역 주변의 소음과 교통 혼잡 등에 따른 부정적 외부효과가 권선구 내 주변 아파트가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공사 기간과 개점 이후 등 상이한 시점에 따른 거리 접근성 효과는 후자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개점 이전과는 달리 역 U자형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개점 이후에는 복합쇼핑몰과 근거리 구간에서는 그것이 여가·편의공간으로 인식되는 외부효과가 권선구내 주변 아파트가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거리 접근성 효과는 약 1.6-1.7km 내외에서 변곡점을 이루고 있다. 공사 이전에는 U자형의 거리조락 현상을, 반면에 개점 이후에는 역 U자형의 패턴을 보여주고 있다. 후자는 복합쇼핑몰과 매우 인접한 권선구 내 아파트들이 상대적으로 적은 정(+)의 외부효과를 향유한다는 것, 즉 이들은 소음과 교통 혼잡의 부정적인 외부효과에 일정 정도 노출되어 있지만 거리가 어느 정도 떨어진 권선구내 아파트들은 이러한 정(+)의 외부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는 것을 함의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들은 전체적으로 복합쇼핑몰에 대한 거리 접근성 효과가 입지별로 차별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effects of distance-accessibility to the complex shopping mall of 'Lotte Mall-Suwon', located at the old central and catchment district of the Suwon station in the Province of Gyeonngi, on the prices of its neighboring apartments within the Gwonseon-gu of Suwon City by using the hierarchical and linear-difference in difference regression metho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before construction the effects of distance-accessibility show the U-shaped pattern, suggesting that the negative external effects of noise and traffic congestion around the Suwon Station affected the prices of its neighboring apartments within the Gwonseon-gu of Suwon City. Second, the effects of distance-accessibility at different times, such as the construction period and after the opening,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in the latter, indicating the reverse U-shaped pattern unlike before the opening. This means that after the opening of the complex shopping mall its external effects as a leisure and convenience space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rices of its neighboring apartments within the Gwonseon-gu of Suwon City. Third, the effects of distance-accessibility is at an inflection point around 1.6-1.7 kilometers, which means that the U-shaped distance-decay pattern before construction, while the reverse U-shaped pattern is shown after the opening of opening. The latter implies that apartments that are very close to the mall within the Gwonseon-gu of Suwon City enjoy relatively small positive externalities. Therefore, they are exposed to some negative external effects of noise and traffic congestion, but apartments with some distance apart within the Gwonseon-gu of Suwon City maximize those positive externali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s to distance-accessibility are different from location to lo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구자웅.송예나, 2016, "도시철도 역세권의 지가분포 변동: 광주시 사례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3), pp.423-436.
  2. 김소연.이금숙, 2006, "시간거리 접근성 카토그램 제작 및 접근성 공간구조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9(2), pp.149-166.
  3. 박인권.이민주, 2014, "도시농업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효과 분석: 서울시 강동구 '친환경 도시텃밭' 조성사례," 국토연구 80, pp.101-116. https://doi.org/10.15793/KSPR.2014.80..007
  4. 박종수.이금숙, 2015, "교통카드 빅데이터 기반의 서울 버스 교통망 시간거리 접근성 산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4), pp.539-555.
  5. 신수현.최형석.심교언, 2013, "도심형 복합 상업시설이 주변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부동산학보 54, pp.60-73.
  6. 양준석, 2017, "공공임대주택이 주변 전세시장에 미치는 효과: 서울시 장기 전세주택(SHIFT)의 경우,"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3), pp.403-416. https://doi.org/10.23841/EGSK.2017.20.3.403
  7. 이금숙.김경민.송예나, 2010, "복합용도개발과 교통이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3(4), pp.515-528.
  8. 이현지.임슬기.이수형, 2017, "보금자리주택지구 지정이 주변지역 아파트 매매가격에 미치는 영향," 한국재정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1-41.
  9. 중소기업연구원, 2007, "파급력 큰 복합쇼핑몰: 내몰림효과와 빨대효과," KOSBI 제17-16호, 서울.
  10. 최형석, 2014, "도심형 복합 상업시설의 주변지가 파급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영등포 타임스퀘어를 중심으로," 부동산학보 58, pp.60-71.
  11. Kholdy, S., Muhtaseb, M. and Yu, W., 2014, "Effect of an Open-air, Mixed-use Shopping Center on the Price of Nearby Residential Properties," Journal of Real Estate Practice and Education 17(1), pp.1-18. https://doi.org/10.1080/10835547.2014.12091731
  12. Moulton, B. R., 1990, "An Illustration of a Pitfall in Estimating the Effects of Aggregate Variables on Micro Units,"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72(2), pp. 334-338. https://doi.org/10.2307/2109724
  13. Nichols, A. and Schaffer, M., 2007, "Clustered Standard Errors in Stata," Proceeding of United Kingdom Stata Users' Group Meetings, London: Stata Users' Group.
  14. Radenbush, S. W., 1993, "Hierarchical Linear Models and Experimental Design," in Lynne, K. E.(ed.), Applied Analysis of Variance in Behavioral Science, New York: Marcel Dekker, pp.459-496.
  15. Voicu, I. and Been, V., 2008, "The Effect of Community Gardens on Neighboring Property Values," Real Estate Economics 36(2), pp.241-283. https://doi.org/10.1111/j.1540-6229.2008.00213.x
  16. Wooldridge, J. M., 2010, Econometric Analysis of Cross Section and Panel Data (2nd ed.), Cambridge, MA: The MIT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