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the organizations in the fields of academics, arts, humanities, and music in Korea on the International Standard Name Identifier (ISNI) which is developed by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ISO) for assuring the public identities of creators, contributors, and producers to contents in the fields. National Library of Korea (NLK), one of the official registration agencies of ISNI in Korea, launched a consortium, ISNI-Korea, with various organizations in the fields to promote the ISNI registration and application. In this study, focused group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participants from a total of 13 organizations; these organization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the progress on collaboration with NLK at the ISNI-Korea consortium. The current status of the personnel or membership information management by organizations, their expectations and barriers for using ISNI, and the ISNI application to the fields have been discussed intensively during the interviews. Findings from this study could benefit NLK to develop the strategies to promote ISNI in the fields. This study also proposed follow-up studies to enhance the use of ISNI in Korea.
본 연구는 국내 분야별 저작자, 창작자, 기여자 등의 개인과 단체의 공적 신원을 식별하기 위해 부여하는 국제표준이름식별체계인 ISNI(International Standard Name Identifier)에 관한 것으로 국내 학술, 예술, 문학, 음악 등 단체들의 ISNI에 대한 인식과 활용방안에 대해 조사한 연구이다. 국내 ISNI 발급기관인 국립중앙도서관의 ISNI-Korea 컨소시엄에 참여하거나 참여하지 않는 13개 기관들을 선정하여 총 3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집단면담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집단면담에 참여한 기관들의 인명정보관리 현황과 ISNI 활용에 대한 기대와 장애요인, 구체적인 활용 방안들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립중앙도서관이 다양한 분야의 기관들과 협력하여 성공적으로 ISNI를 국내에 정착시키고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동시에 ISNI 활성화를 위한 후속 연구도 함께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