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Mothers' Parenting Belief on The Types of Discipline Methods in Children

어머니의 양육신념이 자녀 훈육방식에 미치는 영향

  • Kim, Misuk (Dept. of Child and Youth Studies, Graduate School, Chung-Ang University) ;
  • Shin, So Hee (Dept. of Child and Youth Studies, Graduate School, Chung-Ang University)
  • 김미숙 (중앙대학교 대학원 아동청소년학과) ;
  • 신소희 (중앙대학교 대학원 아동청소년학과)
  • Received : 2019.01.30
  • Accepted : 2019.03.12
  • Published : 2019.03.30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others' parenting belief on the types of discipline methods. Methods: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19 mothers of 3~5 year old children who live in Seoul and Gyeonggido.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the SPSS 23.0 program. Results: Firstly, the highest parenting belief of young children's mothers was found to be problem-solving ability. And they used mostly the discipline of logical explanation. Secondly,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arenting beliefs of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ability and the discipline of logical explanations. Thirdly, the parenting beliefs of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e ability were found to positively influence on logical explanations whereas it negatively influenced on the discipline of neglect and the forced punishment.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parenting belief affect on the types of discipline method and the mothers need education for the parenting belief of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e ability.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 신념이 훈육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시와 K도에 거주하는 어머니 219명을 대상으로 양육신념과 훈육방식을 설문지 조사하였다. 양육신념은 Okagaki와 Sternberg(1993)가 개발한 부모 양육신념 설문지를 사용했고, 훈육방식은 Calzada와 Eyberg(2002)의 부모 훈육방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상관 분석, 중다회귀 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는 양육신념 중 문제해결 능력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고, 훈육방식은 논리적 설명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육신념 중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적 능력은 훈육방식 중 논리적 설명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양육신념 중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적 능력은 훈육방식 중 논리적 설명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방임과 강압적 체벌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유아의 어머니가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적 능력 양육신념을 중요하게 생각할수록 훈육방식으로 논리적 설명을 많이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 어머니의 바람직한 훈육방식의 토대가 되는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적 능력 양육 신념에 관한 부모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선옥, 이봉순(2006). 부모의 창의적 성격특성과 양육신념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복지연구, 4(1), 73-88.
  2. 권소형, 유연옥(2011). 어머니의 훈육방식과 유아의 사회정서 능력의 관계. 과학논집, 37, 147-159.
  3. 김경혜(1994). 자녀의 지적 특성, 양육, 교육에 대한 부모의 신념: 2학년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선미(2015). 부와 모 간의 양육태도.훈육방식.유아문제행동 인식 차이 비교.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수연(2009). 4-5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양육 행동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8(2), 313-324. https://doi.org/10.5934/KJHE.2009.18.2.313
  6. 김수희(2008). 만 1세 두 영아의 놀이행동특성과 어머니의 양육신념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인지, 이숙현(2012). 어머니의 자녀 훈육 경험: 이상과 현실의 부조화와 대처. 가족과 문화, 24(2), 1-38.
  8. 김정은, 최진령(2018).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와 아동학대 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0), 499-515. doi:10.22251/jlcci.2018.18.20.499
  9. 김정화, 이영애(2013). 부모의 교육신념과 유아권리실천도 인식 간의 관계. 영유아교육연구, 16, 39-55.
  10. 김혜영, 장화정(2002). 아동학대 유형별 영향을 미치는 부모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아동권리연구, 6(2), 269-286.
  11. 남현영, 이소은(2004).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에 따른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대인문제해결력. 한국생활과학회지, 13(4), 485-496.
  12. 도순희(2008). 부모의 훈육방식과 역기능적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정서조절력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차를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병량(2001). 훈육. 서울: 학지사.
  14. 박유은, 이경화(2013). 부모의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창의성 간의 관계. Global Creative Leader, 3(1), 3-20.
  15. 백승선, 안연경, 곽경화(2017). 감정코칭 부모교육프로그램이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 정서표현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7(2), 1-24. doi:10.21213/kjcec.2017.17.2.1
  16. 보건복지부,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2017). 2016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보건복지부. 11-1352000-000025-10.
  17. 송승민, 송진숙(2007). 부모의 양육신념 및 역할 만족도와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3-7세 자녀를 둔 부모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 16(5), 933-944. https://doi.org/10.5934/KJHE.2007.16.5.933
  18. 안지영, 박성연(2002).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0(1), 53-68.
  19. 오정옥, 이경원(2015). 미취학아동 부모가 인식하고 경험하는 훈육과 학대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0(2), 247-271. doi:10.13049/kfwa.2015.20.2.247
  20. 오정현(2005). 자녀의 학교 급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성취압력에 관한 연구: 양육신념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노홍(2015). 아동의 권리와 가정내 아동체벌금지에 관한 헌법적 고찰. 홍익법학, 16(1), 123-157. doi:10.16960/jhlr.16.1.201502.123
  22. 이동희(2004). 유아의 기질, 부모간 갈등 및 어머니의 훈육방식이 유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은주, 민하영(2006). 부모의 양육가치와 양육신념이 유아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5(4), 541-549.
  24. 이재경, 박명숙(2014). 다문화가정의 아동학대 발생위험 요인으로써의 남편의 음주, 아내폭력,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48), 235-259.
  25. 이정윤, 장미경(2009).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행동의 관계: 자녀양육관련 비합리적 사고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9(2), 1-16.
  26. 이주희, 이양희(2000). 아동 및 부모특성이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아동권리연구, 4(2), 113-123.
  27. 이진화, 백경순(2018). 만 4세 유아의 아버지가 지각하는 부모역할지능, 훈육방식이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영유아 교육: 이론과 실천, 3(3), 135-155. doi:10.20926/ETPIYC.2018.3.3.7
  28. 이희선(1995). 아동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부모의 신념. 아동학회지, 16(1), 65-78.
  29. 장순상, 김영희(2017).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훈육방식과 정서특성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연구논총, 21(1), 49-62.
  30. 전은영(2004). 어머니의 양육신념 및 양육 효능감에 따른 유아의 자아개념과의 차이.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정옥분(2002). 아동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32. 정혜린, 이순형(2016). 유아의 기질이 도덕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훈육방식의 매개효과. 열린부모교육연구, 8(4), 71-87.
  33. 조은영(2009). 부모의 훈육방식과 유아의 양심간의 관계: 유아의 두려운 기질의 중재적 역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주정호(2014).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태도가 유아의 다중 지능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지실천학회지, 6(2), 30-54.
  35. 최경미, 김혜순(2010). 유아의 사회성과 어머니의 양육신념이 유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19(4), 261-275.
  36. 최선녀, 문영경(2016).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부모의 훈육방식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97, 125-156.
  37. 최영미, 이희영(2017). 가정의 소득수준과 부모의 훈육방식 및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관계. 열린부모교육연구, 9(1), 1-22.
  38. 최은숙(2013). 부모의 양육신념과 유아의 정서조절행동. 유아교육.교육복지 연구, 17(4), 132-151.
  39. 최은영, 이진화, 김승진(2015). 2015 유아교육 정책의 성과와 과제. 육아정책연구소. 2015-22.
  40. 최향숙, 한세영(2011). 어머니의 완벽주의와 자아개념이 양육 신념에 미치는 영향. 생애학회지, 1(2), 31-48.
  41. 표갑수(1993). 아동학대의 원인론과 대처방안. 한국아동복지학, -(1), 156-177.
  42. 홍경선, 김영희(2005). 어머니의 훈육방식과 유아의 기질이 유아의 도덕성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연구논총, 9(1), 1-16.
  43. Afifi, T. O., Mota, N., Sareen, J., & MacMilan, H. L. (2017). The relationships between harsh physical punishment and child maltreatment in childhood and intimate partner violence in adulthood. BMC Public Health, 17(1), 1-10. doi:10.1186/s12889-017-4359-8
  44. Baumrind, D. (1971). Current patterns of parental authority. Developmental Psychology, 4(1), 1-103. doi:10.1037/h0030372
  45. Calzada, E. J., & Eyberg, S. M. (2002). Self-reported parenting practices in dominican and puerto rican mothers of young children. Journal of Clinical Childl & Adolescent Psychology, 31(3), 354-363. doi:10.1207/s15374424jccp3103_07
  46. Curwin, R. L., & Mendler, A. N. (1988). Discipline with dignity.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47. Daddis, C., & Smetana, J. (2005). Middle-class African American families' expectations for adolescents' behavioural autonomy.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9(5), 371-381. doi:10.1080/01650250500167053
  48. Dahlberg, G., Moss, P., & Pence, A. (2007). Beyond qu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Languages of evaluation. British: Routledge. doi:10.4324/9780203966150
  49. Dreikurs, R. (1957). Psychology in the classroom: A manual for teachers. New York Harper & Row.
  50. Edwards, C. P., Gandni, L., & Giovaninni, D. (1996). The contrasting developmental timetables of parents and preschool teachers in two cultural communities. In S. Harkness & C. M. Super (Eds.), Parent's cultural belief systems: Their origins, expressions, and consequences, (pp. 270-288). New York: The Gillford Press.
  51. Edwards, C. P., Knoche, L., Aukrust, V., Kumru, A., & Kim, M. (2006). Parental ethnotheories of child development: Looking beyond independence and individualism in American belief systems. In Kim, U., Yang, K., & Hwang, K. (Eds.), Indigenous and cultural psychology: Understanding people in context, (pp. 141-162). New York, NY, US: Springer Science.
  52. Erikson, E. H. (1993). Childhood and society. New York.London: W.W. Norton & Company.
  53. Freud, S. (1949). An outline of psychoanalysis. New York: W.W. Norton.
  54. Gardner, H. (1982). Art, mind, and brain: A cognitive approach to creativity. New York: Basic Books.
  55. Ginott, H. G. (1972). Teacher and child: A book for parents and teachers. New York: MacMilan.
  56. Glasser, W. (1985). Discipline has never been the problem and isn't the problem now. Theory Into Practice, 24(4), 241-246. doi:10.1080/00405848509543181
  57. Gorden, T. (1970). P. E. T., 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The tested new way to raise responsible children. New York: Peter H. Wyden.
  58. Harkness, S., & Super, C. M. (1996). Parents' cultural belief systems: Their origins expressions, and consequences. Harkness, S., & Super, C. M. (Eds.) New York: The Guilford press.
  59. Hess, R, D., Kashiwagi, K., Azuma, H., Price, G. G., & Dickson, W. P. (1980). Maternal expectations for mastery of developmental tasks i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15(1-4), 259-271. doi:10.1080/00207598008246996
  60. Holloway, S. D., & Reichhart-Erickson, M. (1989). Child-care quality, family structure, and maternal expectations: Relationship to preschool children's peer relation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0(3), 281-298. doi:10.1016/0193-3973(89)90031-2
  61. McCoy, M. L., & Keen, S. M. (2013). Child abuse and neglect: 2nd edition. New York: Psychology Press. doi:10.4324/9780203120699
  62. Okagaki, L., & Sternberg, R. J. (1993). Parental beliefs and children's school performance. Child Development, 64(1), 36-56. doi:10.1111/j.1467-8624.1993.tb02894.x
  63. Olson, S. L., Tardif, T. Z., Miller, A., Felt, B., Grabell, A. S., Kessler, D., ... Karasawa, H. H. (2011). Inhibitory control and harsh discipline as predictors of externalizing problems in young children: A comparative study of U. S., Chinese, and Japanese preschooler.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9, 1163-1175. doi:10.1007/s10802-011-9531-5
  64. Raghavan, C. S., Harkness, S., & Super, C. M. (2010). Parental ethnotheories in the context of immigration: Asian Indian immigrant and Euro-American mothers and daughters in an American town.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41(4). 617-632. doi:10.1177/0022022110362629
  65. Ren, L., & Edwards, C. P. (2015). Pathways of influence: Chinese parents' expectations, parenting styles, and child social competence.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85(4), 614-630. doi:10.1080/03004430.2014.944908
  66. Ren, L., Knoche, L. L., & Edwards, C. P. (2016). The Relation between Chinese preschoolers’ social-emotional competence and preacademic skill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27(7), 875-895. doi:10.1080/10409289.2016.1151719
  67. Skinner, B. F. (1976). About behaviorism. New York: Random House.
  68. Smetana, J. G., Campione-Barr, N., & Daddis, C., (2004). Longitudinal development of family decision making: Defining healthy behavioral autonomy for middle? class African American adolescents. Child Development, 75(5), 1418-1434. doi:10.1111/j.1467-8624.2004.00749.x
  69. Smetana, J. G., & Daddis, C. (2002). Domain-specific antecedent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monitoring: The role of parenting beliefs and practices. Child Development, 73(2), 563-580. doi:10.1111/1467-8624.00424
  70. Smetana, J. G., Daddis, C., & Susan, S. C. (2003). “Clean your room!”: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of adolescent-parent conflict and conflict resolution in middleclass African American families.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18(6), 631-650. doi:10.1177/0743558403254781

Cited by

  1. 18~24개월 자녀를 둔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신념 및 신념에 따른 양육 실제 vol.17, pp.4, 2021, https://doi.org/10.14698/jkcce.2021.17.04.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