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저소득 조손가정 조모의 양육경험 연구

Study on Experience with Grandmother in Low-income Grandparent-headed Family

  • 투고 : 2019.05.30
  • 심사 : 2019.06.20
  • 발행 : 2019.06.28

초록

본 연구는 현상학적 해석학을 바탕으로 저소득 조손가정의 조모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조모의 양육의 어려움과 양육스트레스에 대해 이해하고자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저소득 조손가정 조모의 양육스트레스 경험은 경제적 어려움, 노후의 걸림돌이 된 손자녀, 양육의 막막함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조손가정 조모의 양육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복지개입 방향과 역할을 구체화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한다면 첫째, 현재 시행 중인 지원사업을 재검토하여 지원내용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저소득 조손가정 조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감을 감소시키기 위해 지지프로그램의 개발과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 조모의 양육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 문화와 더불어 멘토링 프로그램을 만들어 부족한 원조관계망을 보완하는 지원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Based on phenomenological view a research utilizing qualitative methodology to understand about parenting difficulty and stress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with grandmother in low-income grandparent-headed family was administra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experience with parenting stress of grandmother in low-income grandparent-headed family lead to economic hardship, grandchildren who are a barrier of old-age, and desolate parenting. This article implicates that a basis to guide a direction and role of social welfare intervention to alleviate parenting stress of grandmother in grandparent-headed family and to improve a life quality emergent on the results could be provided. Several considerations on this finding shows as follows. First, with currently active support project re-monitored and re-checked, support program could be needed to enlarge. Second, support program development and social support to decrease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of grandmother in grandparent-headed family could be necessary. With educational and cultural as well as mentoring program helpful for grandmother parenting designed, a support system to complement non-sufficient support network will be established together.

키워드

표 1. 연구 참여 가정의 특성

CCTHCV_2019_v19n6_655_t0001.png 이미지

표 2. 저소득 조손가정의 조모의 양육스트레스 경험 범주

CCTHCV_2019_v19n6_655_t0002.png 이미지

참고문헌

  1. 장승옥, 권은정, "조손가정의 문제점과 지원방안," 사회과학논총, 제29권, 제1호, pp.351-373, 2010.
  2. 김양희, 백선아, "조손가정 손자녀의 정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조부모 관련 요인연구," 한국유아교육연구, 제2권, 제1호, p.137, 2005.
  3. 김혜영, 조손가정의 생활실태와 문제점, 늘어나는 조손가정 어떻게 대처 할 것인가?,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정책토론회 자료집, pp.1-45, 2009.
  4. 권인수,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의 부담감과 사회적지지," 아동간호학회지, 제6권, 제2호, pp.212-223, 2001.
  5. M. Minkler, K. M. Roe, and M. Price, "The physical and emotional health of grand - mothers rasing grandchildren in the crack cocaine epidemic," The Gerontoligist, Vol.32, No.6, pp.752-761, 1992. https://doi.org/10.1093/geront/32.6.752
  6. 김세연,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증상,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행동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330-339,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0.330
  7. 변화순, 원영애, 김성경, 최근 가족해체 실태 및 복지대책, 한국여성개발원, 2000.
  8. 박현식, "조손가족의 특징과 손자녀: 양육지속의사애 관한 질적 연구," 한국노년학, 제30권, 제3호, pp.779-791, 2010.
  9. 김미영, 윤혜미, "저소득조손가족 조모와 손자녀의 가족관계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No.50, pp.145-177, 2015.
  10. 김효정, "가구유형이 경제복지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조부모와 손자녀가 동거한 가구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제12권, pp.15-29, 2004.
  11. 배진희,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심리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양육형태별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Vol.29, pp.67-94, 2007.
  12. Mitchell, Social Network sin Urban Situation, Manchester, 1969.
  13. U. Leviatan, "Contribution of social arrangement to the attainment of successful aging - the experience of the Israeli Kibbutz," The Journal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 and Social Science, No.54, pp.205-213, 1999.
  14. T. E. Seeman, L. F. Berkman, P. Charpentier, D. Blazer, M. Albert, and M. Tinetti, "Behavioral and psychosocial predictors of physical performance: MacArthur studies of successful aging," Journal of Gerontology, No.50, pp.177-183, 1995.
  15. K. A. Crnic and M. Greenberg "Minor Parenting Stresses With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No.61, pp.1628-1637, 1990.
  16. 고성혜, "어머니가 지각한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제18호, pp.21-37, 1994.
  17. 이재경, 이래혁, "저소득층의 물질적 어려움과 음주 : 자아존중감과 가족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7호, pp.552-565,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7.552
  18. S. J. Kelly, "Caregivers stress in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Th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Vol.25, No.4, pp.331-337, 1993. https://doi.org/10.1111/j.1547-5069.1993.tb00268.x
  19. M. van Manen, Researching Lived Experiences: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The Althouse Press,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