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Studies on 'Mibyung'

미병(未病)에 대한 연구 경향 분석 : 국내 논문을 중심으로

  • Kang, Sohyeon (Department of Global public health and Korean Medicine Management,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
  • Park, Sunju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강소현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글로벌보건한의정책학과) ;
  • 박선주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Received : 2019.07.25
  • Accepted : 2019.08.14
  • Published : 2019.08.31

Abstract

Objectives : In this study, We overviewed study trend on 'Mibyung' by analyzing articles published in Korea from 1997 to 2019. Methods : We collected research articles on 'Mibyung' from 7 Korean research databases using the keyword '미병' and '아건강'. Then we analyzed them by publish year, journal, and research subjects. Research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diagnosis', 'relationship with other factors', 'trend', 'concept', 'application development', 'policy research', 'prevalence and recognition', 'clinical report' or 'animal study'. Results & Conclusions : The largest number of related articles was published in 2017(12 articles, 26.7%).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was the journal with the most published articles(16 articles, 35.6%). Most of the research subjects were about diagnosis(11 articles, 24.4%) and analysis on relationship with other factors(10 articles, 22.2%). Little were published on policy(4 articles, 8.9%) and clinical study(1 article, 2.2%). More research on policy and clinical trials should be implemented for future mibyung study.

Keywords

References

  1. 질병관리본부. 2018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 질병관리본부; 2018.
  2. 정영호. 질병의사회경제적비용과 건강친화적재정정책. 보건복지포럼 =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09;156:50-61.
  3. Lee KE, Kim JJ, Jin HJ, Lee S, Shim EB. Physiological indices for the categorization of Mibyeong severity. Integrative medicine research. 2017;6(1):88-92. https://doi.org/10.1016/j.imr.2017.01.005
  4. 동원문화사 편집부. 황제내경: 동원문화사; 2005.
  5. 이선동, 김명동, Lee S-D, Kim M-D. 미병상태(未病狀態)의 학문적(學問的).임상적(臨床的) 중요성(重要性)과 의의(意義)에 대한 고찰(考察). 대한예방한의학회지. 1997;1(1):105-17.
  6. 오심도, 김군. 논문(論文) : 내경(內經)에 나타나는 아건강상태(亞健康狀態)의 중의학(中醫學)적 인식(認識)에 대한 고찰.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06;19(2):310-5.
  7. 민진하, 백유상, 장우창, 정창현. 논문(論文) : 치미병(治未病) 사상 연구.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0;23(1):257-77.
  8. 류정아, 장우창, 백유상, 정창현. 현대(現代) 한국사회(韓國社會)에 적합한 한의학(韓醫學) "치미병(治未病)"방법(方法)에 대한 모색(摸索).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1;24(4):175-93. https://doi.org/10.14369/SKMC.2011.24.4.175
  9. 이재철, 김상혁, 이영섭, 장은수, 이시우. 한의학의 미병 개념 및 변증과의 연관성에 대한 고찰.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2012;16(2):31-9.
  10. 김선민, 이시우, 문수정. 인터넷 상에서 사용되는 미병의 개념 및 사용자 분석 - 네이버 지식-iN과 카페를 중심으로.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2017;21(1):95-106.
  11. 이은영, 이영섭, 박기현, 유종향, 이시우. 미병에 대한 한국 일반인의 인식과 미병률 현황 : 전국조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2015;19(3):1-10.
  12. 이은영, 박기현, 유종향, 이시우. 일반인의 미병 인식 변화 양상과 관리방안 조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2016;20(1):1-10.
  13. 신재경. 특정 수강집단 학생들과 아건강 설문지 응답과의 통계적 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015;26(4):895-906. https://doi.org/10.7465/jkdi.2015.26.4.895
  14. 진희정, 이영섭, 유하나, 이시우. 미병 특허 동향조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2015;19(3):21-8.
  15. 이상재, 이송실, 김도훈. '미병(未病)' 연구의 경향에 관한 고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010;23(5):23-34.
  16. 이재철, 진희정.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최근 5년간 중국내 미병 연구동향 고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2012;26(5):615-20.
  17. 진희정, 백영화, 이영섭, 이재철, 김명, 김상혁. 미병 연구의 네트워크 분석.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2012;26(4):546-50.
  18. 김지영, 진희정, 백영화, 유종향, 이시우. 한국 간호사의 미병 증상과 관련요인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6;22(1):17-23. https://doi.org/10.14370/jewnr.2016.22.1.17
  19. 여민경, 이영섭. 미병 정량 지표에 관한 중국의 임상연구 동향 분석 -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를 중심으로.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2018;22(1):15-28. https://doi.org/10.25153/spkom.2018.22.1.002
  20. 이정원, 김훈, 신순식, 이해웅, 이용태, 김경철. 안면형태(顔面形態) 유형분류(類型分類)에 근거한 "치미병(治未病)" 예방의학정신과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대한동의생리학회). 2008;22(1):194-8.
  21. 김종원, 김규곤, 이인선, 이용태, 김경철, 지규용. 미병학(未病學) 체계구축을 위한 질병예측자(疾病豫側子)로서의 형상진단연구 - 담방광체(膽膀胱體)와 남녀형상(男女形象)을 중심으로.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23(3):540-7.
  22. 김종원, 전수형, 이인선, 김규곤, 이용태, 김경철, et al. 질병예측자료로서 사과(四科). 사류형상(四類形象)의 의의와 미병진단적 가치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23(2):325-30.
  23. 유재민, 박영배, 박영재. 한국판 아건강 평가 설문지의 타당도 연구. 大韓漢醫診斷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al diagnostics. 2009;13(2):78-87.
  24. 유재민, 박영재, 박영배. 아건강 설문지와 기분상태척도의 상관성 연구. 大韓漢醫診斷學會誌=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al diagnostics. 2011;15(1):77-86.
  25. 백영화, 이영섭, 박기현, 이시우, 유종향. 허울(虛鬱) 기반 미병 평가도구 개발 및 예비타당성 검증.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2015;19(3):11-9.
  26. 이영섭, 백영화, 박기현, 진희정, 이시우. 이상증상 기반 미병 분류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2016;20(3):45-53.
  27. 장은수, 윤지현, 이영섭. 증상 정도, 기간, 불편정도 및 회복력 기반 미병 설문지의 신뢰도 및 구성 타당도 평가. 大韓漢醫診斷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al diagnostics. 2017;21(1):13-25.
  28. 서효창. 미병 평가를 위한 휴대용 호흡가스분석장치 개발: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7.
  29. 이경은, 김중재, 이서호, 신성웅, 방현기, 김기태, et al. 심혈관 시뮬레이션 데이터 기반의 심혈관혈류역학 예측용 인공지능 개발. 제6회(2017년). 2017;2017(3):712-4.
  30. 신재경. 생활관리와 아건강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016;27(4):925-34. https://doi.org/10.7465/jkdi.2016.27.4.925
  31. 김지영, 이시우, 장은수, 백영화. 교직원의 생활습관이 미병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2017;31(3):194-9. https://doi.org/10.15188/kjopp.2017.06.31.3.194
  32. 김수정, 이시우, 이영섭, Kim S, Lee S, Lee Y. 건강군과 미병군의 한열지표 차이에 관한 연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17;21(1):49-56.
  33. 주종천, 이시우, 박수정. 한열변증 점수를 이용한 한증과 열증의 건강 상태와 미병 특징 비교. 대한 한의학회지. 2018;39(1):13-21.
  34. 박기현, 이영섭, 진희정. 미병 증상과 삶의 질 연관성 연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2017;21(2):35-44. https://doi.org/10.25153/spkom.2017.21.2.004
  35. 신재경. 생체리듬과 아건강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017;28(5):1069-76.
  36. 신재경. 아건강과 스트레스 증상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018;29(6):1533-42.
  37. 신재경. 올바른 자세와 아건강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018;29(4):987-95. https://doi.org/10.7465/jkdi.2018.29.4.987
  38. 박민영, 오현주, 황민우. 30-40대 여성의 미병상태에 따른 월경양상 비교연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19;23(1):61-72. https://doi.org/10.25153/spkom.2019.23.1.005
  39. 김상혁, 주종천, 황동욱, 이시우. 중의체질의학과 치미병(治未病)센터에 대한 보고. 사상체질의학회지 (사상체질의학회). 2010;22(3):59-66.
  40. 이재철, 김동수, 장은수. 현지 기술 조사활동을 통한 중국의 미병 정책 및 의료서비스 최신 동향 보고.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2013;17(1):137-47.
  41. 이은경, 송애진, 정명수. 중국의 치미병사업에 관한 고찰. 대한예방한의학회지 (대한예방한의학회). 2014;18(2):47-58.
  42. 문석희, 이의재, 류지선, 임병묵. 한의사 설문을 통한 미병관리의 제도적 활성화 방향 조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2017;21(3):19-28. https://doi.org/10.25153/spkom.2017.21.3.003
  43. 박동삼, 주현목, 정보미, 권기한, Park DS, Ju H-M, et al. 아건강 (亞健康) 고령 소비자를 위한 치유식 앱 개발의 중요성. 스마트미디어저널. 2017;6(1):30-8.
  44. 이영섭, 진희정, 박대일, 이시우. 한의학 기반 예방관리를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 미병보감. JSCM :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2018;30(1):66-73.
  45. 김창희, 임병묵, 박해모, 정명수, 황귀서, 신용철, et al. 새로운 한의학 양생 범주에 관한 연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15;19(1):23-33.
  46. 정문미, 김수현. 미병(未病)관리를 위한 노인건강체조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개발: 한의학과 한국무용을 적용하여.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 2019;58(1):229-35.
  47. 김재규, 채한, 김건형, 노승희. 아건강(亞健康) 치료[치미병(治未病)]에 미치는 태극침법의 효능에 대한 임상적 관찰. 大韓鍼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011;28(4):111-7.
  48. 박선행, 성윤영, 장설, 이시우, 김홍준, 김호경. 피로형 미병에 대한 당귀보혈탕의 효과.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2016;20(3):55-65.
  49. Jakovljevic MB, Milovanovic O. Growing Burden of Non-Communicable Diseases in the Emerging Health Markets: The Case of BRICS. Frontiers in public health. 2015;3:65. https://doi.org/10.3389/fpubh.2015.00065
  50. Hood L, Friend SH. Predictive, personalized, preventive, participatory (P4) cancer medicine. Nature reviews Clinical oncology. 2011;8(3):184-7. https://doi.org/10.1038/nrclinonc.2010.227
  51. Marcano Belisario JS, Huckvale K, Greenfield G, Car J, Gunn LH. Smartphone and tablet self management apps for asthma.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3(11):Cd010013.
  52. 김수정, 배광호, 이은영, 이시우. 사상체질(四象體質)에 따른 미병(未病)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JSCM :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2017;29(1):21-8. https://doi.org/10.7730/JSCM.2017.29.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