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nalysis of Science Writing Task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and Workbooks : Focused on the 2007, 2009 and 2015 Revised Curricula

초등학교 과학 교과용 도서에서 나타난 과학 글쓰기 과제 분석 : 2007, 2009,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9.11.29
  • Accepted : 2019.12.25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cience writing task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and workbooks using the presented form and the writing components analysis framework. For this study, the science writing tasks in the 2007, 2009 and 2015 revised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and workbook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sented form of science writing tasks, the number of books for science writing tasks was reduced and the tasks were changed to unclear form as the curriculum was revised from the 2007 to 2015. And the science writing tasks in the 2009 revised 5th~6th grades group were presented as writing and drawing, and they appeared as the most desirable form. As a result of analyzing science writing tasks using the writing components analysis framework,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urricula and the grades groups, but they tended to be focused on some sub-factors. However, the science writing tasks reflecting the most diverse sub-factors were presented in the 2007 revised 5th~6th grades group.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과학 교과용 도서에 나타난 과학 글쓰기 과제를 교과용 도서에 제시된 형태와 글쓰기 구성 요소 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2007, 2009, 2015 개정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와 실험관찰에 나타난 과학 글쓰기 과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과학 글쓰기 과제의 형태를 분석한 결과 2007 개정에서 2015 개정으로 교육과정을 거치면서 과학 글쓰기가 제시된 교과용 도서가 줄어들고, 과제가 명시되지 않은 형태로 변화하였다. 그리고 2009 개정 5~6학년군 과학 글쓰기 과제가 글과 그림으로 제시되어 가장 바람직한 형태로 나타났다. 과학 글쓰기 과제를 글쓰기 구성 요소 분석틀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과 학년군별로 차이가 있었으나 일부 하위 요소에 치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2007 개정 5~6학년군에서 가장 다양한 구성 요소가 반영된 과학 글쓰기가 제시되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상훈(2019). '과학 글쓰기'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교과 융합적 쓰기 방안 연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상훈, 신애경, 고아라, 전제응(2019). 과학 글쓰기 과제 분석과 비판적 고찰-초등학교 5.6학년군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 30(4), 25-39.
  3. 교육과학기술부(2010). 초등학교 과학 4-2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금성출판사.
  4. 교육과학기술부(2011a). 과학과 교육과정.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9].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5. 교육과학기술부(2011b). 초등학교 과학 6-2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금성출판사.
  6. 교육부(2015a). 2015 개정 교육과정. 서울: 교육부.
  7. 교육부(2015b). 초등학교 과학 6-2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미래엔.
  8. 교육부(2018). 초등학교 실험관찰 3-1. 서울: (주)비상교육.
  9. 교육부(2019a). 초등학교 실험관찰 6-2. 서울: (주)비상교육.
  10. 교육부(2019b). 초등학교 과학 6-2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비상교육.
  11. 김성수(역)(2006). 과학 글쓰기 핸드북: 이공계를 위한 글쓰기 10계명. 서울: 사이언스북스.
  12. 김순식, 이용섭(2017). '계절 변화'에 대한 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습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3), 278-289. https://doi.org/10.15523/JKSESE.2017.10.3.278
  13. 김은혜, 박재근(2017). 과학과 핵심역량 요소를 기반으로 한 초등학교 과학 글쓰기 수업의 효과. 초등과학교육, 36(4). 346-355.
  14. 김정자(2004). 쓰기 과제 구성에 대한 연구. 한말연구, 15, 93-120.
  15. 김창원(2014). 통합형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과 과제. 청람어문교육, 51, 7-37.
  16. 박길순, 강유진, 김지나(2014).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과학 글쓰기 제시 양상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8(2), 344-355.
  17. 서수현(2008). 쓰기 과제 구성 요소의 설정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33, 449-472.
  18. 서정수, 신동수, 권성규, 노승백, 이병수, 임문혁, 주홍택(2008). 과학기술문 작성법. 서울: 두양사.
  19. 송윤미(2012). 과학 글쓰기 평가 루브릭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신선경(2008). 과학 탐구와 과학 글쓰기에 대한 텍스트언어학적 접근. 텍스트언어학, 24, 75-99.
  21. 이병승(2008). 쓰기 평가 과제 내용 분석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37, 275-304.
  22. 이상헌(2007). 효과적인 과학 글쓰기 교과 구성을 위한 모색: 카톨릭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2007 한국사고와표현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집, 37-48.
  23. 이은아, 김용권(2014).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용 수업이 메타인지와 과학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1), 54-63. https://doi.org/10.15523/JKSESE.2014.7.1.054
  24. 이호진(2005). 과학 글쓰기에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선행개념 및 오개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5. 임옥기, 김효남(2017).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과학 글쓰기에 대한 인식 분석.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23(1), 37-52.
  26. 임재춘(2006). 한국의 이공계는 글쓰기가 두렵다. 서울: 북코리아.
  27. 장경화, 남정희, 최애란(2012). 학생들의 글쓰기에 나타난 논의구조에 미치는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의 효과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7), 1099-1108.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7.1099
  28. 전제응((2017). 범교과 쓰기에 대한 관점과 '통합교과 쓰기' 탐구: 국어교과와 과학교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 451-467.
  29. 정희모, 김성수, 이재성(역)(2008). 비판적 사고와 과학 글쓰기.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30. 조윤옥(2006). 쓰기 수행 과제 분석 연구: 초등학교 쓰기 교과서를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조혜진, 이형철, 김은진(2011). Thinking maps를 활용한 과학 글쓰기가 초등과학영재의 과학탐구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4(2), 166-176. https://doi.org/10.15523/JKSESE.2011.4.2.166
  32. 천재훈(2006). 과학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과학글쓰기 활동.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Gunel, M., Hand, B., & McDermott, M. A. (2009). Writing for different audiences: Effects on high-school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of biology. Learning and Instruction, 19(4), 354-367. https://doi.org/10.1016/j.learninstruc.2008.07.001
  34. Prain, V. (2006). Learning from writing in secondary science: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2), 179-201. https://doi.org/10.1080/09500690500336643
  35. Wellington, J., & Osborne, J. (2001). Language and literacy in science education.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