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de 4, 5, and 6 Students' Making Sense of Graphs

초등학교 4·5·6학년 학생들의 그래프 이해 능력 조사

  • Received : 2018.01.15
  • Accepted : 2018.02.14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how well grade 4, 5, and 6 students understand graphs before formal education is done on graphs. For this, we analyzed students' understanding of graphs by classifying them into 'reading data', 'finding relationships between data', 'interpreting data', and 'understanding situation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show that the students have good understanding of graphs that did not have formal education.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timing of the introduction of the graph. In addition, when we look at the percentage of correctness of each graph, it is found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line graph is weaker than the other graphs. The common error in most graphs was that students relied on their own subjective thoughts and experiences rather than based on the data presented.

본 연구는 초등학교 4,5,6 학년 학생들의 그래프 이해 능력을 조사하여 분석한다. 이미 학습한 그래프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형식적인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은 그래프에 대한 이해도 함께 조사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그래프의 이해를 '그래프를 보고 자료 읽기', '자료 사이의 관계 찾기', '자료 해석하기', '상황 이해하기'로 구분하여 학생들의 그래프 이해를 검사하고, 학년별과 그래프별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생들은 형식적인 학습을 하지 않은 그래프에 대해서 비교적 우수한 이해 능력을 보였다. 그래프별 정답률을 보았을 때 다른 그래프에 비추어 꺾은선그래프에 대한 이해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대부분의 그래프에서 공통적으로 보인 오류는 제시된 자료에 근거하지 않고 자신의 주관적인 생각이나 경험에 의존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민경, 김혜원 (2011). 설문 조사 활동에서 나타난 아동의 통계적 사고에 관한 연구, 학교수학, 13(1), 207-227.
  2. 김상미 (2013). 초등학교 수학과와 사회과의 교과서 분석을 통한 통계 그래프 관련 교육내용 비교 연구, 교원교육, 29(3), 363-392.
  3. 김윤미 (2007). 한국교과서와 미국교과서(MiC)의 통계 단원에 대한 비교.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남승인, 신준식, 류성림, 권성룡, 김남균 (2004). 초등 교사 교육을 한 수학프로그램 적용확산 연구. 서울: 교육인자원부
  5. 박영희 (2016).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이 통계 영역 내용 분석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1), 17-34.
  6. 배혜진, 이동환 (2016).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 관점에 따른 초등 수학교과서 통계 지도 방식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1), 55-69.
  7. 송정화, 권오남 (2002). 6차와 7차 교과서 분석을 통한 그래프 지도 방안, 학교수학, 4(2), 161-191.
  8. 우정호 (2000). 통계교육의 개선방향 탐색. 학교수학, 2(1), 1-27.
  9. 이경화, 지은정 (2008). 그래프의 교수학적 변환 방식 비교, 수학교육학연구, 18(3), 353-372.
  10. 이봉우, 이성균 (2008). 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그래프의 유형 및 특징 분석, 국제과학영재학회지, 2(2), 123-128.
  11. 최선희, 이대현 (2012). 우리나라 초등 교과서와 MiC 교과서의 통계 단원 비교.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지 C, 15(1), 41-52.
  12. 한국과학창의재단 (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정책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13. 한형주 (2005). 미국의 Mathematics in Contex 교과서와 한국 수학교과서 비교 연구 - 통계 영역을 중심으로 -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황현미 (2007).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그래프 이해 능력 실태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황현미, 방정숙 (2007).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그래프 이해 능력 실태 조사, 학교수학, 9(1), 45-64.
  16. Australian Curriculum, Assessment and Reporting Authority (2014). The Australian Curriculum Mathematics. Sydney: The Author.
  17. Baroody, A. J,. & Coslick, R. T. (1998). Fostering children's mathematical power.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 권성룡 외 11인 (역) (2005). 수학의 힘을 길러주자. 왜? 어떻게? 서울: 경문사.
  18. Curcio, F. R. (1987). Comprehension of mathematical relationships expressed in graph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8(5), 382-393. https://doi.org/10.2307/749086
  19. Department of Education (2013). Mathematics programmes of study: key stages 1 and 2. Manchester: The Author.
  20. Friel, S. N., Curcio, F. R., & Bright, G. W. (2001). Making sense of graphs: Critical factors influencing comprehension and instructional implication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2(2), 124-158. https://doi.org/10.2307/749671
  21. Gal, I., Rothschild, K., &Wagner, D. A. (1990). Statistical concepts and statistical reasoning in school children: Convergence or divergenc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Boston.
  22. Konold, C., Higgins, T., Russell, S. J., & Khalil, K. (2015) Data seen through different lens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88, 305-325. https://doi.org/10.1007/s10649-013-9529-8
  23. Konold, C., & Lehrer, R. (2008). Technology and mathematics education: An essay in honor of Jim Kaput. In L. English (Ed.), Handbook of intern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nd ed., pp. 49-72). New York: Routledge.
  24. Ministry of Education (2009). The New Zealand Curriculum: Mathematics Standards for years 1-8. Wellington: Learning Media.
  25.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Author. 류희찬, 조완영, 이경화, 나귀수, 김남균, 방정숙 (역) (2007).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서울: 경문사.
  26. Reys, R. E., Suydam, M. N., Lindquist, M. M., & Smith, N. L. (2001). Helping children learn mathematics. Danvers, MA: John Wiley Sons, Inc. 강문봉 외 19인 (역) (2009). 초등 수학 학습 지도의 이해. 파주: 양서원.
  27. Wainer, H. (1992). Understanding graphs and tables. Educational Researcher, 21(1), 14-23. https://doi.org/10.3102/0013189X021001014
  28. Watson, J. M., & Moritz, J. B. (2000). The longitudinal development of understanding of average.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2(1), 9-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