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layer Type through Game Quest's Editability

게임 퀘스트의 편집가능성에 따른 플레이어의 유형 연구

  • Gim, Hee-Jun (Dept. of Digital Media,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Lee, Dong-Eun (Dept. of Media Technology Content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김희준 (가톨릭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과) ;
  • 이동은 (가톨릭대학교 미디어기술콘텐츠학과)
  • Received : 2019.05.13
  • Accepted : 2019.06.11
  • Published : 2019.06.19

Abstract

Advances in technology are enhancing the player's visual satisfaction in games. Reflexively, narrative satisfaction has not been highlighted. This led to a player's critical view of the absence of original games. Especially in gameplay, quests require repeat and similar content and imperative tasks. It is overlooked that a quest can cause players to produce various meanings and effects. The concept of editing ability to reorganize the designed rules of the player beyond the performance and behavioral rules is conceptualized, and the four types of players that operate the characteristics can see that the player can intensify game play and immerse himself in play saw.

게임 테크놀로지의 발전은 플레이어로 하여금 시각적 만족을 향유할 기회를 제공한다. 반면 게임 미디어가 재현해내는 서사적 향유와 만족감은 퇴보시키는 결과를 야기한다. 이야기 예술의 진화라는 관점에서 독창적 게임 스토리텔링의 소멸과 부재는 게임을 향한 플레이어들의 비판적 견해로 이어진다. 특히 게임 스토리텔링을 플레이어 층위에서 실제 작동하게 하는 퀘스트는 반복적이고 전형적인 내용으로 명령형의 과제만을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한계점에 와 있다. 이른바 퀘스트를 통한 의미 있는 플레이와 스토리텔링의 효과가 간과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퀘스트의 대표적인 기능이라고 할 수 있는 수행성과 행동규정성을 넘어, 플레이어가 디자인된 퀘스트 규칙을 수정, 개편하는 편집가능성을 개념화하고, 그 특성을 운용하는 플레이어의 특성을 4가지로 유형화해보았다. 이를 통해 퀘스트의 편집가능성이 플레이어 스스로 게임성을 강화하고 게임 플레이에 몰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KGOHCL_2019_v19n3_43_f0001.png 이미지

[Fig. 1] Sudden Attack: hide and seek

KGOHCL_2019_v19n3_43_f0002.png 이미지

[Fig. 2] Baramue Nara: Carrying play

KGOHCL_2019_v19n3_43_f0003.png 이미지

[Fig. 3] Skyrim: Boethiah Quest

KGOHCL_2019_v19n3_43_f0004.png 이미지

[Fig. 4][Diablo 2: Cow Level Quest]

KGOHCL_2019_v19n3_43_f0005.png 이미지

[Fig. 5] Borderlands2: Ester egg of Minecraft

[Table 1] Characteristics of Quest

KGOHCL_2019_v19n3_43_t0001.png 이미지

References

  1. Ki-Deok Nam, "Korean games have no themes", (2019 march 9), retrieved 15 april 2019, from http://www.inven.co.kr/webzine/news/?news=216334
  2. "It's hard to open a game distribution license.", (2019 April 7), retrieved 15 April 2019, from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1904055719g
  3. Jae-Hong Lee, "GRAC, ecosystem support focus more on regulation", (2019 march 8), retrieved 15 April 2019, from http://gametoc.hankyung.com/news/articleView.html?idxno=50993
  4. Johan Huizinga, "Homoludens",YeonAmSeoGa, p.42, 2010
  5. Janet Murray, "Interactive Storytelling", AnGraphics, p.147, 2001.
  6. Joseph Campbell, "The Hero with a Thousand Faces", Minumsa, pp.69-314, 2004
  7. Espen J. Aarseth, "Cybertwxt", Glnurim,, pp.20, 2007
  8. Marie-Laure Ryan, narrative across media, Lincol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pp.361-375 ,2004.
  9. Jesper juul, "Half-real", Vizandbiz, p.30, 2014
  10. Jeff Howard, Quest: Design, Theory, and History in Games and Narratives,, AK Peters, pp.45-146 2008,
  11. Zimmerman, Eric, Gaming Literacy: Game Design as a Model for Literacy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e Video Game Theory Reader2, Routledge, New York,, pp.26-28, 2009.
  12. Bogost, Ian. Unit Operations: An Approach to Videogame Criticism, pp.3-20, Cambridge, MA,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