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다요인적 프로그램이 농촌 지역 여성노인의 요실금,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he Multifactorial Program on Urinary Incontinence, Self-esteem and Self-efficacy for Older Women in Rural Communities

  • 최현경 (광양시 보건소 대죽보건진료소) ;
  • 임은실 (대구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투고 : 2019.05.21
  • 심사 : 2019.06.16
  • 발행 : 2019.06.30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 multifactorial program for urinary incontinence, self-esteem and self-efficacy in older women. Methods: A one-group pretest-posttest with no control group was used. Nineteen women completed weekly 90-min group sessions for eight weeks. The group received a multi-factorial program comprised of Kegel exercise, education and psychosocial programs over 8 weeks. Data on urinary incontinence, self-esteem and self-efficacy were collected twice: before the intervention and 8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by non-parametric statistics. Results: Total scores for the International Consultation on Incontinence Questionnaire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intervention (pretest $7.95{\pm}5.48$, posttest $5.15{\pm}4.72$, p<.05). The scores for self-esteem and self-efficacy improved significantly.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 multifactorial program for older women is feasible to prevent urinary incontinence in women living in the community.

키워드

표 1. 다요인적 프로그램

NCKHAE_2019_v14n1_8_t0001.png 이미지

표 2. 일반적 특성

NCKHAE_2019_v14n1_8_t0002.png 이미지

표 3. 배뇨설문 (International Consultation of Incontinence Questionnaire, ICIQ)

NCKHAE_2019_v14n1_8_t0003.png 이미지

표 4. 다요인적 프로그램 사전-사후 요실금 증상 변화

NCKHAE_2019_v14n1_8_t0004.png 이미지

표 5. 소변 지리는 상황

NCKHAE_2019_v14n1_8_t0005.png 이미지

표 6.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NCKHAE_2019_v14n1_8_t0006.png 이미지

표 7. 다요인적 프로그램 사전-사후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변화

NCKHAE_2019_v14n1_8_t0007.png 이미지

참고문헌

  1. 통계청. 2016년 농림어업조사 보고서Internet]. 대전: 한국통계청. 2017[cited 2019 May 6]. Available from: http://kosis.kr/search/search.do.
  2. 조미형, 박지연. 농촌고령자 실태 및 정책개선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5.
  3. Yoo TK, Lee KS, Sumarsono B, Kim ST, Ki HJ, Lee HC, et al. The prevalence of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in population aged 40 years or over, in South Korea. Investingative and Clinical Urology. 2018;59:166-176. https://doi.org/10.4111/icu.2018.59.3.166
  4. 김춘미, 이홍자, 김은만. 농촌 지역 중년기 이후 여성들의 요실금 관련 건강문제와 대처.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13;24(3):368-376. https://doi.org/10.12799/jkachn.2013.24.3.368
  5. 강경자, 송미순. 노인여성의 긴장성 요실금에 관한 연구. 간호학 논문집. 1997;11(2):160-174.
  6. Coyne KS, Kvasz M, Ireland AM, Milson I, Kopp ZS, Chapple CR. Urinary incontinence and its relationship to mental health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men and women in Sweden, the United Kingdom, and United States. European Urology. 2012;61(1):88-95. https://doi.org/10.1016/j.eururo.2011.07.049
  7. 이정순. 복지관 이용 여성노인의 요실금으로 인한 일상생활 불편감과 삶의 질 [석사학위논문]. [광주]: 전남대학교; 2008. 26 p.
  8. 오현자. 농촌중년여성의 체력 및 정서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율동과 타이치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비교 [박사학위논문]. [광주]: 전남대학교; 2008.
  9. 황혜정, 김건엽, 이무식, 나백주, 김대경. 일부 농촌 지역 여성의 걷기 운동 프로그램 효과. 한국모자보건학회지. 2009;13(1):51-60.
  10. 이상민, 서충진, 김명진, 김승환. 건강체조 운동 프로그램이 농촌 노인여성의 신체조성, 혈압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자연과학편. 2006;45(6):541-554.
  11. 강혜경, 홍귀령. 시설거주 노인여성을 위한 근력강화 훈련이 요실금과 신체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2015;45(1):35-45. https://doi.org/10.4040/jkan.2015.45.1.35.
  12. 이우숙, 최영신, 이수진, 이교원, 김미옥. 요실금 관리 프로그램이 혼합성 요실금 환자의 신체적 증상, 일상생활 문제 및 성생활 문제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2009;15(2):91-102.
  13. 조경녀, 박선아. 지역사회 중년기 여성을 위한 요실금 예방 및 자가관리 프로그램 효과. 한국농촌간호학회지. 2016;11(1):3-14. https://doi.org/10.22715/KARHA.2016.11.1.003
  14. 이주영. 농촌여성을 위한 요실금 자가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박사학위논문]. [대전]: 충남대학교; 2010.
  15. Kim Y. The effect of group therapy on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day care center. Korean Journal of Counselling. 2011;12(5):1527-1544. https://doi.org/10.15703/kjc.12.5.201110.1527
  16. 이훈진, 원호택. 편집증적 경향, 자기개념, 자의식간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 '95 연차대회 학술발표논문집; 1995. p. 277-290.
  17. 정애숙.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와 자기효능감의 관계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 한양대학교; 2007.
  18. Yoo EH. Pelvic floor muscle rehabilitation.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 2006;49(9):1838-1843.
  19. 김양순, 강경숙. 요실금 관리 자기효능증진 프로그램이 요실금 정도와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농촌간호학회지. 2010;5(2):92-101. https://doi.org/10.22715/jkarhn.2010.5.2.092
  20. 주영희. 여성 요실금 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박사학위논문]. [부산]: 부산대학교; 2001.
  21. 박성희, 강창범, 장선영, 김보연. 임신 및 출산 여성의 요실금 및 대변실금 예방을 위한 케겔운동의 효과: 체계적 문헌 고찰. 대한간호학회지. 2013;43(3):420-430. https://doi.org/10.4040/jkan.2013.43.3.420
  22. Glazener CM, Herbison GP, Wilson PD, MacArthur C, Lang GD, Gee H, et al. Conservative management of persistent postnatal urinary and faecal incontinence: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MJ: British Medical Journal. 2001;323(7313):593-596. https://doi.org/10.1136/bmj.323.7313.593
  23. Seino S, Nishi M, Murayama H, Narita M, Tokoyama Y, Nofuji Y, et al. Effects of multifactorial intervention comprising resistane exercise, nutritional and psychosocial programs on frailty and functional health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 randomized, controlled, cross-over trial. Geriatrics & Gerontology International. 2017;17:2034-2045. https://doi.org/10.1111/ggi.13016
  24. 김혜정. 요실금 여성의 자아존중감, 우울과 삶의 질과의 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광주]: 조선대학교; 2014.
  25. 김경선. 중년여성의 요실금과 일상생활 및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지. 1998;5(2):196-206.
  26. 강현숙, 김원옥, 왕명자. 자가 발반사요법이 요실금의 증상과 자존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동서간호학회지. 2004;9(1):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