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가족애니메이션 캐릭터 연구 - <심슨 가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mily Animation Characters - Focused on the

  • 윤혜영 (한양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 투고 : 2019.05.08
  • 심사 : 2019.07.19
  • 발행 : 2019.08.28

초록

<심슨 가족> 에 대한 관심은 미국 문화의 함축, 깊이 있는 풍자, 흥행에 대한 벤치마킹이 대부분이다. 서사적 특성과 캐릭터의 특징을 기반으로 한 흥행 원인 분석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 작품의 장르적 특성을 가족 애니메이션이라 규정하고, 이에 따른 전략적 캐릭터 서사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캐릭터의 개별적 특징을 확인하고 타 애니메이션, 드라마, 시트콤의 캐릭터와 비교 분석해보았다. 또한 캐릭터들이 서사에 참여하는 비중, 특정 에피소드에서 웃음의 시점과 향유자층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1) 캐릭터의 이상적인 모습을 탈피해 대중 매체가 지향하던 고정된 시선을 풍자하고 대중이 가진 욕망을 자극한다. 2) 또한 등장하는 모든 캐릭터가 주인공이 되고 때로는 조력자, 안타고니스트가 되는 순환적 서사를 통해 향유층을 확장하고 문화적 할인율은 절감했다. 3) 서사의 층위를 달리해 유아, 청소년, 성인들이 즐길 수 있는 깊이가 각각 달라지고 이 역시 타겟의 확장에 기여한다. 한국 애니메이션이 가진 타겟과 주제에 대한 한계를 감안했을 때, <심슨 가족>이 가진 위의 특징을 활용한다면 보다 가치 있고 지속적인 향유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이후 한국의 가족 애니메이션에서 나타나는 캐릭터 특징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향유의 확장성과 지속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There has been not the research on the reason of success based on the characteristic of narrative and characters of , I defined the major characteristic of this genre as family animation, and aimed at researching strategic character and narrativ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haracters are identified, and compared with other animation, soap opera, and sitcom. The portion that characters participated in the narrative was analyz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int and viewers was also researched in the specific episodes. 1) The characters against the ideal ones function to satirize the fixed idea pursued by the mass, and stimulate the viewers' desire. 2) All the characters are protagonist and sometimes antagonist, or advisor. The circulating position expands the target of viewers, and decreases the cultural discount. 3) It produces a couple of layered narrative, then children, teenagers, and adults enjoy the each different depth of the narrative, resulted in the target expansion. Considering on the limit of theme and target in Korean animation, I expect the findings above will enable to produce more valuable and consistent contents. Later, characters in the Korean family animation is to be researched and the expandability and sustainability would be ensured.

키워드

참고문헌

  1. 임정희, "심슨가족 애니메이션의 포스트모던 패러디," 애니메이션연구, 제1권, 제1호, pp.295-306, 2005.
  2. 염동철, "<심슨가족>의 캐릭터를 통한 관객성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제21호, pp.1-17, 2010.
  3. 최영진, "특집 : 대중문화와 창조성 ; 블루스의 재현성과 유희성 -<심슨가족>의 에피쏘드와 <쏘울 오브 맨>을 중심으로," 안과 밖, 제28권, pp.90-113, 2010.
  4. 이영수, "<스프링필드>에 나타난 TV애니메이션 <심슨가족>의 게임화 전략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제39호, pp.85-109, 2015.
  5. 박윤오, 김재웅, "TV시리즈 애니메이션 <심슨가족>에 나타난 시트콤의 특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3호, pp.157-166,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3.157
  6. Brian Geoffrey Rose and Robert S. Alley, TV Genres: A Handbook and Reference Guide, Greenwood Press, p.115, 1985.
  7. Vicki Abt and Leonard Mustazza, Coming after Oprah: Cultural Fallout in the Age of the TV Talk Show, Bowling Green State University Popular Press, p.115, 1997.
  8. Wiley Lee Umphlett, From Television to the Internet: Postmodern Visions of American Media Culture in the Twentieth Century,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p.252, 2006.
  9. 배리 파워, 다이아몬드 파워, 성우, p.182, 2004.
  10. Jonathan Gray, Jeffrey P. Jones, and Ethan Thompson, Satire TV: Politics and Comedy in the Post-Network Era, NYU Press, 2009.
  11. 더글라스 러시코프, 카오스의 아이들, 민음사, p.284, 1997.
  12. Wiley Lee Umphlett, From Television to the Internet: Postmodern Visions of American Media Culture in the Twentieth Century,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p.252, 2006.
  13. 악셀담믈러, 부모가 사주고 싶은 것, 아이가 갖고 싶은 것, 에코리브르, p.81, 2003.
  14. 토이뉴스, "Total Recall, 오락 브랜드 인지도," 2011(4).
  15. 더글라스러시코프, 미디어 바이러스, 황금가지, p.138, 2003.
  16. 더글라스러시코프, 미디어 바이러스, 황금가지, p.129, 2003.
  17. 악셀담믈러, 부모가 사주고 싶은 것, 아이가 갖고 싶은 것, p.213, 에코리브르, 2003.
  18. Scott Robert Olson, Hollywood Planet : Global Media and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Narrative Transparency, Routledge, p.18, 1999.
  19. Shari Ross Altarsac, The adaptation of U.S. television programs in foreign markets : how Japan and France put their distinctive spin on "The Simpsons", University of California, p.10, 2007.
  20. Chiara Francesca Ferrari, Since when Fran Drescher Jewish? Dubbing stereotypes in the Nanny, the Simpsons, and the Sopranos, University of Texas Press, p.75, 2010.
  21. 박기수, "<신세기 에반게리온>의 서사 특성 연구," 한국언어문화학회, 제19권, p.104,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