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Pharmacopuncture Used in Facial Nerve Palsy Articles that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한의학 학술지에 게재된 안면신경마비 증례 연구에서 사용된 약침에 관한 고찰

  • Yoo, Hee-Jo (Dept. of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 Dermatology, College of Korean Medicine, Gachon university) ;
  • Kim, Gyung-Jun (Dept. of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 Dermatology, College of Korean Medicine, Gachon university)
  • 유희조 (가천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 ;
  • 김경준 (가천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
  • Received : 2019.07.02
  • Accepted : 2019.07.24
  • Published : 2019.08.25

Abstract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phamacopuncture used in facial nerve palsy related articles that have been published in the Korean medicine journal. Methods : 242 papers related to facial nerve palsy were retrieved from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OASIS) and Korean Traditional Knowledge Portal(KTKP). We selected 13 research papers treated with pharmacopuncture for facial nerve palsy. We analyzed for type of pharmacopuncture used, treatment point and clinical type. Results : 1. The number of searched articles is thirteen. 2. The most common clinical type of facial nerve palsy is Bell's palsy. Other types are accompanying tympanitis type, herpes zoster oticus, caused by traumatic temporal bone fracture type, Foville syndrome, Foville-Millard-Gubler syndrome and multiple cerebral neuritis. 3. In the case of pharmacopuncture, the most frequently used type is Hominis Placenta Pharmacopunture. The second is Hwangreonhaedok-tang and Hwangreon Pharmacopuncture. Other than that BV, Sinbaro, Jungsongouhyul Pharmacopuncture, Cornu Cervi Pantotrichum Pharmacopuncture and Ginseng pharmacopuncture are used. 4. The most frequently used part as a treatment point is ST4, ST6, TE17.

Keywords

Ⅰ. 서 론

안면신경마비는 뇌신경 질환 중에서 가장 흔히 볼 수있는 질환으로 얼굴근육의 마비로 인하여 눈과 입 등이한쪽으로 비뚤어지는 증상이 나타나므로 口眼喎斜라 하며, 바이러스, 수술, 종양, 염증, 외상, 스트레스, 한랭노출 또는 불명의 원인으로 안면을 담당하는 신경의 기능저하가 생기면서 발생한다1).

일곱 번째 뇌신경에 해당하는 안면신경은 뇌교 및 연수 경계부에서 나와 소뇌-교각부에서 여덟 번째 뇌신경인 청신경 및 중간신경과 합류하여 내이도로 들어가 내이관 안에서 청신경과 갈라져서 안면관을 통하여 슬신경절로 진행한다. 그 후 경유돌공을 통하여 두개골 밖으로 나와 안면 표정에 관여하는 모든 근육을 지배한다.중간신경은 혀의 앞쪽 2/3의 미각을 담당하며, 누선, 설하선, 악하선의 분비에도 관여한다. 안면신경마비는이러한 신경해부학적 경로의 어느 부위에든 병변이 있으면 발생할 수 있다2).

안면신경마비는 원인 및 마비 부위에 따라 중추성과말초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중추성 안면마비의 경우뇌혈관 질환이나 소아마비, 뇌종양 등에 의해 뇌가 손상되는 경우 발생하며, 병변 위치의 반대측 안면에 증상이 발생하고 안면하부 근육 기능이 저하된다. 말초성안면마비는 안면신경 자체의 이상으로 나타나며, 병변동측에 증상이 발생하고 안면근육 상하부 전체에 이상이 생긴다3). 말초성 안면마비는 병변 부위에 따라 안면근의 이완형 마비를 주 증상으로 하며, 耳後痛, 미각 감퇴, 청각 과민, 타액 분비와 눈물의 감소 등이 동반될수 있다4).

말초성 안면신경마비는 크게 원발성과 속발성으로 분류되는데, 이중 90% 이상을 차지하는 원발성 안면신경마비는 Bell 마비(Bell's palsy)라고도 하며, 원인이 뚜렷하지 않은 채 발생한다5,6). 속발성의 경우 외상, 감염,종양이나 중이염의 후유증, 당뇨라임병, Guillain￾Barre syndrome 등 기타질환에 의해 안면신경마비가발생한다2).

말초성 안면신경마비는 안면신경의 가장 흔한 병변으로 연간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11-40명이고, 일생동안에 60명 중 1명 정도가 경험하고, 남녀 간의 발병률 차이는 없으며 어느 연령에서도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

한의학적으로 안면신경마비는 口喎, 口僻, 喎僻, 口噤喎斜, 口噤眼合 등 여러 가지로 표현되어 왔으며 陳無擇의 「三因論」에서 口眼喎斜라 칭한 후 대표적으로 사용되어 왔다8). 원인은 正氣가 不足하여 經絡이 空虛하고衛氣가 不固하여 風, 寒, 熱邪가 經絡에 乘虛하여 入中함으로써 氣血不通하고 面部 足陽明經筋을 濡養하지 못하여 肌肉이 縱緩不遂하여 발생하거나 氣鬱, 內傷에 의하여 발생한다2,9).

안면마비에 대해 서양의학에서는 보존적 치료로 경구스테로이드제 및 항바이러스제제를 사용하며, 신경통등이 있을 경우 NSAIDs와 같은 진통제를 병행 투여하거나, 수술적 치료로 안면 신경감압술, 후유증기에는 안면재건술 등을 응용하여 치료한다3).

한의학적 치료로는 祛風散寒, 逐痰通絡, 溫陽筋脈, 舒筋止痙 등의 방법론과 活血養血하는 약재를 이용한 투약 2), 祛風通絡, 養血熄風, 行氣活血하는 穴位를 위주로한 침구치료와 이침, 두침, 약침 등이 복합적으로 사용되는데1), 다용되는 치료방법 중 하나가 약침요법이다.지금까지 안면신경마비에 대해 많은 증례논문들이 발표되었는데 이들 논문의 치료방법과 그 효과에 대해 종합적으로 분석한 논문이 거의 보이지 않았다. 이에 현재까지 국내 한의학 학술지에 보고된 안면신경마비에관한 임상 논문 중 약침을 사용한 논문에 대해 분석해보고 그 경향성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논문 검색은 전통의학정보포털(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OASIS),한국전통지식포털(Korean Traditional Knowledge Portal, KTKP)에서 2000년부터 2019년까지 출판된논문 중 ‘안면 마비’, ‘구안와사'를 각각 검색하였다.검색된 논문 242편 중 중복 검색된 논문 38편을 제외한 총 204편의 논문의 내용을 수기로 확인하여 임상논문 중 치료 방법으로 약침에 대해 기술되어 있는 논문 13편을 대상으로 하였다(Fig. 1).

OOBHC1_2019_v32n3_105_f0001.png 이미지

Fig. 1. Flow Chart of Study Selection Process

2. 연구방법

이상에서 검색된 13편의 논문들을 연도별, 학회지별로 게재된 수를 분석하였고, 논문들이 게재된 경향성과각 논문에서의 치료 대상, 치료에 사용한 약침의 종류와 사용부위를 위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1. 논문의 경향

1) 게재 연도별 논문 수

안면신경마비의 임상 논문 중 치료 방법으로 약침에대해 기술되어 있는 논문은 2001년 1편이 게재되었고, 2009년부터는 2013년과 2015년을 제외하고 2018년까지 적어도 한 편의 논문이 지속적으로 게재되었다.

2) 학회지별 게재 논문 수

학회지별로 게재된 논문의 수는 13편의 논문 중 한 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이 5편으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였다. 그 다음으로 대한한방내과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이 3편이었고, 대한침구의학회지에발표된 논문이 2편이었다. 그 외에 대한 경락경혈학회지, 대한약침학회지,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에 각 1편씩게재되었다.

2. 임상유형에 따른 분류

증례 논문에서 치료 대상이 된 안면신경마비의 임상유형을 분류해보았다. 하나의 논문에 여러 개의 증례가있는 경우가 있기에 증례의 수로 계산하여 분류하였다. 13편의 논문 중 안면신경마비 치료에 약침을 사용한47건의 증례가 보고되었다. 이 중에 다른 선행 질환이나 동반 질환에 대한 언급이 없거나 Bell 마비로 진단하여 치료한 증례가 40건으로 가장 많았고, 다른 선행 질환이나 동반 질환에 대한 언급이 있는 증례로는 중이염을 동반한 경우가 2건, 대상포진성 안면신경마비가 1건, 외상성 안면신경마비가 1건, Foville syndrome, Foville-Millard-Gubler syndrome에 의한 안면마비가 각 1건, 다발성뇌신경염을 동반한 경우가 1건이었다(Table 1).

Table 1.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Clinical Type of Facial Nerve Palsy

OOBHC1_2019_v32n3_105_t0001.png 이미지

3. 논문에서 사용된 약침 종류 및 부위

각 논문에서 사용한 약침의 종류와 시술 부위를 분류하였다. 하나의 논문의 여러 증례가 있는 경우 사용된약침과 시술 부위가 유사하였기에 약침을 사용한 빈도를 논문의 편수로 계산하였다.

13편의 논문 중 가장 많이 사용된 것은 자하거 약침(HPP)으로 총 5편의 논문에서 사용되었다. 다음으로황련해독탕 약침(HH)이 4편의 논문에서 사용되었고,봉독 약침(BV) 또한 3편의 논문에서 사용되었다. 다음으로 황련 약침(H)이 3편, 신바로 약침(Sinbaro)이 3편에 사용되었고, 그 외에 중성어혈 약침(JO)이 1편,녹용 약침(CC)이 1편, 산삼 약침(G)이 1편에 사용되었다.

시술 부위로는 足陽明胃經의 地倉(ST4) 7회, 頰車(ST6) 5회, 巨髎(ST3) 2회, 四白(ST2) 1회, 下關(ST7) 1회, 頭維(ST8) 1회, 足少陽膽經의 陽白(GB14) 2회, 風池(GB20) 2회, 肩井(GB21) 1회, 瞳子髎(GB1) 1회, 手太陽小腸經의 聽宮(SI19) 2회, 顴髎(SI18) 2회, 腕骨(SI4) 1회, 肩中兪(SI15) 1회, 手少陽三焦經의 翳風(TE17) 6회, 絲竹空(TE23) 2회, 手陽明大腸經의 迎香(LI20) 3회, 足太陽膀胱經의 攢竹(BL2) 1회, 督脈의 大椎(GV14) 1회, 經外奇穴의 魚腰 2회, 印堂 2회, 太陽 1회가 시술되었고, 이외에도 통증부위 위주로 阿是穴이사용되었다. 세 개의 논문에서는 약침사용에 대한 시술부위 언급이 없었다(Table 2).

Table 2. Sort of Pharmacopuncture & Treatment Point(Appendix)

OOBHC1_2019_v32n3_105_t0002.png 이미지

Ⅳ. 고 찰

안면신경마비의 임상 치험 논문들을 살펴보았을 때치료 방법 중 하나로 약침이 사용되었다. 약침요법은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약침액을 질환과 연관된 經穴과 체표촉진에 의해 얻어진 陽性反應點(壓痛點, 阿是穴) 및 혈관에 약침주입용 주사기를 사용하여 시술하는방법으로서 자침과 약물의 효능을 이용해 생체의 기능을 조정하고 병리상태를 개선시켜 질병을 치료하는 新鍼療法이다1).

전통의학정보포털(Oriental Medicine Advanced & nbsp; Searching Integrated System, OASIS) 과 한국전통지식포털(Korean Traditional Knowledge Portal, KTKP)에서 안면신경마비의 치료 방법으로 약침을 이용한 한의학 증례논문을 검색하였고, 2000년부터 2019년까지 20년간 게재된 논문 중 총 13편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13편의 논문들을 게재된 연도별, 학회지별로 분석하였는데 2001년에 1편이 게재되었고, 2009년부터는 2013년과 2015년을 제외하고 2018년까지 적어도 한 편의 논문이 지속적으로 게재되었다.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이 5편으로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였다.

13편의 논문 중 47건의 증례가 보고되었는데, 이 중다른 선행 질환이나 동반 질환에 대한 언급이 없거나 Bell 마비로 진단하여 치료한 증례가 40건으로 대다수의 경우를 차지했고, 증례에서 다른 선행 질환이나 동반 질환에 대해 언급한 경우로는 중이염을 동반한 경우가 2건, 대상포진성 안면신경마비가 1건, 외상성 안면신경마비가 1건, Foville syndrome, Foville-Millard￾Gubler syndrome에 의한 안면마비가 각 1건, 다발성 뇌신경염을 동반한 경우가 1건이었다.

그 중에 Bell 마비는 어떤 원인으로 안면신경이 장애를 받는 병태의 총칭이다. 특징적 소견으로는 표정근의운동장애가 있는데, 이마의 주름을 짓지 못하고, 토끼눈, 속눈썹징후 양성, 비순구의 소실, 구각의 하수, 구륜근의 근력저하, 음식물이 흘러나오고 휘파람을 불 수없음 등이 나타난다. 특히 이마에 주름을 짓지 못하게되어 중추성과의 감별에 도움이 된다10). Bell 마비는 10만 명당 11-40명이 매년 또는 일생 동안 60명 중 1명꼴로 발생하며, 안면신경마비 중 가장 많은 형태이다.대부분 일측성으로 갑작스럽게 발생하는데, 일반적으로48시간 내에 가장 심하게 나타나고 耳後痛이 1-2일 있은 뒤 안면마비가 오며, 수주-수개월 내에 80%이상 회복된다. 속발성의 경우 원인은 크게 외상, 감염, 종양,기타 질환으로 분류되는데, 이 중 herpes zoster virus에 의한 Ramsay-Hunt 증후군이 Bell 마비 다음으로흔한 질환이다. Ramsay-Hunt 증후군은 이통, 소수포성 발진, 감각신경성 난청, 이명, 현훈과 함께 안면신경마비가 동반되는 질환으로, 예후가 불량하여 완전 회복률은 20% 정도이다5,7).

각 논문에서 사용된 약침을 살펴보면 총 13편 중, 자하거 약침이 5편의 논문에서 사용되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다음으로 황련해독탕 약침이 4편의 논문에서사용되었고, 봉독 약침 또한 3편의 논문에서 사용되었다. 다음으로 황련 약침이 3편, 신바로 약침이 3편에 사용되었고, 그 밖에 중성어혈 약침, 녹용 약침, 산삼 약침이 각 1편씩 사용되었다.

자하거는 건강한 사람의 태반을 烘製하여 건조한 것으로 性은 溫, 無毒하고 味는 甘鹹하며, 肺, 肝, 腎經에들어가 補氣, 養血, 益精하는 효과가 있다. 최근 자하거약침에 관한 연구로는 골다공증에 대한 효과와, 관절염에 대한 효과와, 월경통에 대한 효과를 보고해 왔다. 그리고 자하거약침의 함유성분에는 각종 간세포나 상피세포, 신경세포 등을 생성하는 세포증식인자, 독감이나 암등의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다종의 인터페론, 그리고 인터루킨 코로니 형성 자극인자를 함유하고 있으며 각종호르몬 및 그 전구체 즉 성선 자극 호르몬,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각종 효소, 세포내 DNA, RNA 등의 핵산형성에 관여하는 핵산 관련 물질, 각종 아미노산, 비타민 등을 함유하고 있다. 그러므로 조직 재생의 목적이나 항체 형성으로 감염을 억제하고 저항력을 키울 목적또는 호르몬 효과 등이 필요한 병증에 사용한다11).

黃連解毒湯은 黃連, 黃柏, 黃芩, 梔子로 구성된 처방으로 일절의 火熱症을 淸熱瀉火解毒시키는 처방이다. 황련해독탕 약침은 팔강약침에 속하는 것으로 황련해독탕을증류 추출한 후 냉각, 여과 과정 등을 거쳐 사용하는데,淸熱解毒의 효능으로 三焦實熱, 虛火上衝의 標治에 쓰이고 두통, 항강, 불면, 열성피부병, 心火, 肝膽火, 肺火 등에 응용한다. 또한 항염증 효과와 진정작용이 보고되었으며, 제반 염증 질환에 사용되고 있다12,13).

봉약침 요법은 살아 있는 꿀벌의 독낭에 들어 있는독을 인위적으로 추출 정제한 후, 질병의 유관한 부위및 經穴에 주입하여 자침의 효과와 벌의 독이 지닌 생화학적 약리작용을 치료에 이용하는 의료행위이다. 봉독은 그 性味가 苦, 辛, 平, 有毒하고 補益精氣, 補腎壯陽, 活血祛瘀, 祛風濕하며, melittin, apamin 등 약 40여 가지 유효성분의 작용으로 항염, 소염진통, 항균, 항바이러스 효과, 혈관투과성 촉진 효과, 신경계 흥분작용을 통해 신경 장애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14).

황련약침 시술은 황련해독탕 구성 약물을 가감하여증류 추출법으로 제조한 것이며, 항염증 효과를 이용해안면신경마비 치료에 사용되었다3,14). 이와 같이 사용된신바로 약침은 狗脊, 植防風, 杜沖, 五加皮, 牛膝, 蜈蚣,羌活, 獨活, 芍藥 등으로 총 9가지 약재로 만들어졌으며, 항염증, 신경재생, 연골보호 등의 효과를 보인다고알려져 있다15).

중성어혈 약침은 梔子, 玄胡索, 乳香, 沒藥, 桃仁, 赤芍藥, 丹參, 蘇木 등의 和瘀시키는 약물로 구성된 처방으로 活血祛瘀止痛 작용을 하므로 경추통, 편타 손상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氣滯血瘀로 인한 제반 증상에 活血祛瘀 시키는 작용을 하며, 消腫止痛, 淸熱, 消炎등의 작용도 있는 瘀血치료 약침이다16,17).

鹿茸은 사슴과에 속한 매화록, 마록의 수사슴의 털이밀생하고 아직 골질화 되지 않았거나 약간 골질화된 어린 뿔을 자른 다음 말린 것으로 성미가 甘鹹, 溫하며 腎을 峻補하는 약으로 補元陽, 補氣血, 益精髓, 强筋骨의효능이 있어서 虛勞羸瘦, 精神倦乏, 眩暈, 耳聾, 目暗, 畏寒, 腰膝疝痛, 陽痿, 子宮虛冷, 崩漏帶下 등 선천 및 후천적인 정기의 손상에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약침 연구로는 자율신경계를 항진하여 심박변이도에 영향을 준다는보고가 있었고, 관절염, 족저근막염, 퇴행성 슬관절염등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18). 또한 뇌혈류량을 유의성 있게 개선시켜 항허혈 작용이 있다는 보고도 있었다19).

山蔘은 대표적인 補氣劑로 두릅나무과에 속한 다년생초목인 人蔘(Panax ginseng C.A.Mey.)이 야생상태에서 자연 발아하여 성장한 蔘이며, 산양산삼은 산삼을 인위적으로 재배한 것으로 산삼약침은 산양산삼을 사용한다. 현재까지 보고된 효능은 신경기능, 체액과 신진대사기능 조절, 강심, 항이뇨 및 성기능 증강효과, stress에대한 저항력 증진, 염증 억제, 항산화, 면역항제 생산의촉진 등이다12)(Table 3).

Table 3. The Compositions and Effects of Pharmacopuncture

OOBHC1_2019_v32n3_105_t0003.png 이미지

말초성 안면신경마비의 병리기전은 현대의학에서 정확히 밝혀져 있진 않지만 염증과 바이러스성 감염이 마비기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20). 때문에 약침 치료에 자하거 약침, 황련해독탕 약침, 봉약침등 감염을 억제하고 면역력을 키우거나 염증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약침액이 주로 사용된 것으로 생각된다.이 중 자하거 약침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한의학적으로 보았을 때 안면신경마비가 虛症을 기본으로하여 면역력이 떨어진 상황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에 補氣, 養血, 益精하며 면역력을 증강하는효과가 있는 자하거 약침을 빈용한 것으로 보인다. 《東醫寶鑑》 內景篇에서는 자하거에 대해 ‘癲狂, 健忘,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 정신이 나간 것, 정신이 없는 것, 놀람, 공포, 심신을 지키지 못한 것 등을 치료하고 마음을편안하게 하고 血을 기르면서 神을 안정시키는 효능이탁월하다’고 하였는데21), 이러한 효능 역시 스트레스를많이 받는 현대인의 안면 신경 마비에 자하거 약침을적용하기 알맞은 부분이라 사료된다. 황련해독탕 약침역시 淸熱解毒하고 제반 火를 다스리는 효과가 있어서소염작용을 위주로 여러 치험 논문에서 사용되었다. 봉독약침은 여러 가지 유효성분이 소염진통 작용을 하는데 본 연구에서 선별된 논문 중 대상포진성 안면마비나耳後痛의 조절에 사용되는 등 통증이 있는 경우 다른 약침보다 우선하여 선택된 것으로 생각된다. 황련 약침과신바로 약침이 사용된 논문의 경우 해당 약침을 제조하여 사용하는 병원에서 발표된 치험 기록으로 안면신경마비 증상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선택되어 사용되었다.이 중 황련 약침의 경우 황련해독탕 약침과 사용 목적이 비슷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나머지의 논문에서중성어혈약침, 녹용약침, 산삼약침이 한 편씩 사용되었는데, 중성어혈약침은 외상 후 안면신경마비에서 어혈을 겸한 부분을 고려하여 사용되었고, 녹용 약침은 희귀한 brainstem 증후군에 대하여 뇌에 대한 항허혈 작용을 겸하면서 안면마비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었다.산삼약침은 祛風通氣가 주가 되는 초기보다는 益氣養血補精하는 효과로 후기에 갈수록 더욱 유효할 것으로 생각되어 후기 안면신경마비 상황에 대하여 사용되었다.

치료 시 사용된 經穴은 안면부의 地倉(ST4), 頰車(ST6), 巨髎(ST3), 四白(ST2), 下關(ST7), 頭維(ST8), 陽白(GB14), 瞳子髎(GB1), 聽宮(SI19), 顴髎(SI18), 絲竹空(TE23), 迎香(LI20), 攢竹(BL2), 魚腰, 印堂, 太陽 등의 穴이 선택되었다. 마비 부위에 따라 해당 환부 근육의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는 주변 穴位가 선택된 것으로 생각되고, 地倉(ST4), 頰車(ST6) 穴이 각 7회, 5회로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안면부 이외의 취혈점으로는 翳風(TE17), 腕骨(SI4), 風池(GB20), 大椎(GV14), 肩井(GB21), 肩中兪(SI15), 통증부 阿是穴 등이 사용되었다.翳風(TE17), 腕骨(SI4), 風池(GB20) 등은 해당 논문에서 耳後痛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경락적으로는足陽明胃經의 穴이 총 17회로 가장 많이 선택되었고, 手少陽三焦經의 穴이 8회, 足少陽膽經의 穴이 6회, 手太陽小腸經의 穴이 6회, 手陽明大腸經의 穴이 3회, 足太陽膀胱經의 穴이 1회로 선택되었다. 안면부에 足陽明胃經의穴이 많이 분포하고, 안면신경마비에 한의학적으로 濕痰을 주관하는 脾胃의 기능이 중요하게 연관되어 있음을고려해볼 때 取穴에 있어서 足陽明胃經이 중요하다고생각된다. 手少陽三焦經에서는 다양한 穴이 선택되지는않았는데 8회 중 翳風(TE17)이 6회 선택되어 안면부가아닌 곳의 穴位 중에는 가장 많이 선택되었음을 알 수있었다.

안면신경마비의 약침치료에 대해 종합해보면 항염,항바이러스, 면역력 강화 및 통증조절 효능을 가진 약침들이 사용되었으며, 병정 후기에는 補益하는 효능을가진 약침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그 시술 부위는 안면부의 穴位를 위주로, 耳後部, 어깨, 등 부위의 穴位, 阿是穴 등이 선택되었다. 이상의 분석을 통하여 생각해 볼때, 다양한 약침과 穴位가 안면신경마비 치료에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위에 언급된 약침의 종류이외에도 유사한 효능의 약침액을 안면신경마비 치료에응용해 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며, 그와 관련된 추가적인 실험과 임상 보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Ⅴ. 결 론

안면신경마비에 대해 보고된 임상 한의학 논문 중 약침을 치료방법으로 사용한 13편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같은 결론을 얻었다.

1. 2000년 이후 안면신경마비에 약침을 사용한 증례논문이 꾸준히 게재되었으며, 학술지 중에서는 한 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에 게재된 경우가 가장 많았다.

2. 증례는 다른 선행 질환이나 동반 질환에 대한 언급이 없거나 Bell 마비로 진단하여 치료한 증례가 대부분의 경우로 가장 많았으며, 그 외에 다른 선행 질환이나 동반 질환에 대한 언급이 있는 증례로 중이염을 동반한 경우, 대상포진성 안면신경마비, 외상성안면신경마비, Foville syndrome, Foville-Millard￾Gubler syndrome에 의한 안면마비, 다발성 뇌신경염을 동반한 경우 등이 있었다.

3. 안면신경마비 치료에 사용된 약침은 補氣, 養血, 益精하는 자하거를 이용하여 면역력을 높이고 염증을다스리는 자하거 약침이 사용된 경우가 가장 많았고, 소염작용을 위한 황련해독탕 약침, 황련 약침을사용한 경우도 많았다. 봉약침과 신바로 약침이 사용되었고, 그 외에 중성어혈 약침, 녹용 약침, 산삼약침 등이 사용되었다.

4. 약침을 시술한 부위로는 地倉(ST4), 頰車(ST6), 翳風(TE17)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경락으로 보았을때 足陽明胃經, 手少陽三焦經, 足少陽膽經, 手太陽小腸經, 手陽明大腸經, 足太陽膀胱經, 督脈의 순으로 많이 取穴되었다. 이밖에 눈 주변의 경외기혈 및 통증처 阿是穴이 사용되었다.

References

  1.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Medicine Society. Th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Medicine. 1st ed. Paju:Jipmoondang. 2012:625-9.
  2.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 Dermatology. Text of Traditional Korean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 Dermatology. 1st ed. Paju:Globooks. 2019:109-14.
  3. Han DG, Kang AH, Seo HJ, Sug JY, Oh JH, Lee YR, et al. A Case Report of Facial Nerve Palsy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Treatment.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2018;39(2):227-85.
  4. Sim SY. Clinical Research of Korean Medical Treatment for the Peripheral Facial Paralysi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5;28(4):62-73. https://doi.org/10.6114/jkood.2015.28.4.062
  5. Lee SE, Yoon HJ, Ko WS. Research Trends on Non-surgical Treatment of Peripheral Facial Paralysis Sequelae.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8;31(4):42-64. https://doi.org/10.6114/JKOOD.2018.31.4.042
  6. Kang NR, Tark MR, Byun SM, Ko WS, Yoon HJ. A Clinical analysis on 250 cases of Inpatients with Facial Paralysi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0;23(3):109-21.
  7. Lee CK. Acupuncture Trials for Peripheral Facial Palsy in Republic of Korea: A Systematic Review. The Acupuncture. 2013;30(3):51-9.
  8. Lim DJ, Lee AR, Hwang JS, Cho HS, Kim KH, Kim JY. A Cross-Sectional Study of the Past Diseases and Causes of the Patients with Peripheral Type Nerve Paralysi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4;17(3):95-101.
  9. Park JH, Lee CH, Lee YH, Kwon GS, Yoon HM, Jeun DS, et al. The Clinical Research of the Effectiveness of "Danmuji Anchu Traction technique" on Acute Peripheral Facial Paralysis. The Journal of Korea CHUNA Manual Medicine for Spine & Nerves. 2011;6(1):43-52.
  10. Choi IS. SIM 10 Neurology. 4th ed. Seoul:Jeongdam. 2018:57-9.
  11. Jang SH, Heo H, Kwon JO, Yim YK. A Case Report of Vertigo by Korean Medical Treatment with Hominis Placenta Pharmacopunture. Journal of Hawhwa Medicine. 2016;25(1):45-52.
  12. Cho YS, Sim SY. A Review on the Pharmacopuncture Used in Herpes Zoster Related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6;29(1):113-22. https://doi.org/10.6114/jkood.2016.29.1.113
  13. Cho JY, Kim YJ, Kim EJ, Lee SD, Kim KS. The Effects of Hwangryunhaedok-tang Pharmacopuncture by the Anti-inflammatory Action of Suppression of iNOS Production on Mice with Allergic Rhinitis.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012;29(1):89-101.
  14. Park SH, Ro HR, Kim TH, Park JY.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 of Bee Venom Pharmacopuncture Treatment and Hwangryun Pharmacopuncture Treatment of Cervical Disc Herniation. The Acupuncture. 2013;30(3):117-24. https://doi.org/10.13045/acupunct.2013011
  15. Lee JH, Kim MJ, Lee JW, Kim MR, Lee IH, Kim EJ. A Study on Standardization of Shinbaro Pharmacopuncture Using Herbal Medicines Identification Test and HPLCDAD. The Acupuncture. 2015;32(2):1-9.
  16. Kim TH, Park WH, Cha YY. A Retrospective Study on the Effects of ShinBaro Pharmacopuncture and Jungsongouhyul Pharmacopuncture on Whiplash Injury by Traffic Accident.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2013;23(4):1-7.
  17. IM SH, Lee MJ, Lee SM, Kim ES, Lee SH, Kang JW,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s of Jungsongouhyul Pharmacopuncture Treatment and Bee Venom Pharmacopuncture Treatment on Peripheral Facial Paralysis. The Acupuncture. 2014;31(2):135-44. https://doi.org/10.13045/acupunct.2014031
  18. Shin MG, Kim HS, Heo WY, Kim BJ, Gang IA. The Effect of Cervi Pantotrichum Cornu Pharmacopuncture at Pyesu(BL13) on Chronic cough: Report of Six Cases. The Acupuncture. 2013;30(5):253-62. https://doi.org/10.13045/acupunct.2013065
  19. Kim JE, Hong CH. Two Clinical Case Reports of Ipsilateral Facial Palsy and Conjugate Gaze Palsy caused by Foville Syndrome & Foville-Millard-Gubler Syndrome.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1;24(3):129-37. https://doi.org/10.6114/JKOOD.2011.24.3.129
  20. Lee JH, Yang TJ, Kim SW, Jeong JY, Ma YH, Oh JS, et al. Efficacy between Hwangryunhaedok-tang Pharmacopuncture Therapy and Hominis Placenta Pharmacopuncture Therapy on Peripheral Facial Paralysis : Retrospective Comparision Study.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2015;32(4):199-207. https://doi.org/10.14406/acu.2015.023
  21. Heo J. Donguibogam. Seoul:Namsandang. 2009:105.

Cited by

  1. 만성 화농성 중이염에 동반된 이진균증 환자 한방 치료 1례 vol.34, pp.3, 2019, https://doi.org/10.6114/jkood.2021.34.3.0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