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howing Filial Piety: Ancestral Burial Ground on the Inwangsan Mountain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과시된 효심: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인왕선영도(仁旺先塋圖)> 연구

  • Lee, Jaeho (Fine Arts Division, National Museum of Korea)
  • 이재호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 Received : 2019.09.20
  • Accepted : 2019.11.22
  • Published : 2019.12.20

Abstract

Ancestral Burial Ground on the Inwangsan Mountain is a ten-panel folding screen with images and postscripts. Commissioned by Bak Gyeong-bin (dates unknown), this screen was painted by Jo Jung-muk (1820-after 1894) in 1868. The postscripts were written by Hong Seon-ju (dates unknow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restored this painting, which had been housed in the museum on separate sheets, to its original folding screen format. The museum also opened the screen to the public for the first time at the special exhibition Through the Eyes of Joseon Painters: Real Scenery Landscapes of Korea held from July 23 to September 22, 2019. Ancestral Burial Ground on the Inwangsan Mountain depicts real scenery on the western slopes of Inwangsan Mountain spanning present-day Hongje-dong and Hongeun-dong in Seodaemun-gu, Seoul. In the distance, the Bukhansan Mountain ridges are illustrated. The painting also bears place names, including Inwangsan Mountain, Chumohyeon Hill, Hongjewon Inn, Samgaksan Mountain, Daenammun Gate, and Mireukdang Hall. The names and depictions of these places show similarities to those found on late Joseon maps. Jo Jung-muk is thought to have studied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marked on maps so as to illustrate a broad landscape in this painting. Field trips to the real scenery depicted in the painting have revealed that Jo exaggerated or omitted natural features and blended and arranged them into a row for the purposes of the horizontal picture plane. Jo Jung-muk was a painter proficient at drawing conventional landscapes in the style of the Southern School of Chinese painting. Details in Ancestral Burial Ground on the Inwangsan Mountain reflect the painting style of the School of Four Wangs. Jo also applied a more decorative style to some areas. The nineteenth-century court painters of the Dohwaseo(Royal Bureau of Painting), including Jo, employed such decorative painting styles by drawing houses based on painting manuals, applying dots formed like sprinkled black pepper to depict mounds of earth and illustrating flowers by dotted thick pigment. Moreover, Ancestral Burial Ground on the Inwangsan Mountain shows the individualistic style of Jeong Seon(1676~1759) in the rocks drawn with sweeping brushstrokes in dark ink, the massiveness of the mountain terrain, and the pine trees simply depicted using horizontal brushstrokes. Jo Jung-muk is presumed to have borrowed the authority and styles of Jeong Seon, who was well-known for his real scenery landscapes of Inwangsan Mountain. Nonetheless, the painting lacks an spontaneous sense of space and fails in conveying an impression of actual sites. Additionally, the excessively grand screen does not allow Jo Jung-muk to fully express his own style. In Ancestral Burial Ground on the Inwangsan Mountain, the texts of the postscripts nicely correspond to the images depicted. Their contents can be divided into six parts: (1) the occupant of the tomb and the reason for its relocation; (2) the location and geomancy of the tomb; (3) memorial services held at the tomb and mysterious responses received during the memorial services; (4) cooperation among villagers to manage the tomb; (5) the filial piety of Bak Gyeong-bin, who commissioned the painting and guarded the tomb; and (6) significance of the postscripts. The second part in particular is faithfully depicted in the painting since it can easily be visualized. According to the fifth part revealing the motive for the production of the painting, the commissioner Bak Gyeongbin was satisfied with the painting, stating that "it appears impeccable and is just as if the tomb were newly built." The composition of the natural features in a row as if explaining each one lacks painterly beauty, but it does succeed in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geomantic topography of the gravesite. A fair number of the existing depictions of gravesites are woodblock prints of family gravesites produced after the eighteenth century. Most of these are included in genealogical records and anthologies. According to sixteenth- and seventeenth-century historical records, hanging scrolls of family gravesites served as objects of worship. Bowing in front of these paintings was considered a substitute ritual when descendants could not physically be present to maintain their parents' or other ancestors' tombs. Han Hyo-won (1468-1534) and Jo Sil-gul (1591-1658) commissioned the production of family burial ground paintings and asked distinguished figures of the time to write a preface for the paintings, thus showing off their filial piety. Such examples are considered precedents for Ancestral Burial Ground on the Inwangsan Mountain. Hermitage of the Recluse Seokjeong in a private collection and Old Villa in Hwagae County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re not paintings of family gravesites. However, they serve as references for seventeenth-century paintings depicting family gravesites in that they are hanging scrolls in the style of the paintings of literary gatherings and they illustrate geomancy. As an object of worship, Ancestral Burial Ground on the Inwangsan Mountain recalls a portrait. As indicated in the postscripts, the painting made Bak Gyeong-bin "feel like hearing his father's cough and seeing his attitudes and behaviors with my eyes." The fable of Xu Xiaosu, who gazed at the portrait of his father day and night, is reflected in this gravesite painting evoking a deceased parent. It is still unclear why Bak Gyeong-bin commissioned Ancestral Burial Ground on the Inwangsan Mountain to be produced as a real scenery landscape in the folding screen format rather than a hanging scroll or woodblock print, the conventional formats for a family gravesite paintings. In the nineteenth century, commoners came to produce numerous folding screens for use during the four rites of coming of age, marriage, burial, and ancestral rituals. However, they did not always use the screens in accordance with the nature of these rites. In the Ancestral Burial Ground on the Inwangsan Mountain, the real scenery landscape appears to have been emphasized more than the image of the gravesite in order to allow the screen to be applied during different rituals or for use to decorate space. The burial mound, which should be the essence of Ancestral Burial Ground on the Inwangsan Mountain, might have been obscured in order to hide its violation of the prohibition on the construction of tombs on the four mountains around the capital. At the western foot of Inwangsan Mountain, which was illustrated in this painting, the construction of tombs was forbidden. In 1832, a tomb discovered illegally built on the forbidden area was immediately dug up and the related people were severely punished. This indicates that the prohibition was effective until the mid-nineteenth century. The postscripts on the Ancestral Burial Ground on the Inwangsan Mountain document in detail Bak Gyeong-bin's efforts to obtain the land as a burial site. The help and connivance of villagers were necessary to use the burial site, probably because constructing tombs within the prohibited area was a burden on the family and villagers. Seokpajeong Pavilion by Yi Han-cheol (1808~1880), currently housed at the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is another real scenery landscape in the format of a folding screen that is contemporaneous and comparable with Ancestral Burial Ground on the Inwangsan Mountain. In 1861 when Seokpajeong Pavilion was created, both Yi Han-cheol and Jo Jung-muk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of a portrait of King Cheoljong. Thus, it is highly probable that Jo Jung-muk may have observed the painting process of Yi's Seokpajeong Pavilion. A few years later, when Jo Jungmuk was commissioned to produce Ancestral Burial Ground on the Inwangsan Mountain, his experience with the impressive real scenery landscape of the Seokpajeong Pavilion screen could have been reflected in his work. The difference in the painting style between these two paintings is presumed to be a result of the tastes and purposes of the commissioners. Since Ancestral Burial Ground on the Inwangsan Mountain contains the multilayered structure of a real scenery landscape and family gravesite, it seems to have been perceived in myriad different ways depending on the viewer's level of knowledge, closeness to the commissioner, or viewing time. In the postscripts to the painting, the name and nickname of the tomb occupant as well as the place of his surname are not recorded. He is simply referred to as "Mister Bak." Biographical information about the commissioner Bak Gyeong-bin is also unavailable. However, given that his family did not enter government service, he is thought to have been a person of low standing who could not become a member of the ruling elite despite financial wherewithal. Moreover, it is hard to perceive Hong Seon-ju, who wrote the postscripts, as a member of the nobility. He might have been a low-level administrative official who belonged to the Gyeongajeon, as documented in the Seungjeongwon ilgi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the Joseon Dynasty). Bak Gyeong-bin is presumed to have moved the tomb of his father to a propitious site and commissioned Ancestral Burial Ground on the Inwangsan Mountain to stress his filial piety, a conservative value, out of his desire to enter the upper class. However, Ancestral Burial Ground on the Inwangsan Mountain failed to live up to its original purpose and ended up as a contradictory image due to its multiple applications and the concern over the exposure of the violation of the prohibition on the construction of tombs on the prohibited area. Forty-seven years after its production, this screen became a part of the collection at the Royal Yi Household Museum with each panel being separated. This suggests that Bak Gyeong-bin's dream of bringing fortune and raising his family's social status by selecting a propitious gravesite did not come true.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인왕선영도(仁旺先塋圖)>(덕수5520)는 그림과 발문(跋文) 열 폭으로 이루어진 병풍으로, 작가는 조중묵(趙重黙)(1820~1894 이후), 주문자는 박경빈(朴景彬)(생몰년 미상), 발문을 쓴 사람은 홍선주(洪善疇)(생몰년 미상), 제작연대는 1868년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은 낱장으로 보관되어 온 <인왕선영도>를 병풍으로 복원하고 특별전 '우리 강산을 그리다: 화가의 시선, 조선시대 실경산수화'에서 최초로 공개하였다. <인왕선영도>에는 오늘날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동과 홍은동을 아우르는 인왕산 서쪽 실경이 묘사되어있고 원경에는 북한산 연봉이 그려져 있다. 화면 속에는 인왕산(仁旺山), 추모현(追慕峴), 홍재원(弘濟院), 삼각산(三角山), 대남문(大南門), 미륵당(彌勒堂)이라는 지명이 표기되어있다. 이 지역을 나타낸 조선후기 지도와 비교해보면 지형 표현과 지명 표기에 유사성이 있다. 조중묵은 넓은 공간을 포착하기 위해 지도의 지리정보를 숙지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실경의 현장을 답사한 결과, 조중묵은 각각의 경물을 과장하거나 생략하였고 수평의 화면에 나열식으로 조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조중묵은 남종화풍 정형산수에 뛰어났던 화가로, <인왕선영도>의 세부 표현에서 사왕파(四王派) 화풍의 영향을 찾을 수 있다. 19세기 도화서 화원들이 화보를 활용하여 가옥을 그리거나 토파에 호초점을 찍고 당분법(撞粉法)으로 꽃을 나타내는 등 장식적인 화풍을 구사한 경향도 부분적으로 나타난다. <인왕선영도>에는 바위를 짙은 먹으로 쓸어내리듯 붓질한 기법, 산세의 괴량감, 가로로 붓을 대어 단순하게 그린 소나무 등 18세기 정선(鄭敾)(1676~1759)의 개성적 양식도 가미되어있다. 조중묵은 인왕산 실경산수로 유명한 정선의 양식과 권위를 차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인왕선영도>는 유기적 공간감과 현장의 인상이 잘 드러나지 않으며, 연폭 화면이라는 매체도 조중묵의 개인 양식과 잘 어울리지 않는다. <인왕선영도>는 발문의 텍스트와 화면의 이미지가 잘 조응하는 작품이다. 발문의 내용을 여섯 단락으로 나누어 보면 ①무덤의 주인공과 이장 경위, ②무덤의 입지와 풍수, ③묘제(墓祭)와 신이(神異)한 응답, ④무덤 관리에 대한 마을 사람들의 협력, ⑤병풍 제작의 동기인 박경빈의 효성과 수묘(守墓), ⑥발문을 쓴 의의로 파악된다. 이 가운데 화면에서 시각적으로 구현하기 용이한 ②의 내용은 화면에 충실하게 재현되었다. <인왕선영도> 제작의 직접적 동기인 ⑤를 보면 주문자 박경빈이 "무덤이 마치 새롭게 단장한 것 같이 눈에 완연하다."라 하여 <인왕선영도>에 만족했음을 알 수 있다. 경물 하나하나를 설명하듯 나열한 구도는 회화미는 떨어지더라도 무덤의 풍수지리를 전달하는 데는 더 적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존하는 상당수의 산도(山圖)는 18세기 이후 제작된 목판본 선영도로서, 족보와 문집에 수록된 경우가 많다. 16~17세기의 기록에서는 족자 선영도를 첨배(瞻拜)의 대상으로 삼은 사례를 찾을 수 있다. 선영도 첨배는 현실적으로 수묘(守墓)가 곤란할 때 이를 대신할 수 있는 의례로 인정되었다. 한효원(韓效元)(1468~1534), 조실구(曺實久)(1591~1658) 등이 선영도를 제작한 후 당대의 명사에게 서문을 요청하고 효심을 과시한 사례는 <인왕선영도>의 선구가 된 것으로 추정된다. <석정처사유거도(石亭處士幽居圖)>(개인 소장), <화개현구장도(花開縣舊莊圖)>(국립중앙박물관) 등은 선영도는 아니지만 계회도 형식의 족자이고 풍수를 도해했다는 점에서 17세기 선영도의 모습을 유추할 수 있는 자료가 된다. <인왕선영도>는 첨배라는 측면에서 초상화와도 의미가 비슷했다. 발문의 "부친의 기침소리를 직접 접하는 듯하고, 그 태도와 몸가짐을 눈으로 보는 듯하다."는 표현과 부친의 초상에 조석 문안을 올린 서효숙 고사에서 그 단초를 찾을 수 있다. 박경빈이 일반적인 선영도 형식이었던 족자나 목판화 대신 연폭 병풍의 실경산수화를 주문한 의도는 분명히 알기 어렵다. 19세기에는 민간에서도 사례(四禮) 의식에 다수의 병풍을 배설(排設)하였는데, 의례의 성격에 따라 그림의 주제를 반드시 구분하여 사용한 것은 아니었다. <인왕선영도> 또한 여러 의례에 두루 배설하거나 장식 병풍으로도 사용하기 위해서 선영 그림이라는 주제를 실경산수화 이미지 아래에 가렸을 가능성이 있다. 특히 <인왕선영도>의 핵심 소재인 무덤 봉분이 모호하게 처리된 것은 사산금표(四山禁標)의 금제 위반을 숨기기 위함일 가능성이 있다. <인왕선영도>에 묘사된 인왕산 서쪽 산기슭은 분묘 조성 금지구역이었다. 1832년에 금표 내에 몰래 쓴 묘를 적발하여 즉시 파내고 관련자를 엄히 처벌한 사례로 볼 때, 19세기 중엽까지도 사산금표 내의 분묘 금제는 효력을 발휘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인왕선영도>의 발문에는 장지를 얻기 위해 쏟은 정성이 상세하게 쓰여 있다. 장지조성에 마을사람들의 협조와 묵인이 필요했던 것은 금표 구역 내에 묘지를 조성하는 것이 부담스러운 일이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인왕선영도>와 비교 가능한 동시대 연폭 병풍의 실경산수화로 이한철(李漢喆)(1808~1880)이 그린 <석파정도(石坡亭圖)>(미국 로스앤젤레스카운티미술관)를 들 수 있다. <석파정도> 제작시기를 전후한 1861년에 이한철과 조중묵은 철종어진도사에 함께 참여하였으므로 조중묵이 이한철의 <석파정도> 제작 과정을 보았을 가능성은 상당히 높다. 조중묵이 몇 년 후 <인왕선영도>를 주문받았을 때 <석파정도>의 인상적인 연폭 실경산수를 본 경험이 반영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두 작품의 화풍 차이는 주문자의 취향과 제작 목적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 <인왕선영도>는 실경산수화와 선영도의 중층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관람자의 지식수준과 주문자와의 친분, 관람에 들이는 시간에 따라 천차만별의 의미로 수용되었을 것이다. <인왕선영도>의 발문에는 무덤 주인의 이름과 자호, 본관이 일체 작성되지 않은 채 '박공(朴公)'이라고만 표기되어 있다. 주문자인 박경빈의 인적 사항도 파악할 수 없었으나 다만 관직에 나아가지 못한 가계를 미루어 볼 때 재력이 있음에도 지배계층으로 올라설 수 없는 신분적 한계를 지니고 있었음은 짐작할 수 있다. 발문을 쓴 홍선주 또한 사대부로 보기 어려우며, 『승정원일기』 기록에 나타나는 경아전 서리일 가능성이 있다. 박경빈은 상류 계층에 진입하고 싶은 욕망으로 보수적인 가치인 효(孝)를 강조하여 부친의 무덤을 명당으로 이전하고 <인왕선영도>를 제작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인왕선영도>는 금제위반 적발에 대한 우려, 병풍의 다목적성 등의 이유로 본래의 제작의도를 뚜렷하게 드러내지 못하고 모순적인 이미지가 되었다. 병풍이 제작된 지 47년 만에 각 폭이 분리된 채 미술상을 통해 이왕가미술관 소장품이 된 상황을 보더라도, 박경빈이 <인왕선영도>에서 꿈꾸었던 명당 발복과 가문의 신분상승은 이루어지지 못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太祖實錄
  2. 世宗實錄
  3. 英祖實錄
  4. 純祖實錄
  5. 承政院日記
  6. 金安老, 希樂堂稿
  7. 徐宗泰, 晩靜堂集
  8. 李理, 栗谷先生全書拾遺
  9. 鄭斗卿, 東溟集
  10. 국립중앙박물관, 지도예찬: 조선지도 500년, 공간.시간.인간의 이야기,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2018.
  11. 국립중앙박물관, 우리 강산을 그리다: 화가의 시선, 조선시대 실경산수화,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2019.
  12. 김두규, 風水學辭典, 서울: 比峰出版社, 2005.
  13. 문화재청, 文化財大觀 - 寶物篇.石造I, 改訂版, 대전: 문화재청, 2004.
  14. 박상호, 풍수지리의 원리, 서울: 가교, 2002.
  15. 이수건, 한국의 성씨와 족보,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16. 강관식, 조선시대 초상화를 읽는 다섯 가지 코드, 미술사학보 38, 2012.
  17. 김경옥, 운계 조중묵의 산수화 연구, 미술사와 문화유산 6, 2017.
  18. 김수진, 조선 후기 병풍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17.
  19. 김수진, 문화 권력 경쟁: 玉壺亭과 石坡亭의 경영과 별서도의 후원, 한국문화 81, 2018.
  20. 손영옥, 이왕가박물관 도자기 수집 목록에 대한 고찰, 한국근현대미술사학 35, 2018.
  21. 이재호, <壯襄公征討時錢部胡圖>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3.
  22. 이태호, 조선 후기 한양 도성의 지도와 회화, 미술사와 문화유산 4, 2016.
  23. 李炯倫, 成東桓, 조선시대 族譜에 게재된 山圖의 특성과 지형표현: 杞溪俞氏族譜와 潘南朴氏世譜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7, 2011.
  24. 이훈상, 1851년의 중인 통청 운동과 화원들의 향방, 역사학보 238, 2018.
  25. 조규희, 朝鮮時代 別墅圖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