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알코올 중독자 회복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치료공동체를 중심으로)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Rehabilitation Experience of Alcoholics, Focusing on Therapeutic Community

  • 정현숙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나동석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투고 : 2019.04.30
  • 심사 : 2019.06.13
  • 발행 : 2019.06.28

초록

본 연구는 치료공동체에 거주하고 있는 회복자들의 회복경험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에는 치료공동체에 거주하고 있는 회복자 9명이 참여하였다. 자료는 심층 면담을 통해 구성했고 Giorgi가 제안한 기술적 현상학적 분석 단계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연구참여자들은 직면의 용기, 책임감의 부활, 일상생활속의 사회기술 훈련, 치료동맹자 가족, 노동생산성 향상, 가족으로 돌아가는 황금의 다리, 자기실존과의 조우라는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치료공동체 내에 직업훈련 프로그램의 도입, 치료공동체와 지역사회 자원과의 연계, 치료공동체 프로그램에 가족 참여를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is about recovery experiences of rehabilitators who reside in the therapeutic community. Nine rehabilitators who reside in the therapy community have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e research methods are made up with in-depth interview and descriptive analysis phrases of phenomenology Giorgi has propose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participants have experienced courage to confront, reestablishment of responsibility, social skills training in daily life, therapeutic ally family, improvement in labour productivity, golden bridge of returning to their family and encounter self-existence. Based on the result of research, researchers have proposed the job-training program in therapeutic community, link the therapy community to the resource of local community and participation of rehabilitators' family in programs of the therapeutic community.

키워드

CCTHCV_2019_v19n6_424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치료공동체에서의 회복경험

표 1. 연구참여자 특성

CCTHCV_2019_v19n6_424_t0001.png 이미지

표 2. 분석결과 목록

CCTHCV_2019_v19n6_424_t0002.png 이미지

참고문헌

  1. 보건복지부, 서울삼성병원, 2016년 정신질환 실태조사, 2017.
  2. 이상훈, 김혜정, 신성민, "치료공동체에 참여하고 있는 알코올 의존자들의 생활양식수준이 변화단계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제13권, 제1호, pp.311-324, 2012.
  3. N. Messina, E. Wish, and S. Nemes, "Predictors of treatment outcomes in men and women admitted to a therapeutic community," American Journal of Drug and Alcohol Abuse, Vol.26, No.20, pp.207-227, 2000. https://doi.org/10.1081/ADA-100100601
  4. http://www.kaar.or.kr/, 2019.03.05.
  5. 한승일, 음주문제가 있는 노숙인을 위한 치료공동체모형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6. 차진경, 전영민, "알코올 중독자 회복을 위한 치료공동체 프로그램 효과측정 도구의 신뢰도검증," 한국알코올과학회, 제10권, 제1호, pp.65-80, 2009.
  7. 유채영, 문제음주자의 변화 동기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8. 박애란, 알코올 의존자의 회복경험: 삶의 거듭남,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9. 최송식, 이솔지, "알코올 중독자의 회복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정신보건과사회사업, 제30권, pp.418-448, 2008.
  10. 홍미연, 조미경, "알코올 중독자의 회복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제12권, 제1호, pp.135-162, 2018. https://doi.org/10.22867/KAQSW.2018.12.1.135
  11. 정상연, 김주심, 김유진, 김영미, 천성문, "대물림 알코올 중독자의 회복과정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재활심리연구, 제23권, 제4호, pp.815-842, 2016.
  12. 최미란. 조희선, "알코올 중독자 남편을 둔 여성배우자의 자아 주체성 회복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3호, pp.576-589,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3.576
  13. 권학선, "알코올 중독자의 재발 추출요인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교류분석과 심리사회연구, 제3권, 제1호, pp.61-86, 2006.
  14. 우재희, "남녀 알코올 중독자의 외상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298-307,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298
  15. 차진경, 치료공동체 프로그램이 알코올 의존자의 회복과정, 변화단계 및 혈청Cortisol농도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16. G. De Leon, The Therapeutic Community: Theory, Model, and Method, New York, Spring Publishing Company, 2000
  17. D. Kressel, G. De Leon, M. Palij, and G. Rubin, "Measuring client clinical progress in therapeutic community treatment: The therapeutic community Client Assessment Inventory, Client Assessment Summary, and Staff Assessment Summary," Journal of Substance Abuse Treatment, Vol.19, No.3, pp.267-272, 2000. https://doi.org/10.1016/S0740-5472(00)00108-2
  18. J. O. Prochaska and C. C. DiCiemente, "Stages of change in the modification of problem behaviors," In M. Hersen, R. M. Eisler, and P. M. Miller(Eds), Progress in Behavior Modification, Vol.26, pp.183-218, 1992.
  19. 신성만, 권정욕, 손명자 역, 동기강화상담변화 시키기, 시그마프레스, 2006.
  20. D. B. Donovan and D. B. Rosengren, "Motivation for behavior change and treatment among substance abusers," In J. A. Tucker. D. M. Donovan, and G. A. Marlatt(Eds), Changing Addictive Behavior. New York. The Guilford Press, 1999.
  21. N. Jainchill, J. Hawake, G. De Leon, and J. Yagelka, "Adolescents in therapeutic community: one-year posttreatment outcomes," Journal of Psychoactive Drugs, Vol.32, No.1, pp.81-94, 2000. https://doi.org/10.1080/02791072.2000.10400214
  22. A. L. Nielsen and F. R. Scarpitti, "Prediction retention in a therapeutic community for incarcerated substance abusers," Journal of Offender Rehabilitation, Vol.34, No.3, pp.47-85, 2002. https://doi.org/10.1300/J076v34n03_04
  23. M. Van Manen,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0.
  24. A. Giorgi,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ousands Oak, CA. Sage, 2004.
  25. 박미숙, "알코올 사용장애자의 알코올 단서에 의해 유발된 갈망 특성," 감성과학, 제10권, 제4호, pp.603-611, 2007.
  26. 김교헌, "중독 그 미궁을 헤쳐 나가기,"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2권, 제4호, pp.667-693, 2007.
  27. 강선경, 최윤, "약물중독자 회복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제12권, 제1호, pp.191-211, 2018. https://doi.org/10.22867/KAQSW.2018.12.1.191
  28. E. G. Guba and Y. S. Lincoin, "Inquiry Methodologies?," In D. M. Fetterman(Ed). 89-115 Qualitative Approaches to Evaluation Action in Education, New York, Praeger, 1985.
  29.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II: Method, 아카데미프레스, 2014.
  30. F. J. A. Wertw, Phenomenological Psychological Approach to Trauma and Resilience; Five Ways of Doing Qualitative Analysis, New York, The Guilford Press, 2011.
  31. H. L. Goodall, Writing Qualitative Inquiry; Self, Stories, and Academic Life, New York, Routledge, 2008.
  32. 박애란, 차진경, "지역사회와 중독," 중독재활총론, 학지사, 2011.
  33. M. Lyvers, V. Jones, M. Edwards, K. Wood, and F. A. Thorberg, "Traits associated with treatment retention in a therapeutic community for substance dependence," Therapeutic Communitie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herapeutic Communities, Vol.39, No.3, pp.137-147, 2018. https://doi.org/10.1108/TC-10-2016-0020
  34. 박희훈, 이유정, "다문화 가정 중학생이 가정 내 사회적 자본과 학교 생활적응간의 관계에서 다문화 정체성 인식의 매개효과," 교육문화연구, 제25권, 제1호, pp.725-743, 2019.
  35. 진영, 이경락, "사회적 자본이 이동학습자의 지식공유 행위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8권, 제9호, pp.647-658, 2018.
  36. O. B. William and B. P. Fernado, "The therapeutic community," Section VI Treatment Approaches, In H. L. Joyce, R. Pedro, B. M. Robert, and G. L. John(4th Eds), Substance Abuse: A Comprehensive Textbook. Baltimore, Williams & Wilkins, 1997.
  37. M. Butler, M. Savic, D. W. Best, V. Manning, K. L. Mills, and D. I. Lumbar, "Wellbeing and coping strategies of alcohol and other drug therapeutic community workers: a qualitative study," Therapeutic Communitie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herapeutic Communities, Vol.39, No.3, pp.118-128, 2018. https://doi.org/10.1108/TC-08-2017-0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