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erceptions toward Career Problems in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문제에 대한 인식 유형별 특성에 관한 연구

  • 김소라 (순천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Received : 2019.06.13
  • Accepted : 2019.08.04
  • Published : 2019.08.28

Abstract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introduce a new approach in overcoming career problems of adolesc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and to explore public views on their careers. Using the Q-methodology, the types of perception toward multicultural adolescents' careers and their features from diverse views were drawn, Data from 35 participants and 34 statements were analyzed by using the QUANL-PC program. The identified perception types were classified as four types: neutral perception type, economic hardship perception type, lack of career training perception type, and lack of professional support perception type. The results found that views toward career problem of adolesc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are neither positive nor negative, and their perceptions were more varied and specific beyond the dichotomy. Therefore, to promote the careers development of adolesc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more individualized career supporting strategy should be provided based on the applicable perception types.

이 연구는 다문화 가정 청소년들의 진로문제 인식에 대한 이해를 통해 다문화 청소년들을 위한 진로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첫째,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 문제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유형화되며 인식유형별 특성은 무엇인지, 둘째, 인식 유형에 걸쳐 나타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Q방법론을 활용하였으며, 다섯 집단(다문화 청소년과 다문화 청소년 학부모, 비다문화 청소년, 비다문화 청소년 학부모, 교사)을 대상으로 조사된 자료는 PC용 QUAN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사회적 측면, 가정환경 측면, 진로활동 측면, 제도 측면에서의 진로문제에 대한 진술문 34개에 대한 동의 정도를 살펴 본 결과, 본 조사에서 밝혀진 4개의 인식 유형은 "중립적 인식 유형", "경제문제 인식 유형", "진로교육문제 인식 유형", "전문적 지원 문제 인식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다문화 청소년 진로에 대한 인식은 각 유형별로 구체적인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는 가운데, 일방적으로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관점에서 보고 있다기보다는 현실적인 문제 해결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진로 인식의 문제는 진로교육 뿐 아니라 사회적, 심리적 측면에서 해결할 수 있는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2018 교육기본통계, 2018.
  2. 한국일보, "다문화 청소년 '학교 밖 2만명' 언어.진로에도 관심을," 2016.12.9.
  3. 권이종, "학교중도탈락학생의 진로지도 방향," 청소년학연구, 제49권, 제1호, pp.9-34, 2009.
  4. 오성배, 서덕희, "중도입국 청소년의 진로의식, 진로준비행동과 사회적 지원실태 탐색," 중등교육연구, 제60권, 제2호, pp.517-552, 2012.
  5. 전종미, 장진경, "다문화가정 중학생 자녀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제49권, 제1호, pp.9-34, 2009.
  6. 우룡, "도시와 농어촌 지역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적응실태 분석," 청소년보호지도연구, 제11권, pp.25-54, 2007.
  7. 설동훈,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 복지 정책 방안, 보건복지부, 2005.
  8. 이태주, 이민경, 박혜경, 문경희, 이주배경을 지닌 아동 청소년 종합지원정책 보고서, 보건복지가족부, 2008.
  9. 김갑성, 한국내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연구, 서울교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0. 박하나, 조영달, 박윤경,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의 진로교육 현황 및 문제점 분석 -일반고와 특성화고의 사례비교를 중심으로-," 다문화교육연구, 제6권, 제1호, pp.21-49, 2013.
  11. 경기도 가족여성연구원, 경기도 다문화 가정 청소년생활실태와 지원방안 연구, 2010.
  12. 교육부, 다문화.탈북 학생들의 진로교육 및 취업지원 강화 방안에 대한 연구, 2015.
  13. 류성창, "다문화 청소년 진로지도 실태와 과제," 제40차 한국진로교육학회 학술대회지, pp.95-136, 2015.
  14. 이시이히 로꼬, 이영선, "국제결혼가정 청소년의 진로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대한 탐색," 다문화사회연구, 제9권, 제2호, pp.231-271, 2016.
  15. 김민경, "진로역량강화 프로그램이 다문화청소년의 진로결정 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아동복지연구, 제13권, 제3호, pp.147-171, 2015.
  16. 최윤희, 김순자,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자아정체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제30권, 제3호, pp.743-662, 2011.
  17. 김교정, 정규석, "다문화 청소년 성장환경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1호, pp.272-285, 2018. https://doi.org/10.5392/JKCA.2008.8.11.272
  18. 김흥규, Q방법론: 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커뮤니케이션북스, 서울, 2008.
  19. S. R. Brown, Political Subjectivity: Applications of Q Methodology in Political Science, Yale University Press, New Heaven, CT., 1980.
  20. 강다영, 심형화, "노인의 연명치료에 대한 태도: Q방법론적 접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2호, pp.355-369,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12.355
  21. 안이수, "성소수자에 관한 주관성 연구: Q방법론적 접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호, pp.527-539,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1.527
  22. 유일, 김소라, 이석인, 이찬영, "Q방법론을 활용한 중소기업 인식에 대한 연구: 광주 산업단지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를 위한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지논문지, 제16권, 제10호, pp.81-95. 2016.
  23. 이재환, 성혁제, "대학의 장애학생 취업지원에 관한 주관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호, pp.197-210,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1.197
  24. 정세종, 김봉철, 김유미, "경찰행정학과 학생들의 경찰 이미지에 대한 주관적 태도 유형: Q방법론의 적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639-650,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639
  25. G. C. Thompson, The evaluation of public opinion. In B, Berelson and M. Janowitz (eds..), Reader in public opinion and communication, 2nd ed., New York: Free Press, 1966.
  26.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미래 한국사회 다문화 역량강화를 위한 아동.청소년의 역량개발을 중심으로, 연구보고 09-R14, 2009.
  27. 김기홍, 이남철, 나현미, 다문화 청소년 직업교육훈련지원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기본연구 2018-03, 2018.
  28. 정석환, "제한된 합리성 하에서 다문화 정책에 대한상대적 우선 순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1호, pp.317-32,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11.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