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lace Where the Cabin or Flight Crew of International Air Carrier Habitually Carries Out his/her Work - CJEU, 2017. 9. 14., C-168/16, C-169/16 - Sandra Nogueira and Others v. Crewlink Ltd Miguel José Moreno Osacar v. Ryanair

국제항공운송 승무원의 일상적 노무제공지

  • Kwon, Chang-Young (JIPYONG LLC, Korea Aerospace University) ;
  • Kim, Sun-Ah (Major in Air & Space Law of Korea Aerospace University, Asiana Airlines)
  • 권창영 (법무법인(유한) 지평, 한국항공대 항공우주법학과, 항공우주정책.법학회, (사) 항공소음정책포럼) ;
  • 김선아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법 전공, 아시아나항공)
  • Received : 2019.06.15
  • Accepted : 2019.06.28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Crew members engaged in international air transportation provide work in many countries due to the nature of their work. According to the Private International Act, the place where the employee habitually carries out his/her work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termination of the governing law of the international labor contract (Article 28, Paragraph 2) and in the decision of international jurisdiction (Article 28, Paragraphs 3 and 4). The concept of the place where the employee habitually carries out his/her work was proposed by the EU to determine international jurisdiction and governing law. In international aviation law,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place where the employee habitually carries out his/her work is different from that of home base, which is a concept introduced for fatigue management of the crew in order to secure the aviation safety; thus the place where the employee habitually carries out his/her work and home base are not the same concept. In order to determine the place where the employee habitually carries out his/her work, following matters should be considered comprehensively; (i) where the crew starts and ends work, (ii) where the aircraft the crew is performing work on is primarily parked, (iii) where the crew is informed of the instructions and organizes his/her work activities, (iv) where the crew is obliged to reside according to the labor contract, (v) where there is an office provided by the employer and available to the crew, (vi) where the crew is obliged to be when he/she is ineligible for the work or subject to discipline. However, since all of the above items are the same as the location of the home base, it is reasonable to consider the home base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deciding on the place where the employee habitually carries out his/her work. In contrast, the state where the aircraft is registered (Article 17 of the Chicago Convention), should not be regarded as a place of where the employee habitually carries out his/her work. In this case, CJEU provided the first judging standard for the concept of the place where the employee engaged in international air transportation habitually carries out his/her work. It is the interpretation of the Brussels regulations which became a model -for the Korean Private International Act,- so it would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place where the employee habitually carries out his/her work.

국제항공운송에 종사하는 승무원은 업무의 성격상 여러 나라에서 근로를 제공하게 된다. 국제사법에 의하면 일상적 노무제공지는 국제근로계약의 준거법 결정(제28조 제2항), 국제재판관할의 결정(제28조 제3항, 제4항)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일상적 노무제공지는 국제재판관할과 준거법의 결정을 위하여 EU에서 제창된 개념으로, 국제항공법에서 항공안전을 확보할 목적으로 승무원의 피로관리를 위해 도입된 개념인 모기지(母基地)와 입법목적이 서로 달라, 일상적 노무제공지와 모기지는 같은 개념이라고 볼 수 없다. 승무원의 일상적 노무제공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i) 승무원이 근무를 시작하고 종료하는 곳, (ii) 승무원이 업무를 수행하는 항공기가 주로 주기(駐機)된 곳, (iii) 사용자가 전달한 지시사항을 알게 되고 근무활동을 조직하는 곳, (iv) 근로계약상 승무원이 거주할 의무가 있는 곳, (v) 사용자가 제공하고 승무원이 사용할 수 있는 사무실이 있는 곳, (vi) 승무원이 업무에 부적합하거나 징계사유가 발생할 때 참석할 의무가 있는 곳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그런데 위에서 열거한 사항은 모두 모기지 소재지와 동일하므로, 승무원의 일상적 노무제공지를 결정할 때 모기지를 가장 중요한 요소로 고려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와 달리 기적국을 일상적 노무제공지로 보아서는 안 된다. 대상사안에서 CJEU는 국제항공운송에 종사하는 객실승무원의 일상적 노무제공지에 관하여 최초로 판단기준을 제시하였는바, 이는 우리나라 국제사법의 모범이 되었던 브뤼셀 규정의 해석이므로, 국제항공운송 승무원에 관하여 국제사법상 일상적 노무제공지의 개념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창영, "국제근로계약에 관한 국제재판관할", 노동법실무연구 제1권(김지형 대법관 퇴임기념), 사법발전재단, 2011
  2. 권창영, 항공법판례연구 II -항공노동법-, 법문사, 2019
  3. 김두환, "Possibility of Establishing an International Court of Air and Space Law", 항공우주정책 법학회지 제24권 제2호, 2009. 12.
  4. 김용담, "국제계약의 준거법과 강행법규", 재판자료 제33집, 1986
  5. 김지형, "국제적 근로계약의 준거법", 저스티스 제68호, 2002. 8.
  6. 김한택, "국제항공테러협약의 관할권 연구", 항공우주정책 법학회지 제24권 제1호, 2009. 6.
  7. 석광현, 국제재판관할에 관한 연구, 서울대 법학박사학위논문, 2000
  8. 석광현, "국제근로계약과 근로자보호 -개정 국제사법을 중심으로-", 노동법학 제13호, 2001. 12.
  9. 석광현, 2001년 개정 국제사법 해설 (제2판), 지산, 2003
  10. 석광현, "개정루가노협약에 따른 계약사건의 국제재판관할", 법학 제49권 제4호, 2008. 12.,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11. 석광현, "민사 및 상사사건의 재판관할과 재판의 집행에 관한 유럽연합규정(브뤼셀 규정) -브뤼셀 협약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법학논총 제20집 제1호, 2003. 6.
  12. 석광현, 국제사법 해설, 박영사, 2013
  13. 소재선, "항공기사고 손해배상청구에 있어서 준거법의 결정에 관한 소고", 항공우주정책 법학회지 제25권 제2호, 2010. 12.
  14. 이창재, "항공사고에 관한 미국 해사법정관할", 항공우주정책 법학회지 제31권 제2호, 2016. 12.
  15. 조정현 황호원, "항공기사고에서 국제근로계약과 불법행위의 국제재판관할권 판단기준", 항공우주정책 법학회지 제31권 제2호, 2016. 12.
  16. 廣江健司, 國際民事關係法 -國際私法․國際民事手續法․國際取引法-, 成文堂, 2008
  17. 米津孝司, 國際勞働契約法の硏究, 尙學社, 1997
  18. 山田鍊一, 國際私法(제3판), 有斐閣, 2004
  19. 溜池良夫, 國際私法講義(제3판), 有斐閣, 2005
  20. 川口美貴, 國際社會法の硏究, 信山社, 1999
  21. Martiny, Munchener Kommentar Burgerliches Gesetzbuch, Band 10, C.H.Beck(2006)
  22. ICAO, "The Need for a Strategy to Address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Continued Liberalization: Would Maritime Style "Flags of Convenience" Contribute to Sustainable Aviation?", ATConf6/-WP99, 2013. 3.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