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formable Art Pavilion Spatial Expression Characteristics

가변형 아트 파빌리온 공간 표현특성에 관한연구

  • 두보위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
  • 홍관선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9.05.23
  • Accepted : 2019.06.27
  • Published : 2019.08.28

Abstract

The space before modern times is fixed and closed, then that after modern times is flexible and open. Based on the concept of space, the modern art exhibition hall gradually shifts from the interior space of a building to the outdoor space, giving birth to the concept of outdoor art pavilion. Based on this background, we analyzed and learned about the latest deformable art pavilions, focused on the investigation of its spac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and the case analysis, fully understood the design principles of deformable pavilions, and proposed the basic design directions and strategies for future research. Firstly, through learning the theories of transformable space, the characteristics and concept range of deformable space are understood. Secondly, based on the preliminary research and analysis of art pavilions,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are summarized. Thirdly, the pattern of deformable space and the method of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deformable space are investigated based on cases. After summarizing the case analysis, we identified the differences of different art pavilions between deformable modes and space characteristics, and analyzed the causes. This work provides a basis for distinguishing the transformation patterns of the deformable space, and reveals the changes in space concepts and the expansion of space meaning in future architectural space design.

근대 이전의 공간이 고정적이고 폐쇄적이었다면, 근대 이후에 지어진 공간의 특성은 융통성과 개방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공간 컨셉을 기반으로 현대 예술 전시관 또한 점차 건축물 내부 공간에서 실외 공간으로의 변화를 추구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외부 아트 파빌리온이라는 개념이 탄생하게 되었다. 전통예술 전시관과 비교했을 때, 파빌리온은 현재 건축공간의 질서에서 벗어났을 뿐 아니라 창의적인 공간형태를 실현하였다. 따라서 많은 전문가디자이너들은 이를 통해 인간과 자연 사이의 장벽을 깨고자 시도하였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최근의 가변형 아트 파빌리온을 분석하고자한다. 가변형 아트 파빌리온의 표현특성을 고찰하고 사례를 분석하여 가변형 아트 파빌리온의 디자인 원칙과 원리를 파악하고, 향후 연구될 기본적인 설계의 방향과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가변형 공간의 이론을 고찰하여 가변형 공간의 특성과 개념 범주를 파악한다. 둘째, 아트 파빌리온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그 표현특성을 정리한다. 또 문헌연구를 통해 아트 파빌리온을 표현특성별로 구분하였다. 셋째, 가변형 공간 형태와 가변형 공간의 특성이 반영된 사례를 통해 연구를 진행한다. 사례분석에서 도출된 결과를 통해 각 아트 파빌리온의 변형방식과 공간특성의 표현방식 상의 차이와 그 나타나는 원인을 파악한다. 본 연구는 가변형 공간의 변형방식을 선별하기 위한 기준 근거를 제시하고, 또 미래 건축공간 디자인측면에서 공간개념의 변화와 공간 의의의 범주를 확장시킬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진숙, "모바일 스페이스의 공간 구성 및 용법에 의한 일시적 거주 공간 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 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13권, 제5호, p.2, 2004.
  2. 김지혜, 소통의 장으로서의 미술관 아트 파빌리온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22, 2013.
  3. 전현호, Serpentine Gallery Pavilion의 설계방법과 구조별 재료사용방법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3-14, 2014.
  4. 서기, 기획논고: EXPO와 그 이후 2, 空間, p.106, 1992.
  5. William M. Pena and Steven A. Parshall, Problem Seeking, John Wiley&Sons, Inc Press, New York, p.84, 2001.
  6. 김선동, 이동 가능한 건축의 배경과 특성에 관한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25, 2009.
  7. 임영환, 유연수, "이동 가능형 건축의 PV 시스템 통합디자인 방법 및 특성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5권, 제3호, p.121, 2009.
  8. 염윤정, 모바일 뮤지엄의 배경과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65, 2009.
  9. 이영수, "현대 건축의 유목적 표현특성에 관한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3권, 제1호, p.213, 2003.
  10. 박상준, "비정형 뮤지엄과 전시연출과의 연관 가능성에 관한 고찰," 한국 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논문집, 제17권, 제2호, p.53, 2017.
  11. 김유림, 문대성, "생활단위변화에 따른 공간의 이동성(Mobility)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제8권, 제1호, p.100,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