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ome 4-year Dental Technology Students Perceptions of Field Learning Environment(FLE)

일부 4년제 치기공학과 학생이 인지한 현장실습교육환경(FLE)에 관한 연구

  • 황경숙 (신한대학교 치기공학과)
  • Received : 2019.04.30
  • Accepted : 2019.06.24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Purpose: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some 4-year dental technology students perceptions of field learning environment(FLE).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October 15th to November 30th, 2017. 163 copies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We surveyed questionnaire 163 of some 4-year dental technology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2.0 for windows, and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Satisfaction of practicing educator 3.88,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3.49, major satisfaction 3.34, and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3.25.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were clinical practice place, number of clinical practice sites, work done in clinical practice, and difficulties (p < .05).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nd satisfaction with major (P < .05).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were able to check the current field learning environment(FLE) and actual condition of students.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desired clinical practice, it is anticipa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a field learning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course of the field desired by the user.

Keywords

I. 서론 

현장실습은 교육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학습한 내용을 현장에서 적용하도록 함으로써 학생의 잠재능력을 개발하고 창의력을 길러주는 학습과정으로 전체 교육과정에서 매우 중요하게 인식된다(Locken &Norberg, 2005). 학생들은 현장실습을 통해 자신의 직업관을 형성하게 되고 전문인이 되어 가는 과정에서 가장 의미 있는 시간을 경험하게 되므로(Linda, 2009),현장실습은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시간으로 활용되어야한다(An, 2006).

치기공학과 교수협의회는 현장실습의 교육 목표를 치과기공사로써 필요한 여러 가지 자질 향상과 현장에서필요한 제반 경험을 습득하고 치과 보철기공, 치과 교정분야의 업무를 숙지하고 숙달시켜 참다운 치과기공사가되도록 하는 것이라 정의하였다. 또한, 현장실습의 궁극적인 목적은 학교가 설정한 교육목표를 달성함에 있으며, 학교에서 실시되는 모든 교육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있어 이에 대한 상호보완의 관계 속에서 성과를 기대할수 있다고 하였다(Professor Council of Dept, 2006).치기공학과 현장실습교육은 치기공학을 전공하는 학생들로 하여금 학교에서 배운 지식과 기술을 토대로 치과보철물과 치과장치물 제작에 관련된 기술과 재료, 기기를 개발·연구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 실제 임상에서 적용할 수 있는 과정과 방법을 훈련시키는 교육과정으로 치기공학과 교육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Jung,2004).

학생들은 현장실습을 함으로써 이론 수업의 이해도가 높아졌으며, 전공에 대한 자신감이 생겼다고 하여현장실습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Lee & Kim,2008). 현장실습만족도가 높을수록 업무수행능력은 더욱 증대되고(Choi, 2005), 현장실습만족도의 내용, 지도, 환경 등 다양한 측면이 학교에서의 실습만족도와관련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현장실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현장실습교육환경을 설계해야 한다고 하였다(Han, 2000).

현장실습교육환경(FLE)은 학생들의 임상학습결과에영향을 미치는 임상환경에서 상호작용하는 요소들의 네트워크라고 할 수 있으며(Dunn & Burnett, 1995), 현장실습교육환경의 질은 학생들의 현장실습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Papp et al, 2003; Yim &Chan, 2001). 또한 현장실습교육환경은 학생의 임상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총체적인 요인이다(Chan, 2001).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현장실습에 대한 치기공과학생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로 Lee & Kim(2008)과Jung(2011)의 국내 연구가 있었다. 또한, 치기공학과학생의 현장실습 환경과 안전에 관한 연구가 2016년 진행되었으며(Jung et al, 2016), 치기공과 학생의 현장실습 스트레스와 현장실습 만족도의 연관성 연구가 2017년에 있었다(Kang et al, 2017). 그러나 대부분 3년제학제에서의 현장실습만족도에 중점이 맞춰져있어 4년제의 치기공학과의 현장실습교육환경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부 4년제 치기공학과 학생의 현장실습교육환경에 대해 확인하고 현장실습교육환경 요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현장실습교육의 계획에서 평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활용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2017년 10월 1∼10일까지 예비조사를 거쳐 수정·보완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1차 2017년 10월 15일∼30일, 2차 2017년 11월 10∼30일까지 전국 19개의 치기공(학)과 중 4년제인 2개의 대학교 2학년, 3학년, 4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중에서 현장실습경험이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에게는 연구목적에 대해 설명을 하였으며, 본 조사의 연구목적과 자료수집과정을 설명하고 연구수행에 대한 동의와허락을 얻은 후 수행되었다. 연구에 참여하기를 자율적으로 동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설문지는 개별적으로 작성하도록 한 후 현장에서 직접 수거하였으며, 설문지 작성시간은 약 10분 정도 소요되었다. 총 250개의 설문지 중 196부를 회수하였으며(회수율 78.4%), 불성실한 응답을 한 33부를 제외하고 총 163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2. 연구 도구

연구도구는 Jung(2004)의 설문지를 참고하여 예비조사를 통해 본 연구의 목적에 맞추어 최종 수정·보완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 특성(성별, 연령, 학교성적) 3문항, 만족도 관련(대학생활 만족도, 전공만족도, 현장실습만족도, 실습교육자만족도) 4문항,현장실습교육환경 관련(현장실습 횟수, 시기, 기간, 장소, 주요업무, 애로사항 등) 9문항, 학교교육과 현장실습교육환경 관련 4문항, 희망하는 현장실습교육환경(희망 현장실습횟수, 시기, 기간, 장소, 주요업무) 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3. 연구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Science) 22.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자료처리를 위해 사용한 통계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만족도 관련 특성, 현장실습교육환경 관련 내용, 학교교육과 현장실습교육환경관련 내용, 희망하는 현장실습교육환경은 빈도분석하였다. 현장실습교육환경과 현장실습만족도, 학교교육과현장실습교육환경은 카이제곱검정하였고, 만족도 간의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만족도 측정을 위해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점수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최저 1점, 최고 5점). 통계적 검정수준(α)은 .05이다.

Ⅲ. 결과

1.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은 표 1과 같다. 성별은 여성이 52.8%로 조사되었고, 남성이 47.2%로 조사되었으며, 연령은 20∼24세가 56.4%, 25∼29세 42.9%, 30세 이상이 0.6% 순으로 조사되었다. 학교성적은 3.0∼3.5미만이 38.7%, 3.5∼4.0미만이 28.8%, 4.0이상이17.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CGKGBM_2019_v41n2_137_t0001.png 이미지

2. 연구대상자의 만족도에 관한 사항 

연구대상자의 만족도에 관한 사항은 표 2와 같다. 실습교육자만족도는 리커트 척도 평균 3.88 ± 0.866으로조사되었고, 현장실습만족도는 3.49 ± 0.965로 조사되었으며, 전공만족도는 3.34 ± 1.026으로 나타났다.대학생활만족도는 3.25 ± 0.925로 조사되었다.

Table 2. Satisfaction of students

CGKGBM_2019_v41n2_137_t0002.png 이미지

Likert 5 point sales(Min 1, Max 5)

3. 현장실습교육환경(FLE)과 현장실습만족도

현장실습교육환경(FLE)과 현장실습만족도는 표 3과같다. 현장실습횟수는 1회가 49.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현장실습시기는 3학년 겨울방학이 56.4%으로 조사되었으며, 현장실습기간은 6주가 76.7%로 조사되었다. 현장실습의 장소는 치과기공소가 74.7%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고, 치과병의원기공실 11.6%, 대학병원기공실이 10.6%로 조사되었다. 현장실습지 치과기공사수는 5-9인이 30.1%로 조사되었고, 현장실습출퇴근거리는 30분∼1시간이 58.9%로 조사되었으며, 현장실습교육지도자는 분야별 파트장이 46.0%, 현장실습에서 해본 업무는 모형작업 및 마운팅이 33.2%로 가장 높게조사되었다. 애로사항으로는 딜리버리 및 기타 업무가31.9%로 조사되었고, 부정확한 퇴근시간이 30.7%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3. Field learning environment(FLE) and field practice satisfaction

CGKGBM_2019_v41n2_137_t0003.png 이미지

* Multiple responses, N(%) = 198(100.0%)

** Multiple responses, N(%) = 325(100.0%)

현장실습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현장실습장소(p=.022), 현장실습지 치과기공사 수(p=.049), 실습에서 해본 업무(p=.022), 애로사항(p=.002)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5).

4. 학교교육과 현장실습교육환경(FLE)

학교교육과 현장실습교육환경(FLE)에 관한 내용은 표 4와 같다. 학교교육의 이론적 내용이 현장실습에 적용하는데 충분했는지에 대하여 보통 51.5%, 충분27.0%, 부족 14.1% 순으로 조사되었고, 현장실습과 비교 시 학교수업에서 보완되어져야 하는 영역으로는 3DPrinting 및 CAD/CAM이 35.0%, 모형작업이 20.2%,교합이론 및 형태이론이 17.2%순으로 조사되었다. 졸업후 취업분야를 결정하는데 현장실습 참여나 중요정도는충분 56.4%, 보통 25.2%, 매우 충분이 14.7% 순으로조사되었으며, 현장실습교육환경에서 가장 만족한 부분에서 가까운 출퇴근거리 23.5%, 교육지도 21.4%, 선생님들과 소통 19.8%, 환경/시설 장비와 점심제공 등 복지가 각각 17.6%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4. School education and field learning environment(FLE)

CGKGBM_2019_v41n2_137_t0004.png 이미지

* Multiple responses, N(%) = 323(100.0%)

학교교육의 이론적 내용이 현장실습에 적용하는데충분했는가에 따른 현장실습만족도(P=.000)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현장실습과 비교 시 학교수업에서 보완되어져야 하는 영역과 만족도의 관계(P=.028)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졸업 후 취업분야를 결정하는데 현장실습 참여나 중요정도(P=.049), 현장실습교육환경에서 가장 만족한 부분(P=.019)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조사되었다(p<.05).

5. 희망하는 현장실습교육환경(FLE)

희망하는 현장실습교육환경(FLE)은 표 5와 같다. 희망하는 현장실습횟수 2회(57.7%), 희망하는 현장실습시기 3학년 겨울방학(55.8%), 희망하는 현장실습기간은 4주(63.2%), 희망하는 현장실습장소는 치과기공소(66.3%), 희망하는 현장실습의 교육지도자는 분야별 파트장(60.7%)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5. Desired field learning environment(FLE)

CGKGBM_2019_v41n2_137_t0005.png 이미지

p<.05

희망하는 현장실습교육환경과 현장실습만족도의 관계에서 현장실습 기간이 4주일 때(P=.001)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6.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

연구 대상자의 대학생활만족도 및 전공만족도 등 만족도 간의 관계를 보면 표 6과 같다. 모든 독립변인들의만족도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현장실습만족도와 전공만족도 간에 양의 상관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0.5).

Table 6.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CGKGBM_2019_v41n2_137_t0006.png 이미지

**p<.05​​​​​​​

Ⅳ. 고찰

본 연구에서는 치기공학과 학생들의 현장실습교육환경(FLE)에 대한 인지정도를 확인하고 이들 요인들 간이관계를 규명하여 현장실습교육에 대한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전략을 세울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현장실습교육환경은 완전히 통제될 수 없는 환경에 놓여있기 때문에 학생들은 예기치 못한 사건이나 불확실한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Reider & RileyGiomarison, 1993). 이러한 상황에서 현장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갖게 될 경우 궁극적으로 전공학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갖게 되고, 전문직업인으로서의긍지가 하락하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Ko et al,2011). 그러므로 현재 현장실습교육환경에 대한 인지정도를 확인하고 현장실습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있는 방법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Jung et al(2016)과 Kang et al(2017)의 연구에서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현장실습만족도가 높은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본 연구와 같은 결과로, 현장실습만족도와 전공만족도 간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것과 같았다. 선행연구로 미루어 볼 때, 전공만족도를높이는 것이 현장실습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으므로, 이를 위해 전공교과목에 대한 어려움을 해결하고수업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의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현장실습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현장실습장소, 현장실습지 치과기공사 수, 현장실습에서 해본 업무, 애로사항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실습장소는 치과기공소일 때, 현장실습지의 치과기공사는 5∼9인일 때, 애로사항으로는 딜리버리 및 기타 업무를 수행 할 때로 조사되었다. Kim etal(2008)의 연구에서 현장실습스트레스 중에서 현장실습교육환경의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현장실습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본 연구에서처럼 현장실습업무에 대한 불만족은 현장실습의 만족도를 낮추는것과 일맥상통한다. 실습내용 만족도에서의 세부항목은현장실습 시 주로 단순하고 기능적인 일만 반복할 때 가장 낮은 현장실습만족도를 나타냈다. 이는 현장실습교육환경에서 학생들에게 간단하고 쉬운 기본적인 작업을시키는 경우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며, 개인적인훈련과 반복된 연습 그리고 실습을 통해서 보다 전문화되고 세분화된 기술을 익힌 후, 현장실습에 임하는 것이현장실습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Jung(2004)의 연구에서 현장실습 장소까지의 이동시간에 따른 현장실습만족도에서 현장실습장소가 가까울수록 현장실습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연구와 같은 결과로 주거지에서 현장실습장소까지 30분∼1시간이내(58.9%)일 때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실습교육현장은 현장 내부 요인뿐만 아니라환경 밖의 요소 또한 고려되어야 할 요인임을 확인할 수있었다.

학교교육의 이론적 내용이 현장실습에 적용하는데 충분했는가에 따른 현장실습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현장실습과 비교 시 학교수업에서 보완되어져야 하는 영역과 만족도의 관계에서도 통계적으로유의하게 나타났다. 졸업 후 취업분야를 결정하는데 현장실습 참여나 중요정도, 현장실습교육환경에서 가장만족한 부분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조사되었다.

현장실습교육환경에서의 실습지도자는 제시된 학습환경에서 학생의 흥미를 유발시켜 문제 해결을 할 수 있도록 방향을 이끌어주는 노력이 필요한데, 실습지도자의 자세가 실습을 좌우할 수 있다는 Lee(1998)의 연구에서처럼 본 연구에서도 실습지도자 만족도가 높을수록 실습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조사되었다. 현장실습교육에서 현장실습지도자는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핵심적인 요소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 연구대상자는 교육받기를 희망하는 임상 교육지도자로 분야별 파트장을선호하였다. 소장 및 실장은 학생이 대하기 어렵고 바쁘며, 신입직원은 기술부분에서 취약할 수 있으므로 학생들은 모든 요소가 고루 갖추어진 분야별 파트장을 선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Kim(2000)과 Jung & Jang(2011)의 연구에서 전공에대한 특성에 따른 현장실습만족도에서는 남성과 여성모두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현장실습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본 연구에서도 전공에 대한 만족도와 현장실습만족도 간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대학에서는 학생들에게 이론수업을 기초로 치과기공소 및 치과병의원의 기공실 등과 같은 현장교육현장에서 실질적인 전공 관련 업무를 경험하게 함으로써, 학업성취도를 높이고 보다 전문적이고 성숙한 치과기공사로 성장하는 밑거름을 제공하여야 한다(Lee & Kim,2008).

본 연구에서 일부 4년제 대학의 학과를 대상으로 하는데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며, 3년제에서 4년제로의 학제변화를 하는 치기공학과의 변화된 교육과정을 반영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추후 4년제 학과의 전체적인 교육과정에서 현장실습교육에 대한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전략을 세울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Ⅴ. 결론

본 연구는 일부 4년제 치기공학과 학생 163명의 설문조사 내용을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자료처리를 위해 빈도분석, 카이제곱검정,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실습교육자만족도 3.88, 현장실습만족도 3.49, 전공만족도 3.34, 대학생활만족도 3.25로 조사되었다.

2. 현장실습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현장실습장소, 현장실습지 치과기공사 수, 현장실습에서 해본업무, 애로사항으로 나타났다(p<.05).

3. 학교교육의 이론적 내용이 현장실습 적용에 충분했을 때 현장실습만족도가 높았으며, 졸업 후 취업분야를 결정하는데 현장실습의 경험이 중요한 것으로조사되었다(p<.05).

4. 희망하는 현장실습교육환경으로 실습횟수는 2회, 현장실습시기는 3학년 겨울방학, 현장실습기간은 4주,현장실습장소는 치과기공소, 현장실습 교육지도자는 분야별 파트장으로 조사되었다.

5. 현장실습만족도와 전공만족도 간에 양의 상관관계가가장 높게 나타났다(P<.05).

본 연구를 통하여 치기공학과 재학생의 현재 현장실습교육환경 및 실태를 점검할 수 있었으며, 희망하는 현장실습교육환경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러므로 현장실습교육에 대한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전략을 세울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References

  1. An HG.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mental health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8(6), 2249-2263, 2006.
  2. Chan DSK. Development of an innovative tool to assess hospital learning environment. Nurse Education Today, 21, 624-631, 2001. https://doi.org/10.1054/nedt.2001.0595
  3. Choi M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effectiveness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and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The Graduate School of Clinical Health Science, 2005.
  4. Dunn SV, Burnett P. The development of a clinical learning scal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2, 1166-1173, 1995. https://doi.org/10.1111/j.1365-2648.1995.tb03119.x
  5. Jung HK, Jang EJ. A study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clinical training fo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according to their gender. J Kor Acad Dent Tech, 33(1), 103-112, 2011.
  6. Jung HK, Kwak DJ, Lee JD. The effects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n career decision levels among dental technology students. J Kor Acad Dent Tech, 38(4), 353-363, 2016. https://doi.org/10.14347/kadt.2016.38.4.353
  7. Jung YH. Satisfaction on the clinical training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ental techniques. Department of Public Health Yeungnam University. 2004.
  8. Kang W, Kim IS, Choi BH.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in students of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J Kor Acad Dent Tech, 39(4), 275-284, 2017.
  9. Kim JS, Jung HK, Park NG. A Study on the related factors of students' stress in dental laboratory college. J Kor Acad Dent Tech, 30(1), 121-130, 2008.
  10. Kim YH. A Study on stress factor of practice fo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Dept. of Dental Hygiene Kyung Bok College, 2000.
  11. Ko SJ, Kang SS, Kim CS, Choi SY, Kim JH. Study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by students in department of radiologic science. J Radio Sci Technol, 34(4), 287-296, 2011.
  12. Lee HS, Kim EJ. The comparison of stress coping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to the grade of nursing college student. J East West Nurs Res, 14(1), 5-13, 2008.
  13. Lee SY.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Clinical Education of Nursing Students This study was designed to measure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Journal of the Geoje University, 6, 211-230, 1998.
  14. Linda MM. Intervention strategies to decrease nursing students anxiety in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8(1), 17-23, 2009. https://doi.org/10.3928/01484834-20090101-08
  15. Locken T, Norberg H. Reduced anxiety improves learn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through utilization of mentoring triads, Abstract retrieved December 29 2006, from http://nursing.byu.edu/research/Docs/abstract/Locken. 2005.
  16. Papp I, Markkanen M, Von Bonsdorff M. Clinical environment as a learning environment : student nurses' perception concerning clinical learning experiences. Nurse Education Today, 23, 262-268, 2003. https://doi.org/10.1016/S0260-6917(02)00185-5
  17. Professor Council of Dept. Dental Technology. Guide Book for Dental Laboratory practice, 2006.
  18. Reider JA, Riley-Giomarison O.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perspectives of their clinical nursing leadership experience. J Nurs Educ, 32(2), 127-132, 1993. https://doi.org/10.3928/0148-4834-19930301-08
  19. Yim W, Chan DSK. Hong Kong nursing student' perception of the clinical environment: a 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2(6), 665-672, 2004. https://doi.org/10.1016/j.ijnurstu.2004.09.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