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New Trends in the Production of One Hundred Fans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One Hundred Fans Painting in the Museum am Rothenbaum Kulturen und Künste der Welt in Germany and Its Original Drawings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조선말기 백선도(百扇圖)의 새로운 제작경향 - 독일 로텐바움세계문화예술박물관 소장 <백선도(百扇圖)>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백선도(百扇圖) 초본(草本)>을 중심으로 -

  • Kwon, Hyeeun (Exhibition Division, National Museum of Korea)
  • 권혜은 (국립중앙박물관 전시과)
  • Received : 2019.09.20
  • Accepted : 2019.11.22
  • Published : 2019.12.20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circulation and dissemination of painting during and after the nineteenth century through a case study on the One Hundred Fans paintings produced as decorative folding screens at the time. One Hundred Fans paintings refer to depictions of layers of fans in various shapes on which pictures of diverse themes are drawn. Fans and paintings on fans were depicted on paintings before the nineteenth century. However, it was in the nineteenth century that they began to be applied as subject matter for decorative paintings. Reflecting the trend of enjoying extravagant hobbies, fans and paintings on fans were mainly produced as folding screens. The folding screen of One Hundred Fans from the collection of the Museum am Rothenbaum Kulturen und Künste der Welt (hereafter Rothenbaum Museum) in Germany was first introduced to Korean in the exhibition The City in Art, Art in the City held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2016. Each panel in this six-panel folding screen features more than five different fans painted with diverse topics. This folding screen is of particular significance since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olds the original drawings. In the nineteenth century, calligraphy and painting that had formerly been enjoyed by Joseon royal family members and the nobility in private spaces began to spread among common people and was distributed through markets.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adorning households, colorful decorative paintings were preferred, leading to the popularization of the production of One Hundred Fans folding screens with pictures in different shapes and themes. A majority of the Korean collection in the Rothenbaum Museum belonged to Heinrich Constantin Eduard Meyer(1841~1926), a German businessman who served as the Joseon consul general in Germany. From the late 1890s until 1905, Meyer traveled back and forth between Joseon and Germany and collected a wide range of Korean artifacts. After returning to Germany, he sequentially donated his collections, including One Hundred Fans, to the Rothenbaum Museum. Folding screens like One Hundred Fans with their fresh and decorative beauty may have attracted the attention of foreigners living in Joseon. The One Hundred Fans at the Rothenbaum Museum is an intriguing work in that during its treatment, a piece of paper with the inscription of the place name "Donghyeon" was found pasted upside down on the back of the second panel. Donghyeon was situated in between Euljiro 1-ga and Euljiro 2-ga in present-day Seoul. During the Joseon Dynasty, a domestic handicraft industry boomed in the area based on licensed shops and government offices, including the Dohwaseo (Royal Bureau of Painting), Hyeminseo (Royal Bureau of Public Dispensary), and Jangagwon (Royal Bureau of Music). In fact, in the early 1900s, shops selling calligraphy and painting existed in Donghyeon. Thus, it is very likely that the shops where Meyer purchased his collection of calligraphy and painting were located in Donghyeon. The six-panel folding screen One Hundred Fans in the collection of the Rothenbaum Museum is thought to have acquired its present form during a process of restoring Korean artifacts works in the 1980s. The original drawings of One Hundred Fans currently hous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as acquired by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between 1945 and 1950. Among the seven drawings of the painting, six indicate the order of their panels in the margins, which relates that the painting was originally an eight-panel folding screen. Each drawing shows more than five different fans. The details of these fans, including small decorations and patterns on the ribs, are realistically depicted. The names of the colors to be applied, including 'red ocher', 'red', 'ink', and 'blue', are written on most of the fans, while some are left empty or 'oil' is indicated on them. Ten fans have sketches of flowers, plants, and insects or historical figures. A comparison between these drawings and the folding screen of One Hundred Fans at the Rothenbaum Museum has revealed that their size and proportion are identical. This shows that the Rothenbaum Museum painting follows the directions set forth in the original drawings. The fans on the folding screen of One Hundred Fans at the Rothenbaum Museum are painted with images on diverse themes, including landscapes, narrative figures, birds and flowers, birds and animals, plants and insects, and fish and crabs. In particular, flowers and butterflies and fish and crabs were popular themes favored by nineteenth century Joseon painters. It is noteworthy that the folding screen One Hundred Fans at the Rothenbaum Museum includes several scenes recalling the typical painting style of Kim Hong-do, unlike other folding screens of One Hundred Fans or Various Paintings and Calligraphy. As a case in point, the theme of "Elegant Gathering in the Western Garden" is depicted in the Rothenbaum folding screen even though it is not commonly included in folding screens of One Hundred Fans or One Hundred Paintings due to spatial limitations. The scene of "Elegant Gathering in the Western Garden" in the Rothenbaum folding screen bears a resemblance to Kim Hong-do's folding screen of Elegant Gathering in the Western Garden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terms of its composition and style. Moreover, a few scenes on the Rothenbaum folding screen are similar to examples in the Painting Album of Byeongjin Year produced by Kim Hong-do in 1796. The painter who drew the fan paintings on the Rothenbaum folding screen is presum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Kim Hong-do since the fan paintings of a landscape similar to Sainsam Rock, an Elegant Gathering in the Western Garden, and a Pair of Pheasants are all reminiscent of Kim's style. These paintings in the style of Kim Hong-do are reproduced on the fans left empty in the original drawings. The figure who produced both the original drawings and fan paintings appears to have been a professional painter influenced by Kim Hong-do. He might have appreciated Kim's Painting Album of Byeongjin Year or created duplicates of Painting Album of Byeongjin Year for circulation in the art market. We have so far identified about ten folding screens remaining with the One Hundred Fans. The composition of these folding screens are similar each other except for a slight difference in the number and proportion of the fans or reversed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ans. Such uniform composition can be also found in the paintings of scholar's accoutrements in the nineteenth century. This suggests that the increasing demand for calligraphy and painting in the nineteenth century led to the application of manuals for the mass production of decorative paintings. As the demand for colorful decorative folding screens with intricate designs increased from the nineteenth century, original drawings began to be used as models for producing various paintings. These were fully utilized when making large-scale folding screens with images such as Guo Ziyi's Enjoyment-of-Life Banquet, Banquet of the Queen Mother of the West, One Hundred Children, and the Sun, Cranes and Heavenly Peaches, all of which entailed complicated patterns. In fact, several designs repeatedly emerge in the extant folding screens, suggesting the use of original drawings as models. A tendency toward using original drawings as models for producing folding screens in large quantities in accordance with market demand is reflected in the production of the folding screens of One Hundred Fans filled with fans in different shapes and fan paintings on diverse themes. In the case of the folding screens of One Hundred Paintings, bordering frames are drawn first and then various paintings are executed inside the frames. In folding screens of One Hundred Fans, however, fans in diverse forms were drawn first. Accordingly, it must have been difficult to produce them in bulk. Existing examples are relatively fewer than other folding screens. As discussed above, the folding screen of One Hundred Fans at the Rothenbaum Museum and its original drawings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ptly demonstrate the late Joseon painting trend of embracing and employing new painting styles. Further in-depth research into the Rothenbaum painting is required in that it is a rare example exhibiting the influence of Kim Hong-do compared to other paintings on the theme of One Hundred Fans whose composition and painting style are more similar to those found in the work of Bak Gi-jun.

본 논고는 19세기 이후 형성된 서화(書畫)의 유통과 확산의 양상을 당시 활발히 제작된 장식병풍 중 하나인 <백선도(百扇圖)>의 예를 통해 살펴본 글이다. 백선도는 화면에 다양한 형태의 부채를 겹쳐서 배치하고 각각의 선면(扇面) 안에 여러 종류의 화제(畫題)를 그린 것을 말한다. 부채와 선면화(扇面畫)라는 소재는 이전부터 존재하였지만 장식용 회화의 소재로 등장한 것은 19세기 이후로, 호사취미 경향을 반영하여 주로 병풍(屛風)으로 활발히 제작되었다. 지난 2016년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미술 속 도시, 도시 속 미술'에서 독일로텐바움세계문화예술박물관 소장 <백선도>가 새로이 소개된 바 있다. 6폭으로 구성된 이 병풍에는 한 폭 당 5개 이상의 다양한 종류의 부채들이 등장하고 각 부채 면에는 단순히 채색한 것 뿐 아니라 다양한 화목(畫目)의 그림들이 남아있다. 무엇보다 이 작품을 주목해야 하는 것은 국립중앙박물관에 동일한 초본(草本)이 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19세기에 들어서면서 이전의 왕실이나 사대부들이 사적인 공간에서 향유하였던 서화(書畫)는 민간으로 확산되었고 시장을 통한 유통의 단계로 넓어졌다. 집안을 꾸미고 장식하는 풍조에 따라 화려한 장식그림들이 선호되었고, 한 폭에 다양한 형태의 화면과 다채로운 畫目(화목)의 그림을 그려 완성하는 백납도병풍 제작이 성행하였다. 로텐바움박물관 소장 한국 컬렉션의 상당수는 독일 주재 조선국 총영사이자 독일의 사업가였던 하인리히 콘스탄틴 에두아르 마이어(Heinrich Constantin Eduard Meyer, 1841~1926)의 수집품이다. 그는 1890년대 후반부터 1905년까지 조선과 독일을 오가며 다양한 유물들을 수집하여 독일에 돌아가 1909년까지 순차적으로 수집품을 로텐바움박물관에 전달하였으며, <백선도>도 그 중 하나이다. 새롭고 장식미가 돋보이는 <백선도>는 조선에 들어와 있던 외국인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기에 충분했을 것이다. 로텐바움박물관 소장 <백납도>는 제2폭의 뒷면에 "동현(銅峴)"이라는 지명이 적힌 종이조각이 거꾸로 붙어있어 흥미를 끈다. 동현은 지금의 서울 을지로 1가와 을지로2가 사이에 위치했던 곳이며, 조선시대에는 도화서(圖畫署)를 비롯한 혜민서(惠民署)·장악원(掌樂院) 등의 관청과 시전(市廛)이 있어 가내수공업이 성하던 지역이었다. 실제로 1900년대 초 이곳에는 서화를 유통하는 상점들이 자리잡고 있었기 때문에, 마이어가 수집했던 서화들의 구입처가 동현에 위치했었을 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하겠다. 로텐바움박물관 소장 <백선도>는 총 6폭의 병풍으로, 1980년대에 한국 서화 소장품들을 수리하는 과정에서 현재의 모습을 갖춘 것으로 보인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백선도 초본>은 1945년부터 1950년 사이 국립민족박물관에 입수된 작품이다. <백선도 초본>은 총 7점으로, 7점 중 6면 화면의 여백에 화면의 순서까지 정해져 있어 본래 총 8폭 병풍용 초본임을 알 수 있다. 한 화면에는 5개 이상의 다양한 접선(摺扇)과 단선(團扇)들이 배열해있는데, 작은 장식에서부터 부챗살의 문양까지 초본부터 사실적으로 묘사되었음을 볼 수 있다. 여기에 '석간주(石間朱)', '홍(紅)', '묵(墨)', '청(靑)' 등과 같이 부채에 들어갈 색 대부분을 지정하고, 빈 부채에는 '유(油)'라고 적거나 비워두었으며 이 중 10개의 부채에는 화훼초충도(花卉草蟲圖)나 고사인물도의 밑그림이 남아있다. 이를 실제 로텐바움박물관 소장 <백선도>와 비교하면 화면의 크기와 비례까지 정확하게 일치하고 있어, 초본의 매뉴얼을 그대로 따르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작품의 펼쳐진 부채 면에는 산수, 고사인물, 화조, 영모, 초충, 어해 등 다양한 장르의 그림이 그려져 있는데 화접도(花蝶圖)나 어해도(魚蟹圖) 등은 19세기 유행하였던 소재로 당시 화단의 경향을 잘 보여준다. 이 작품에서 주목할 것은 김홍도(金弘道)의 전형적인 화풍을 연상시키는 장면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는 지금까지 알려진 백선도나 백납도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특징이다. 서원아집도(西園雅集圖)는 상대적으로 제한된 작은 화면에 그려야 하는 백납도나 백선도의 특성상 잘 다루지 않는 소재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김홍도의 <서원아집도>병풍과 화면의 구성이나 화풍 모두 매우 흡사하다. 더구나 <백선도>병풍의 몇몇 장면은 김홍도의 작품 중에서도 1796년작 《병진년화첩(丙辰年畫帖)》과 유사한 화면들을 다수 발견할 수 있어 흥미롭다. <사인암(舍人巖)>과 흡사한 산수도(山水圖)를 비롯하여 <서원아집도>, <쌍치도(雙雉圖)> 등에서 김홍도 화풍을 연상시킨다. 따라서 부채 속 그림을 그린 인물은 김홍도 화풍의 영향을 받은 직업화가일 것으로 보이며, 작가는 《병진년화첩》을 직접 감상한 적이 있거나, 서화시장에 《병진년화첩》을 베껴 그린 부본(副本)이 유통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현재까지 알려진 병풍으로 된 백선도는 10점 내외인 것으로 파악되며, 이 작품들을 비교해보면 화면의 구성이 부채 1개 정도 차이가 있거나 비례와 좌우가 바뀌었을 뿐 화면구성이 매우 유사함을 찾아볼 수 있다. 이처럼 일정한 패턴의 화면구성은 같은 시기 민간에서 성행한 책가도(冊架圖)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특징으로, 19세기 서화의 수요층이 넓어짐에 따라 세밀한 표현과 화려한 장식성이 요구되는 회화들의 대량 제작을 위한 초본이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특히 도안이 복잡하여 범본이 필요한 곽분양행락도나 요지연도, 백동자도, 해학반도도 등의 규모가 큰 장식병풍에서 적극 활용되었으며, 실제 남아있는 작품에서 몇 가지의 도상들이 반복하여 등장하고 있어 초본을 참고했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시장의 수요에 맞추어 대량 제작할 수 있는 초본 활용이 성행했던 당시의 경향은 화면을 다채로운 부채들로 채우고 그 부채 면에 각기 다른 그림을 그려야하는 백선도 제작에 있어서도, 초본을 요긴하게 사용했음을 보여준다. 더구나 테두리를 그은 후 다양한 화목의 그림을 담는 백납도에 비해 백선도는 다양한 형태의 부채들을 먼저 그려야하는 공정을 거쳐야 했기 때문에, 대량 제작이 어렵고 그만큼 남아있는 작품이 상대적으로 적은 원인으로 생각된다. 이처럼 로텐바움박물관 소장 <백선도> 병풍과 국립중앙박물관 <백선도 초본>은 새로운 화풍이 수용되어 시도되었던 조선 말기 화단의 경향을 잘 보여주는 예라 하겠다. 다수의 백선도들이 박기준의 작품과 유사한 화풍과 화면 구성 보이는 것에 비해, 김홍도의 영향이 분명히 드러나는 매우 이례적인 예라는 점에서 앞으로도 더욱 심층적인 분석이 요구되는 작품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문화재연구소, 독일 함부르크민족학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2017.
  2. 국립중앙박물관, 미술 속 도시, 도시 속 미술,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2016.
  3. 서울역사박물관, 광통교 서화사: 광통교 아래 가게 각색 그림 걸렸구나,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2016.
  4. 강명관, 조선 후기 예술품 시장의 성립, 조선시대 문학예술의 생성공간, 서울: 소명출판, 1999.
  5. 고동환, 조선후기 서울 도시공간의 변동 - 상업발달과 관련하여, 서울학연구 52, 2013.
  6. 김수진, 조선 후기 병풍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17.
  7. 김수진, 19-20세기 병풍차(屛風次)의 제작과 유통, 미술사와 시각문화 21, 2018.
  8. 김취정, 개화기 서울의 문화 유통 공간-광통교 일대의 書畫 圖書 유통을 중심으로, 서울학연구 53, 2013.
  9. 김취정, 韓國 近代期의 畵壇과 書畵 需要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14.
  10. 안보라, 朝鮮末期 百衲圖屛風 硏究,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0.
  11. 이정은, 19世紀 百扇圖屛風 硏究-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朴基駿 <百扇圖屛風>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7.
  12. 이주현, 독일인이 본 근대 한국: 독일 민속박물관의 한국유물 수장양상, 한국근현대미술사학연구 22, 201 1.
  13. 趙興胤, 世昌洋行, 마이어, 함부르크民族學博物館, 東方學志 46-48, 1985.
  14. 한정희, 朝鮮 末期 中國畵의 流入 樣相-호림박물관 소장 <百衲六曲屛> 한 쌍을 중심으로, 시각문화의 전통과 해석, 서울: 예경, 2007.
  15. Kim, Sunglim, "Chaekgeori: Multi-Dimensional Messages in Late Joseon Korea," Archives of Asian art, Vol.64 No.1,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