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through Field Practice on the Belief of Science Teaching and Science Teaching Attitudes of Preschool Teachers

현장 적용 유아과학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 교수방법 신념 및 과학 교수태도에 미치는 영향

  • 김래은 (유원대학교 영재보육학과) ;
  • 장문정 (키콕스 꿈드림 어린이집) ;
  • 송민서 (서영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9.04.12
  • Accepted : 2019.08.02
  • Published : 2019.08.31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instruction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science teaching methods and science teaching attitudes of preschool teacher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52 female student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at G university in Gyeongbuk province.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carbon scanners verification, and homogeneity verification; ANCOVA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Result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ost-test belief of science teaching method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ost-test scores of science teaching attitud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were positive influences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instruction through the field practice on the belief of science teaching methods and science teaching attitudes of preschool teachers.

Keywords

References

  1. 김낙홍 (2008). 유아교사 양성프로그램 평가에 관한 연구-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2(2), 195-212.
  2. 김명애 (2002). 구성주의 접근에 기초한 탐구중심 과학교육의 효과: 예비유아교사 교육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명애 (2003). 유치원 교사의 교육신념과 유아의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미경 (2005). 탐구과학 교수법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적 태도와 사고에 미치는 영향. 유아과학교육학논집, 9(4), 171-192.
  5. 김민정, 김지현 (2015).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6), 97-114. doi:10.14698/jkcce.2015.11.097
  6. 김안나 (2012). 유아 관찰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관찰자로서 경험의 의미.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4), 201-229.
  7. 김정신 (2017). 유아과학교육 수업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과 과학교수에 대한 이미지 변화 및 영향 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 167-192. doi:10.22251/jlcci.2017.17.1.167
  8. 김정화 (2003). 구성주의 교사교육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육에 대한 신념의 형성과정. 한국교원교육연구, 20(2), 97-120.
  9. 김지영 (2005). 구성주의 교사교육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육 신념의 변화: 과학교수 효능감, 과학교육 목표, 과학교수 방법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5(4), 133-152.
  10. 김진형, 임상도 (2015).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모의실제수업 모형 적용의 의미 탐색. 아동교육, 24(4), 157-176. doi:10.17643/KJCE.2015.24.4.09
  11. 김형재, 송민서, 홍순옥 (2016). 융합인재교육(STEAM)기반 유아과학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및 과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1(1), 613-640. doi:10.20437/KOAECE21-1-26
  12. 마지순, 고은현 (2010).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과 현장수업 경험에 대한 의미 탐색. 유아교육연구, 30(1), 249-273. doi:10.18023/kjece.2010.30.1.010
  13. 박은주, 박수미 (2010). 구성주의에 기초한 유아과학교육 수업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태도 변화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4(5), 207-233.
  14. 박은혜 (1996). 반성적 사고와 유아교사교육. 유아교육연구, 16(1), 175-193.
  15. 박해미 (2009). 현장수업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수업기술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4(6), 539-555.
  16. 성소영, 심향분 (2014). 예비유아교사의 수업시연 및 실제 교육활동 경험을 통한 반성적 사고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4), 91-114.
  17. 송연숙 (2001). 탐구중심의 과학교육수업이 예비교사의 과학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 연구논문집, 27(2), 407-425.
  18. 송연숙 (2004).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태도 증진을 위한 포트폴리오 수업효과 및 인식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9(4), 155-174.
  19. 송연숙 (2003). 과학관련 변인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35, 241-258.
  20. 송연숙, 최애경 (2018). 학습자중심의 유아과학교육 수업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이미지와 과학교수효능감에 관한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30(1). 56-73, doi:10.13000/JFMSE.2018.30.1.56
  21. 송연숙, 황해익 (2004).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지식의 변화 연구. 유아교육연구, 24(2), 87-105.
  22. 안부금, 신은수 (2002). 구성주의 관점의 유아과학 교사교육이 유아의 과학 흥미도, 과학과정기술,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22(3), 173-194.
  23. 유승연 (2000). 유아 과학 교수방법의 질적 개선을 위한 포트폴리오 평가 활용이 예비교사의 역할 변화와 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20(1), 221-242.
  24. 윤정희 (2015).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과학 활동 분석: 과학개념과 과학탐구과정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7), 701-722.
  25. 윤지영, 임승렬 (2012).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음악모의수업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실천적 지식내용분석. 음악교육연구, 41(3), 227-249.
  26. 이경민 (2001). 상호작용적 교수법에 의한 과학교육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탐구능력.태도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21(4), 261-284.
  27. 이경우, 조부경, 김정준 (1999).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유아과학교육. 서울: 양서원.
  28. 이세나, 강순미 (2009).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탐구중심 과학교육 수업이 과학교수태도와 반성적 사고수준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3), 129-150.
  29. 이연승, 유희정, 강민정 (2010). 2,3년제 대학의 교육 실습과 관련된 교육과정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요구도. 어린이미디어연구, 9(2), 1-18.
  30. 이연승, 임수정 (2018). 예비유아교사의 협동적 수업연구를 통한 유아과학교육 모의수업에 관한 경험연구. 어린이미디어연구, 17(3), 55-73. doi:10.21183/kjcm.2018.09.17.3.55
  31. 이은진 (2010).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지식(PCK) 신장을 위한 유아과학교육 강좌 모형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이은진 (2013).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 효능감 간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4), 135-158. https://doi.org/10.14698/jkcce.2013.9.4.135
  33. 이은희, 이일랑 (2016). 예비유아교사의 현장수업 경험에 관한 탐색 -유아 과학 교수활동을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6(2), 83-103. doi:10.21213/kjcec.2016.16.2.83
  34. 이정화, 이지영 (2019). 구성주의 유아교육실제 구현의 장애요인들: 구성주의 교육신념을 가진 유아교사의 지각을 중심으로. 아동교육, 28(1), 59-72. doi:10.17643/KJCE.2019.28.1.04
  35. 장영숙, 황윤세, 최미숙 (2004). 유아교사의 교육신념과 교수효능감의 관계 연구. 아동학회지, 25(6), 117-130.
  36. 정정희, 홍희주 (2014). 예비유아교사의 수학교수능력 증진을 위한 '유아수학교육' 교수실험의 효과-구성 주의적 접근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4(5), 149-165. doi:10.18023/kjece.2014.34.5.007
  37. 조부경, 김정화 (2000). 유아교사 양성대학 전공 강좌에서 이론과 교수 경험의 통합운영에 대한 예비교사, 지도교사 및 담당교수의 반응 분석. 유아교육연구, 20(1), 139-163.
  38. 조형숙 (1998). 유아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 자기 효능감. 유아교육연구, 18(2), 283-302.
  39. 조형숙 (1998). 유아교사의 과학 교수에 대한 태도 향상을 위한 발생적 탐구 학습모형 연구. 한국교육문제연구, 13, 35-50.
  40. 조형숙, 노승희 (2016). 만3-5세 담당 연령별 유아교사의 과학교육 실태 및 개선을 위한 요구. 한국교육문제연구, 34(2), 181-205.
  41. 조희정, 이대균 (2012). 예비유아교사 모의수업의 의미. 어린이문학 교육연구, 13(3), 563-587.
  42. 최진철 (2010). 체험중심 과학캠프 프로그램이 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 교수태도 및 교수방법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3. 홍기경, 이민경 (2017). 유아교사들이 말하는 과학수업의 어려움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 429-451. doi:10.22251/jlcci.2017.17.2.429
  44. 홍기량 (2000). 과학교육 접근방법에 따른 유아의 창의성 및 과학적 문제해결능력 차이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황의명, 조형숙 (2001). 탐구 능력 증진을 위한 유아과학교육. 서울: 정민사.
  46. Biddulph, F., Orsborn, R., Faire, J., & Duncan, J. (1986). Using interactive teaching to help children develop their ideas. In Promary Science Education in Asia and Pacific, NIER.
  47. Chaille, C. & Britain, L. (1997). The young child as scientist: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New York: Longman.
  48. Cho, H. (1997). Early childhood teachers' attitudes toward science teach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ation. The Penn Stat University, PA University Park, USA.
  49. Duschl, R. A.(1983). The elementary level science methods course: Breeding ground of an apprehention toward science a case stud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8), 745-754. doi:10.1002/tea.3660200805
  50. Howe, A. C. (1993). Sci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B. Spodek (Ed.), Handbook of research on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pp. 225-235). New York: Macmillan.
  51. Huber, R. A. & Moore, C. J. (2001). A model for extending hands-on science to be inquiry based.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1(1), 32-42. doi:10.1111/j.1949-8594.2001.tb18187.x
  52. Johnston, J. (1996). Early explorations in science. Buckingham, UK: Open University Press.
  53. Lundsteen, S. W. (1997). Reflections on the press and product of a unit constructed by a preservice class. Journal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18(2). 12-13. doi:10.1080/1090102970180203
  54. Matthews, M. R. (1998). In defense of modest goals when teaching about the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2), 161-174. doi:10.1002/(SICI)1098-2736(199802)35:2<161::AID-TEA6>3.0.CO;2-Q
  55. Young, B. J., & Kellogg, T. (1993). Science attitudes and prepara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Education, 77(3), 279-291. doi:10.1002/sce.3730770303
  56. Zambal-Saul, C., Blumenfeld, P., & Krajcik, J. (2000). Influence of guided cycles of planning, teaching, and reflection on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content representation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4), 318-339. doi:10.1002/(SICI)1098-2736(200004)37:4<318::AID-TEA3>3.0.CO;2-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