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ation of Foreign Curriculums for the Improvement of the Korean Middle School Statistical Curriculum: Focusing on learning elements in Korea, the United States, Singapore, and Japan

중학교 통계영역의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외국 교육과정의 탐색: 한국, 미국, 싱가포르, 일본의 학습 요소 중심으로

  • Received : 2019.11.29
  • Accepted : 2019.12.20
  • Published : 2019.12.30

Abstract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Korean, American, Singaporean, and Japanese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standards and the learning contents in statistic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urriculums of these four countries, I found several overall featur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curriculums. First, all four countries emphasized statistical education in a real-life context. Second, all four countries emphasized the use of technological tools. Third, there is a middle school grade in which only Korea does not deal with statistical domains. Fourth, the statistical areas of the United States, Singapore, and Japan focused on identifying trends or variability in data distribution. Fifth, I have found some contents that only Korea does not deal with. Based on thi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were develop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next curriculum and new textbooks in Korea. First, the statistics curriculum should be changed from one that focuses on understanding statistical concepts to one that focuses on statistical activity that utilizes these concepts. Second, in terms of middle school statistical curriculum contents, the addition of interquartile range (IQR) and box plots as learning contents should be considered. IQR and box plots are simple and practical techniques for the comparison of multiple sets of data that can be easily learned and drawn by middle school level students and applied to real-life-related statistical data to expand statistical literacy. Through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IQR and box plots need to be included in the statistical curriculum of middle schools in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미국, 싱가포르, 일본의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통계영역의 성취기준과 학습 요소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여 우리나라의 중학교 통계영역의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함이다. 교육과정 비교·분석 결과, 전반적인 성취기준과 학습 요소에 대한 특징과 차이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한국, 미국, 싱가포르, 일본 네 나라 모두 실생활 맥락에서의 통계교육을 강조하였다. 둘째, 네 나라 모두 공학적 도구의 활용을 강조하였다. 셋째, 우리나라만 통계영역을 다루지 않는 학년이 있다. 넷째, 미국, 싱가포르, 일본의 통계영역은 자료 분포의 경향을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다섯째, 미국, 싱가포르, 일본에서는 다루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다루지 않는 학습 요소를 몇 가지 찾을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차기 교육과정 개발과 새로운 교과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통계적 개념의 이해 위주에서 이를 활용한 통계적 활동 중심의 교육과정이 되어야 한다. 둘째, 중학교 통계영역 교육과정의 학습 요소 개선 측면에서, 사분위범위와 상자 그림을 학습 요소로 추가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사분위범위와 상자 그림은 자료 분석 영역에서 복수의 집단 간의 비교를 위한 간단하고 실용적인 기법으로, 중학생 수준의 학생들이 간단히 배워서 쉽게 그릴 수 있고, 실생활 관련 통계적 자료에 적용하면서 통계적 소양을 확충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사분위범위와 상자 그림이 우리나라 중학교 통계영역 교육과정에도 새롭게 추가 선정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제2015-71호 [별책8].
  2. 교육부, 한국과학창의재단 (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II(연구보고서 BD15110002). 한국과학창의재단.
  3. 김민형 (2016). 수학이 필요한 순간. (주)인플루우엔셜, 서울.
  4. 김부미, 김윤민 (2019). 한국과 일본의 수학과 교육과정의 비교-통계영역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3), 495-523.
  5. 김성경 (2019). 한국과 뉴질랜드의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학교수학, 21(3), 625-644.
  6. 김정란, 김응환 (2017). 미국의 통계소양교육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교사교육 방향의 탐색.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0(2), 163-186.
  7. 권나영, 김진호 (2017). 미국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분석: 확률과 통계를 중심으로. 교육연구, 69, 95-120.
  8. 권오남, 이경원, 이아란, 한채린 (2019). 한.일 수학과 교육과정의 외.내적 체재 비교 분석: 직전 교육과정과의 변화를 중심으로. 수학교육, 58(2), 187-223.
  9. 박경미 (2005). 교육과정 개정의 시사점 도출을 위한 싱가포르와 인도 수학 교육과정의 비교.분석. 수학교육, 44(4), 497-508.
  10. 방정숙, 김은경 (2017). 싱가포르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분석: 모델 메소드(model method)를 중심으로. 초등수학교육, 20(3), 205-224.
  11. 서동엽 (2016). 우리나라와 싱가포르의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수학교육학연구, 26(3), 443-465.
  12. 이승은, 이정은, 박교식 (2018). 우리나라와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측정영역 비교.분석: 외연량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1(1), 19-37. https://doi.org/10.30807/KSMS.2018.21.1.002
  13. 이예지 (2016). 한국과 싱가포르의 중학교 수학교과서 비교 연구-함수영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14. 정영옥, 정영옥, 장경윤, 김구연, 권나영, 김진호, 서동엽, 강현영, 박선화, 고호경, 남진영, 탁병주 (2016). 수학 교육과정 국제 비교 분석 연구-미국, 싱가포르, 영국, 일본, 호주의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6(3), 371-402.
  15. 조상연, 홍은표 (2019).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활용한 아파트 가격 관련 뉴스 기사의 극성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7(9), 47-54. https://doi.org/10.14400/jdc.2019.17.9.047
  16. 최해옥, 최병삼, 김석관 (2017). 일본의 제4차 산업혁명 대응 정책과 시사점. 동향과 이슈, 30, 1-25.
  17. 文部科学省(2017). 中学校学習指導要領(平成29 年告示) 解說. 文部科学省. 日本.
  18. Charles, R. L., Illingworth, M., McNemar, B. Mills, D., Ramirez, A. & Reeves, A. (2013), Prentice Hall Mathematics (Course 2). Boston, MA: Pearson Education, Inc.
  19. Common Core State Standards Initiative (2010),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 Common Core State Standards (College and Career Readiness Standards and K-12 Standards in English Language Arts and Math). Washington, D. C.: National Governors Association Center for Best Practices and the Council of Chief State School Officers. http://www.corestandards.org.
  20. Curriculum Planning and Development Division (2012). Mathematics Syllabus Secondary One to Four, Express Course, Normal (Academic) Course. Ministry of Education, Singapore.
  21. Franklin C., Kader, G., Mewborn, D., Moreno, J., Peck, R., Perry, M., and Scheaffer, R. (2007). Guidelines and Assessment for Instruction in Statistics Education(GAISE) Report: A PreK-12 Curriculum Framework. Alexandria, VA: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Retrived from www.amstat.org/education/gaise
  22. Franklin C., Kader, G., Bargagliotti A., Scheaffer, R., Case C., and Spangler D. (2015). Statistical Education of Teachers(SET) Report,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23. Keung, C. W. (2016). Discovering Mathematics 4A(2nd Edition), Star Publishing Pte Ltd.. Singapore.
  24. Mullis, I.V.S., Martin, M.O., Foy, P., & Arora, A. (2012). TIMSS 2011 International Results in Mathematics. Chestnut Hill, MA: TIMSS &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Boston College.
  25. Mullis, I. V. S., Martin, M. O., Foy, P., & Hooper, M. (2016). TIMSS 2015 International Results in Mathematics. Retrieved from Boston College, TIMSS &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website: http://timssandpirls.bc.edu/timss2015/international-results/
  26.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류희찬, 조완영, 이경화, 나귀수, 김남균, 전문 수학 옮김(2007).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경문사.
  27. OECD (2013). PISA 2012 Results: Ready to Learn (Volume III): Students' Engagement, Drive and Self-Beliefs. PISA, OECD Publishing, Paris, https://doi.org/10.1787/9789264201170-en.
  28. OECD (2016). PISA 2015 Results (Volume I): Excellence and Equity in Education. PISA, OECD Publishing, Paris, https://doi.org/10.1787/9789264266490-en.
  29. Trethewey, A. R. (1976). Introducing Comparative Education. Rushcutters Bay, Australia: Pergamon Press.

Cited by

  1. 도수밀도(Frequency density)의 수학적 연결성과 지도방안 vol.23, pp.4, 2019, https://doi.org/10.30807/ksms.2020.23.4.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