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cussion for Policy Change of the Research Council System in Science and Technology adop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과학기술 연구회제도의 정책변동 관리방안

  • 장문영 (국가과학기술연구회) ;
  • 김방룡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 ;
  • 이찬구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
  • Received : 2019.01.28
  • Accepted : 2019.04.19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This study, in order to derive the implications for managing policy changes in the research council system, were analyzed together with research council functions changes as the sub-policy means of achieving the its policy objectives as the excellence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GRIs), and recognition survey of the members of GRIs in the its functions and roles. Through this process, it was intended to derive and discuss ways to organizational change of research council system, to adjust the policy means (autonomy, responsibility and connectivity) to achieve the policy objectives or to redesign the functions of the research council as a sub-policy means.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nd analyz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based on a survey of the members of the GRIs. In addition, it attempted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by analyzing the change process of policy measures with the survey. This policy change management plan of the research council system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of a policy formulation necessary for enhancing roles based on autonomy and securing independence in the GRIs, and establishing a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its management.

본 연구는 연구회제도의 정책변동 관리방안에 관한 논의를 통하여 구체적인 제도의 발전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출연(연)의 수월성 확보라는 연구회제도의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정책수단인 연구회 기능들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그 기능 및 역할에 대한 출연(연) 구성원들의 인식조사 결과를 같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회제도의 구조 변화방안, 정책목표를 이루기 위한 정책수단의 조정방안 및 하위 정책수단으로서의 연구회 기능 재설계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출연(연)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하여 구조방정식 모형(SEM, Structural Equation Model)을 설정하고 분석을 수행하였다. 더불어, 정책수단의 변화과정을 함께 분석함으로써 정량적인 연구방법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회제도의 정책변동 관리방안은 출연(연)이 자율성을 기반으로 한 역할강화와 독립성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정책방안의 모색과 연구회제도 운영의 발전방향 설정에 대해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영주.이영석.천동필.김용진.박지원.김영진.박희동.박은미.정주희 (2015), 선진 공공연구 기관의 자율적 운영체제 조사 연구, 세종 :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정책연구 2015-18.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 국민중심.연구자중심 과학기술 출연(연) 발전방안.
  3. 김용훈.윤지웅 (2008), "과학기술행정체제의 변화와 정합성", 행정논총, 46(4): 175-199.
  4. 나태준 (2005), "기관 설립을 통한 정책목표 달성의 한계와 대안 : 과학기술계 연구회 사례", 한국행정연구, 14(4): 71-94.
  5. 박기범.홍성민.홍성주.오진숙 (2016), 공공부문 과학연구에서의 자율과 책임, 세종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책연구 2016-07.
  6. 박진선 (2006), "과학기술분야 연구회 체제의 운영 및 성과분석에 관한 연구 : 혁신체제와의 정합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유성재.손태원.이정원 (2002), 연구회 및 출연연구기관의 새로운 경영모형, 서울 : 5개연구회.
  8. 윤지웅.김영오.노종선.정우성.김소영.이호규 (2018), 자율과 책임에 기반한 미래 과학기술 정책수행 시스템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책연구.
  9. 이광호.김승현.최종화.서지영.강지훈.이아정 (2013), 융합연구사업의 실태조사와 연구개발 특성 분석, 서울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책연구 2013-09.
  10. 이민형.안두현.정미애.이혜진.고영주.변영지 (2012), 연구성과 제고를 위한 정부출연 연구 기관 역할 및 운영체계 효율화 방안, 서울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1. 이석희 (2002), "정부출연 연구기관 개혁정책의 평가분석", 국가정책연구, 16(2): 29-57.
  12. 이종수 (2013), 한국 행정의 이해, 서울 : 대영문화사.
  13. 장문영 (2018), "과학기술 연구회제도의 정책변동 분석 및 발전방향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4. 장문영.이찬구 (2017), "다중흐름모형을 이용한 과학기술 연구회제도의 정책변동 분석", 기술혁신학회지, 20(4): 858-887.
  15. 정선양 (2005), 연구회 및 출연(연)의 기능조정 및 발전방안, 서울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6. 지민정 (2015), "준정부조직의 경영 자율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허재정 (2012), "공공연구기관 연구자의 자율성에 관한 연구 : 사회환경적 변수가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8. 홍성주.양승우.정장훈.우청원.김선지.전찬미 (2016), 자율과 책무중심의 연구개발 조직문화 활성화를 위한 제도 진단 및 개선 방안 연구, 세종 :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정책연구 2016-08.
  19. 홍사균 (2016), 기술혁신의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는 국가과학기술혁신전략 탐색연구, 세종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책연구 2016-18.
  20. 홍형득.이광훈.박광표.황병용 (2018), "연구관리기관의 역량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기술혁신학회지, 21(2): 788-817.
  21. 황광선 (2016), "과학기술 국가연구개발(R&D)의 책임성과 딜레마", 한국행정학보, 50(2): 189-213.
  22. Bollen, K. A. (1989), Structural Equations with Latent Variables, John Wiley & Sons.
  23. Freeman, D. (1987), Technology Policy and Economic Performance, Lesson from Japan, Francoes Pinter.
  24. Hussey, J. and Hussey, R. (1997), Business Research: a Practical Guide for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Students, London: Macmillan Business.
  25. Jaccard, J. and Wan, C. (1996), LISREL Approaches to Interaction Effects in Multiple Regression,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6. Kline, R. B. (2010), Principles and Practice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The Guilford Press.
  27. Lundvall, B. (1992), National System of Innovation-Towards a Theory of Innovation and Interactive Learning, Pinter Publishers.
  28. Mitchell, R. J. (1993), "Path Analysis: pollination, In: Design and Analysis of Ecological Experiments (Scheiner, S. M. & Gurevitch, J. eds.)", Chapman & Hall, New York, 211-231.
  29. Romzek, B. S. and Dubnick, M. J. (1987), "Accountability in the Public Sector: Lessons from the Challenger Tragedy,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7(3): 227-328. https://doi.org/10.2307/975901
  30. Verhoest, K. (2005), "Effects of Autonomy, Performance Contracting and Competition on the Performance of a Public Agency: A Case Study", The Policy Studies Journal, 33(2): 235-258. https://doi.org/10.1111/j.1541-0072.2005.00104.x
  31. Yamamoto, K. (2006), "Performance of Semi-Autonomous Public Bodies: Linkage between Autonomy and Performance in Japanese Agencies", Public Administration and Development, 26(1): 35-44. https://doi.org/10.1002/pad.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