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erspectives on the Use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by the Pre-service Teachers

예비교사의 초등수학교과서 활용에 대한 관점

  • Received : 2019.11.28
  • Accepted : 2019.12.27
  • Published : 2019.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erspectives on the use of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by observing mathematics classes at the schools and to present suggestions on the use of textbooks in the mathematics classes. For this study, let 54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bserve a total of 54 classes (1,299 students) in the first through sixth grades at 15 areas in Seoul city. With the observations of the mathematics classes, the researcher analyzed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spectives on the use of resources including mathematics textbooks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class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at mathematics textbooks are the main material for mathematics classes, but they think that they need to reconstruct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for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In addition, various additional materials need to be used in order to help students learn mathematics more effectively, including by differentiated materials. Also, instruments used in the classes were mainly consisted of TV and PPT data. Pre-service teachers were not much satisfied with the contents of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However, they did not feel the need for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The researcher suggested a long term research on how to use study materials such as textbooks within the overall mechanism of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Also, practical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at include applications of textbooks at schools are necessary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현장에서 수학 수업을 관찰하면서 인식한 초등예비교사들의 초등수학교과서 활용에 대한 관점을 분석하고 수학 수업에서 교과서 활용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54명의 초등예비교사들이 서울시내 15개 지역구에 1학년부터 6학년까지 54개 학급(총 1299명의 학생)의 수학 수업을 관찰하였다. 수학 수업의 관찰을 토대로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초등수학교과서의 활용과 수학 수업에서 자료의 활용에 대한 관점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초등수학교과서의 동기유발 자료를 각색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의 효과적인 학습을 돕기 위하여 수준별 학습을 포함하여 교과서 이외에 다양한 활동지 및 부가적인 자료를 사용할 필요가 있고, 이들은 수학 수업에서 교수 학습을 위해 사용하는 도구는 주로 TV와 PPT 등이라고 응답하였다. 예비교사들은 초등수학교과서의 내용과 체제 자체에 대해서 보통 정도의 만족을 하고 있었고, 디지털교과서 개발의 필요성도 크게 느끼지는 않았다. 연구자는 수학 교수 학습의 질 향상을 위하여 수업의 전반적인 메커니즘 안에서 교과서와 같은 학습 자료를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인지에 대한 장기간의 연구와 교사들을 위한 학교 현장의 적용을 포함한 실제적인 연수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호경 외 (2015). 수학 학습 실태조사 및 개선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2. 교육부 (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3. 교육부 (2016).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1-2학년군 교과용도서 연수 교재. 교육부.
  4. 교육부 (2018).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1-2학년군 교과용 지도서. 교육부.
  5. 김선희 (2012). 미래 수학 교실에 대한 전망과 교사들의 인식 조사. 교과교육학연구, 16(1), 285-324.
  6. 김수철 (2019). 수학교과역량의 초등학교 교과서 적용 실태 분석: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 심으로.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4), 55-67. https://doi.org/10.35873/ajmahs.2019.9.8.006
  7. 김재춘 (2012). 교과서 대여제 도입가능성 분석-이슈페이퍼-. 한국교과서연구재단 2012년 정책연구 보고서.
  8. 김택준 (2012). 초등학교 수석교사의 수학 교과서 활용.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판수, 임미인, 장혜원 (2017).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구성 체제 비교 및 교사 선호도 조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1(2), 263-289.
  10. 박만구, 장혜원, 김은혜, 조두경, 김윤선, 유대현, 남미선, 박원규, 김주숙, 탁병주, 이지영 (2014). 주제 중심의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모형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BD-1502-0010.
  11. 박만구, 김은혜, 황성환, 이동희 (2013). 기초셈하기 G-러닝 콘텐츠의 효과성 분석. 한국초등수학학회지, 17(2), 225-243.
  12. 박소영 (2017). 고등학교 교과서 활용 및 개선에 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9(3), 932-940. https://doi.org/10.13000/JFMSE.2017.29.3.932
  13. 박진용, 권영락, 김정효, 이동엽 (2014). 미래 사회 교육 환경 변화에 따른 교과서 발전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T 2014-4.
  14. 배종수, 박만구, 유재수, 조두경, 송근영, 임현정 (2018). 미래 초등수학교과서 개발 방향 연구. 한국교과서연구재단 연구보고서 2018-04.
  15. 방정숙, 서정희, 박미희 (2008). 디지털교과서 활용이 수학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KERIS 이슈리포트.
  16. 방정숙 외 (2019).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수학습 자료: 초등학교 5-6학년군. 교육부.
  17. 방정숙, 황현미 (2010). 입체도형에 관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4), 549-568.
  18. 성창근 (2017). 수학 교과역량 계발을 위한 교과서 활용. 교과서연구, 89, 51-69.
  19. 손병길 (2010). e-교과서 보급 활성화를 위한 소고. 교과서연구, 59, 11-16.
  20. 송해덕, 박주호 (2009). 교수 가이던스 관점에서 디지털교과서 활용유형이 수학과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5(2), 29-46.
  21. 신인선, 신현용, 조민식, 이수진, 김정은, 문주호, 반은섭, 백수연, 김인수 (2015). 주제 중심의 중학교 수학교과서 모형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BD1502-0008.
  22. 유상덕 (2000). 21세기 교과서,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교육과정평가원 세미나 자료집.
  23. 이광호 외 (2015). 인성교육중심수업강화를 위한 수학과 교수.학습 자료. 교육부.
  24. 이상수 (2016). 디지털교과서와 미래 교육생태계. 교과서 연구, 84, 70-84.
  25. 이재학, 고호경, 권영철, 김선희, 김영진, 김정자, 도종훈, 박윤범, 박혜숙, 서보억, 신준국, 신현용, 원유미, 이경언, 이근숙, 전윤배, 정상권, 최민식, 허선희, 곽현기, 심민경, 이미령, 최지은 (2013). 중학교 스토리텔링 모델교과서 개발. 한국과학창의재단 2013-17.
  26. 이종희, 김선희, 김부미, 김기현 (2008). 수학 교과에서 익힘책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교과교육연구, 12(2), 335-352.
  27. 이지윤, 김선희, 이환철 (2016). 학습자 중심 교육의 관점에서 교사들의 수학교육의 문제점인식과 수학 모델 교과서 개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30(4), 499-514.
  28. 주형미, 양윤정, 남창우 (2014). 교과서 완결 학습 구현을 위한 교가용도서 실태 및 요구분석. 2014 KICE 이슈페이퍼. 연구자료 ORM 2014-27-24.
  29. 천세영, 방인자, 전미애 (2015). 초.중등 교사의 교수.학습자료 이용 실태와 개선 방안 탐색. 교과교육연구, 19(3), 691-711.
  30. 최승현, 박상욱, 황혜정 (2014). PISA와 TIMSS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성취 실태 분석 -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1), 23-43.
  31.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8). (초등학교 학생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활용 가이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육자료 GM 2018-12. 대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32. 황선욱, 정달영, 임채훈, 남호영, 박상의, 신주은, 김지영 (2014). 고등학교 수학과 국어 통합교수.학습자료개발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BD1502-0006.
  33. 황선욱, 박혜숙, 이광연, 고호경, 이종규, 한준희, 박문환, 박상의, 이상민 (2015). 주제 중심의 고등학교 수학교과서 모형 개발. 한국과학창의재단 BD1502-0006.
  34. 행정안전부 (2014). 교과서 정책.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2019년 9월 10일 http://www.archives.go.kr/next/search/listSubjectDescription.do?id=003214에서 발췌.
  35. 허남구 (2016). 수학과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인식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10), 364-372. https://doi.org/10.5392/JKCA.2016.16.10.364
  36. 허숙 (2009). 국가교육과정 정책의 방향과 과제. 교육과정 연구, 27(3), 1-13.
  37. Bokhove, C., & Jones, K. (2014). Mathematics textbook use in England: Mining Ofsted reports for views on textbooks. In K. Jones, C. Bokhove, G. Howson, & L. Fan (Ed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thematics Textbook Research and Development (ICMT-2014) (pp. 159-166). Southampton: University of Southampton.
  38. Clarke, D., Keitel, C., & Shimizu, Y. (2006). The Leaner's perspective study. In D. Clarke, C. Keitel & Y. Shimizu (Eds.), Mathematics classrooms in twelve countries: The insider's perspective (pp. 1-14). The Netherlands, Rotterdam: Sense Publishers.
  39. Dienes, Z. (1960). Building up mathematics (4th edition). London: Hutchinson Educational Ltd.
  40. Edelman, J. (2017). How preservice teachers use children's literature to teach mathematical concepts: Focus on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International Electronic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9(4), 741-752.
  41. Even, R., & Olsher, S. (2014). Teachers as Participants in Textbook Development: The Integrated Mathematics Wiki-book Project. In Y. Eshet-Alkalai, A. Caspi, S. Eden, N. Geri, Y. Yair, & Y. Kalman (Eds.), Proceedings of the Chais conference on instructional technologies research 2012: Learning in the technological era. (pp. 30-34). Raanana: The Open University of Israel.
  42. Haggarty, L., & Pepin, B. (2002). An investigation of mathematics textbooks and their use in English, French and German classrooms: Who gets an opportunity to learn what? British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8(4), 567-590. https://doi.org/10.1080/0141192022000005832
  43. Inprasitha, M., Isoda, M., Wang-Iverson, P., & Yeap, B. (2015). Lesson study: Challenges in mathematics education. Singapore: World Scientific.
  44. Kruse, L. (2015). Student perspective and frequency of mathematical textbook use. Doctoral dissertation at the University Honors College at Bowling Green State University.
  45. Lepik, M. (2015). Analyzing the use of textbook in mathematics education: The case of Estonia. ACTA Paedagogica Vilnensia 2015 35 DOI: http://dx.doi.org/10.15388/ActPaed.2015.35.9193
  46. Lepik, M., Grevholm, B., & Viholainen, A. (2015). Using textbooks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The teachers' view. Nordic Studies in Mathematics Education, 20(3-4), 129-156.
  47. Lindorff, A. M., Hall J., & Sammons, P. (2019). Investigating a Singapore-based mathematics textbook and teaching approach in classrooms in England. Frontiers in Education. 03 May, 2019. Available from https://doi.org/10.3389/feduc.2019.00037
  48. Mok, I. A. C. (2015). Research on mathematics classroom practice: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In J. C. Sung (Ed.), Selected regular lectures from the 12th International congress on mathematical education (pp. 589-606). New York, NY: Springer.
  49. Moulton, J. (1994). How do teachers use textbooks and other print materials?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port of the Improving Educational Quality Project in South Africa.
  50. Pepin, B., Gueudet, G., Yelushalmy, M., Trouche, L., & Chazan, D. I. (2016). E-textbooks in/for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In L. D. English & D. Kirshner (Eds.), Handbook of intern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rd Ed.) (pp. 636-661). New York: Routledge.
  51. Plianram, S, & Inprasitha, M. (2012). Exploring elementary Thai teachers' use of mathematics textbook. Creative Education, 3(6), 692-695. https://doi.org/10.4236/ce.2012.36103
  52. Priolet, M. (2014). The use of mathematics textbooks in the train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France. History of education and children's literature, Universitadegli Studi di Macerata, Italy.
  53. Rezat, S. (2006). A model of textbook use. In J. Novotna, H. Moraova, M. Kratka, & N. A. Stehlíkova (Eds.), Proceedings of the 30th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Vol. 4, pp. 409-416). Prague: Charles University, Faculty of Education.
  54. Ruthven, K., & Goodchild, S. (2016). Knowledge creation through dialogic interaction between the practices of teaching and researching. In L. D. English & D. Kirshner (Eds.), Handbook of intern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rd Ed.) (pp. 523-539). New York: Routledge.
  55. Sievert, H., van den Ham, A-K., Niedermeyer, I., & Heinze, A. (2019). Effects of mathematics textbooks on the development of primary school children's adaptive expertise in arithmetic.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74, 1-13.
  56. van den Ham, A-K., & Heinze, A. (2018). Does the textbook matter? Longitudinal effects of textbook choice on primary school students' achievement in mathematics. Studies in Educational Evaluation, 59, 133-140. https://doi.org/10.1016/j.stueduc.2018.07.005
  57. Watson, J., & Fitzeallen, N. (2016). Statistical software and mathematics education. In L. D. English & D. Kirshner (Eds.), Handbook of intern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rd Ed.) (pp. 563-594). New York: Routledge.

Cited by

  1.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 동향 분석 : 1997년부터 2019년까지 게재된 국내 수학교육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vol.59, pp.3, 2019, https://doi.org/10.7468/mathedu.2020.59.3.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