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Inquiry into the Iron Seated Buddha Excavated from Pocheon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포천 출토 철조여래좌상에 대한 소고

  • Kang, Kunwoo (Asian Arts Division, National Museum of Korea)
  • 강건우 (국립중앙박물관 아시아부)
  • Received : 2019.09.19
  • Accepted : 2019.11.22
  • Published : 2019.12.20

Abstract

The Iron Seated Buddha sculpture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ad long sat unregistered in storage at the museum. However, a new accession number "bon9976" has recently been assigned to it. This sculpture was excavated from the neighborhood of Heungnyongsa Temple in Baekun-ri, Yidong-myeon, Pocheon-gun, Gyeonggi-do Province together with another Iron Seated Buddha sculpture(bon9975) called "Iron Buddha from Pocheon." A comparison and examination of Gelatin Dry Plate and official documents from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Museum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have revealed that these two Iron Buddha sculptures were transferred to the Museum of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on December 17, 1925. The Iron Seated Buddha sculpture(bon9976) has a height of 105 centimeters, width at the shoulders of 57 centimeters, and width at the knee of 77 centimeters. The Buddha is wearing a robe with rippling drapery folds and the right shoulder exposed. He is seated in the position called gilsangjwa(the seat of good fortune) in which the left foot is placed over the right thigh. The features of the Buddha's oval face are prominently sculpted. The voluminous cheeks, eye sockets in a large oval shape, slanted eyes, short nose, and plump lips can also be found in other ninth-century Iron Seated Buddha sculptures at Silsangsa Temple in Namwon, Jeollanam-do Province, Hancheonsa Temple in Yecheon, Gyeongsangbuk-do Province, and Samhwasa Temple in Donghae-si, Gangwon-do Province. Moreover, its crossed legs, robe exposing the right shoulder, and rippling drapery folds suggest that this sculpture might have been modeled after the main Buddha sculpture of the Seokguram Grotto from the eighth century. The identity of this Iron Seated Buddha can be determined using the Gelatin Dry Plate(M442-2, M442-7). In them, the Buddha has its right palm facing upwards and holds a medicine jar on its left palm. Until now, the Iron Seated Bhaiṣajyagura(Medicine) Buddha(bon1970) excavated from Wonju has been considered the sole example of an iron Medicine Buddha sculpture. However, this newly registered Iron Seated Buddha turns out to be a Medicine Buddha holding a medicine jar. Furthermore, it serves as valuable material since traces of gilding and lacquering clearly remain on its surface. This Iron Seated Buddha sculpture (bon9976) is presumed to have been produced around the ninth century under the influence of Esoteric Buddhism by the Monk Doseon(827~898), a disciple of the Monk Hyecheol, to protect the temple and help the country overcome geographical shortcomings. According to the records stored at Naewonsa Temple(later Heungnyongsa Temple), Doseon selected three significant sites, including Baegunsan Mountain, built "protector" temples, created the Bhaisajyagura Buddha triad, and enshrined them at the temples. Moreover, the inscription on the stele on the restoration of Seonamsa Temple states that Doseon constructed temples and produced iron Buddha sculptures to help the country surmount certain geographical shortcomings. Heungnyongsa Temple is located in Dopyeong-ri, Yidong-myeon, Pocheon-si, Gyeonggi-do Province. This region appears to have been related to rituals directed to the Medicine Buddha since Yaksa Temple(literally, "the temple of medicine") was built here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the Yaksa Temple site with its three-story stone pagoda and Yaksadong Valley still exist in Dopyeong-ri.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철조여래좌상은 한동안 미등록 상태로 박물관 수장고에 보관되어 있었다가 최근 본관9976으로 유물번호가 새롭게 변경되었다. 이 철조여래좌상은 '포천 철불'로 불리는 철조여래좌상(본관9975)과 함께 경기도 포천군 이동면 백운리 흥룡사 일대에서 발견된 불상이다. 필자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박물관 공문서와 유리건판 사진 등을 비교·검토하여 두 구의 철조여래좌상이 동일한 절차를 거쳐 1925년 12월 17일에 조선총독부박물관으로 이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철조여래좌상은 높이가 105cm, 어깨폭은 57cm, 무릎폭은 77cm에 이르고, 편단우견(偏袒右肩)의 착의법에 옷주름은 물결무늬식으로 새겨서 유려하다. 철조여래좌상의 얼굴은 타원형으로 이목구비의 묘사가 잘 남아있다. 양감 있는 볼에 넓게 타원형을 그린 안와, 수직으로 길게 뻗은 눈, 짧은 코와 도툼한 입술은 9세기에 제작된 전라북도 남원 실상사(實相寺) 철조여래좌상, 경북 예천 한천사(寒天寺) 철조여래좌상, 강원도 동해시 삼화사(三和寺) 철조여래좌상 등과 유사하다. 또한 결가부좌한 다리와 편단우견의 착의법, 물결무늬식 옷주름은 8세기 석굴암 본존불을 연상시킬 만큼 조각수법이 우수하다고 생각된다. 철조여래좌상의 존명은 유리건판 사진(원판번호 M442-2, M442-7)을 통해 알 수 있다. 유리건판 사진을 보면 오른쪽 손바닥은 위를 향하고, 왼쪽 손바닥으로 약기(藥器)를 받치고 있다. 지금까지 원주 출토 철조약사좌상(본관1970)만이 철로 만든 유일한 약사불상으로 알려져 있었는데, 이번에 약기를 든 철조약사여래좌상을 새롭게 확인할 수 있었다. 철조여래좌상은 혜철의 제자 도선(道詵)(827~898)이 밀교신앙의 영향을 받아 사찰을 보호하고 국토를 비보(裨補)하기 위해 9세기경에 조성했을 가능성이 있다. 흥룡사의 전신인 내원사에는 도선이 백운산 등 중요한 세 곳을 택하여 비보사원을 세우고 다시 약사여래삼존상을 조성한 후 사원에 봉안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또한 「선암사중수비」에는 도선이 비보를 위해 도량을 세우고 철불 등을 조성했다고 전한다. 흥룡사가 소재한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에 고려시대에 약사(藥寺)라는 사찰이 창건되었다는 점에서, 이 일대는 약사도량과 관련된 지역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순우, 제자리를 떠난 문화재에 관한 조사보고서, 하나, 서울: 하늘재, 2002.
  2. 이순우, 제자리를 떠난 문화재에 관한 조사보고서, 둘, 서울: 하늘재, 2003.
  3. 李智冠 편, 校勘譯註 歷代高僧碑文 高麗篇2, 서울: 伽山佛敎文化硏究院, 1995.
  4. 朝鮮總督府 編, 韓國寺刹史料 上, 서울: 문현, 2010.
  5. 최성은, 철불, 서울: 대원사, 1996.
  6. 최성은, 고려시대 불교조각 연구, 서울: 일조각, 2013.
  7. 抱川文化院 , 抱川의 地名由來集, 抱川: 抱川文化院, 2006.
  8. 韓國古代社會硏究所 編, 譯註 韓國古代金石文 III, 서울: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992.
  9. 韓國學文獻硏究所 編, 傳燈本末寺誌 奉先寺末寺誌, 서울: 亞細亞文化史, 1978.
  10. 강우방, 統一新羅鐵佛과 高麗鐵佛의 編年試論, 미술자료 41, 1988.
  11. 김진숙, 고려시대의 비보사탑과 불상조성, 佛敎硏究 42, 2015.
  12. 서윤길, 도선국사의 생애와 사상, 道詵硏究, 서울: 民族社, 1999.
  13. 장상훈, 日帝强占期 朝鮮總督府博物館의 大型 石造文化財 收集과 展示,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석조문화재,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2017.
  14. 조범환, 신라하대 洪陟 선사의 實相山門 개창과 鐵佛 조성, 신라사학보 6, 2006.
  15. 崔仁善, 韓國 鐵佛 硏究,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역사교육전공 박사학위논문, 1998.
  16. 허형욱, 한국 고대의 약사여래 신앙과 도상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17
  17. 小川晴暘 撮影, 朝鮮古美術大觀 3, 奈良: 飛鳥園, 1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