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명애. (2017). 사회적기업의 가치에 대한 인식과 자기해석 성향이 제품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창업학회지, 12(3), 238-261. https://doi.org/10.24878/TKES.2017.12.3.238
- 강우성, 유창조, 김대영. (2015). 브랜드에 대한 부정적 기사내용이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전략 유형과 선호정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마케팅관리연구, 20(3), 65-99.
- 김수연, 김인기, 김유별. (2013). 기업의 CSR 커뮤니케이션 효과 프로그램 유형(기업의 일방적 기부, 소비자 참여형)과 매체(신문기사, 소셜미디어)의 활용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24(6), 167-190.
- 김숙연. (2016). 사회적기업 가치가 사회적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세무회계연구, 50, 171-192.
- 김윤애, 박현순. (2008). 메시지 제시 형태(광고, 퍼블리시티, 블로그)에 따른 설득 효과 차이: 설득지식모델을 적용하여. 한국언론학보, 52(5), 130-159.
- 김재현. (2009). 착한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행동에 영향 미치는 요인에 관한 질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종대. (2018. 6. 15). 진정한 사회적 기업...기부 아닌 사회문제 해결이 선제조건. 매일경제. 자료검색일 2019. 7. 3, 자료출처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18/06/377379/
- 서울연구원. (2018. 2. 26). 서울시 '사회적경제기업'의 현재는? 서울인포그래픽스. 자료검색일 2019. 6. 27, 자료출처 https://www.si.re.kr/node/58929
- 안진아, 박종철, 정형식. (2012). CRM 광고의 기부표현 방식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부비율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마케팅논집, 20(4), 117-132.
- 유성열. (2018. 10. 31). 1877곳 사회적기업 인증... 취약계층 위한 일자리 창출에 앞장. 동아일보. 자료검색일 2019. 7. 3, 자료출처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81030/92649936/1
- 유소이. (2012). 윤리적 제품에 대한 소비자 구매갭(Gap): 공정무역커피를 대상으로. 소비자문제연구, (41), 1-18.
- 유종숙, 정만수, 조삼섭. (2007). 위기시 기업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형태 비교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9(3), 104-128.
- 유지수, 조삼섭. (2008).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뉴스보도 유형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19(2), 43-78.
- 유창조, 김대영, 강우성. (2013). 특정 브랜드에 대한 퍼블리시티의 방향성이 브랜드 계층구조상의 다른 브랜드들에 대한 평가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학연구, 24(4), 73-98.
- 김귀곤, 윤철혁, 체렌도르 엥크치멕. (2014). CSR 퍼블리시티와 매체신뢰도의 조절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2(5), 203-211. https://doi.org/10.14400/JDC.2014.12.5.203
- 유효선, 김생수. (2012). 사회적 기업의 개념과 유형에 관한 고찰. 한국행정과 정책연구, 10(1), 23-45.
- 이주석. (2016). 사회적 기업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과 지불의사액에 대한 연구. 한국혁신학회지, 11(3), 201-215.
- 이진민, 이상식. (2017). 사회적기업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22(2), 123-142. https://doi.org/10.9723/jksiis.2017.22.2.123
- 이형재, 류선호. (2012). 사회적 가치가 사회적 기업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동일시의 효과. 고객만족경영연구, 14(1), 197-216.
- 정만수, 유종숙, 조삼섭. (2007). 광고 형태의 메시지와 퍼블리시티 형태의 메시지가 소비자의 태도변화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연구: 제품에 대한 관여도(Involvement)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8(3), 29-51.
- 정흥준. (2016). 청년실업, 사회적 기업에 거는 기대. 세계와 도시, (15), 24-32.
- 조수영, 김선정. (2011). 기업 이미지, 제품 특성과 CSR 유형의 일치/불일치에 따른 수용자 설득효과: 설득지식모델의 적용. 한국광고홍보학보, 13(3), 509-538.
- 조영복, 양용희, 김혜원. (2008). 사회적기업 육성을 위한 중장기 정책방향. 사회적기업연구, 1(2), 61-89.
- 찾기쉬운 생활법령 정보. (연도미상). 사회적기업의 개념 및 종류. 자료검색일 2019. 6. 10, 자료출처 http://easylaw.go.kr/CSP/CnpClsMain.laf?popMenu=ov&csmSeq=652&ccfNo=1&cciNo=1&cnpClsNo=1
- 최은정, 김수현. (2013). 사회적 가치 일치성이 사회적 기업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사회적 가치 일치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14(1), 87-109.
- 한국노동연구원. (2017). 2017년 사회적기업 실태조사(I). 자료검색일 2019. 6. 20, 자료출처 http://ikose.or.kr/279490#0
-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연도미상a). 사회적기업의 개념. 자료검색일 2018. 1. 15, 자료출처 http://www.socialenterprise.or.kr/kosea/support_system.do?dep1_kind=1
-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연도미상b). 지정요건. 자료검색일 2018. 1. 15, 자료출처 http://www.socialenterprise.or.kr/kosea/support_outline.do?dep1_kind=2
- 한세억. (2017). 사회적 기업의 성공요인과 시사점: 친환경 사회적 기업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7(1), 115-154.
- 홍종필, 장혜연. (2011). 기업의 공익연계 광고가광고태도 및 기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업-공익-소비자 간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12(4), 771-798.
- Browne, M. W., & Cudeck, R. (1992).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Sociological Methods & Research, 21(2), 230-258. https://doi.org/10.1177/0049124192021002005
- Carrigan, M., Szmigin, I., & Wright, J. (2004). Shopping for a better world? An interpretive study of the potential for ethical consumption within the older market.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21(6), 401-417. https://doi.org/10.1108/07363760410558672
- Hooper, D., Coughlan, J., & Mullen, M. (2008).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Guidelines for determining model fit. Electronic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Methods, 6(1), 53-59.
- Kotler, P., & Armstrong, G. (2011). Principles of marketing (14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 Kumar, A., Lee, H.-J., & Kim, Y.-K. (2009). India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oward a United States versus local brand.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2(5), 521-527. https://doi.org/10.1016/j.jbusres.2008.06.018
- Lee, J., & Lee, Y. (2018). Effects of multi-brand company's CSR activities on purchase intention through a mediating role of corporate image and brand image.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22(3), 387-403. https://doi.org/10.1108/JFMM-08-2017-0087
- Liu, G., & Ko, W.-W. (2012). Organizational learning and marketing capability development: A study of the charity retailing operations of british social enterprise. Nonprofit and Voluntary Sector Quarterly, 41(4), 580-608. https://doi.org/10.1177/0899764011411722
- Loda, M. D., Norman, W., & Backman, K. F. (2007). Advertising and publicity: Suggested new applications for tourism marketers. Journal of Travel Research, 45(3), 259-265. https://doi.org/10.1177/0047287506292688
- Lord, K. R., & Putrevu, S. (1993). Advertising and publicity: An information processing perspective.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14(1), 57-84. https://doi.org/10.1016/0167-4870(93)90040-R
- Nguyen, N., & Leblanc, G. (2001). Corporate image and corporate reputation in customers' retention decisions in services.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8(4), 227-236. https://doi.org/10.1016/S0969-6989(00)00029-1
- Oh, J. C., & Yoon, S. J. (2014). Theory‐based approach to factors affecting ethical consump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38(3), 278-288. https://doi.org/10.1111/ijcs.12092
- Putrevu, S. (2005). Differences in readers' response towards advertising versus publicity. Psychological Reports, 96(1), 207-212. https://doi.org/10.2466/pr0.96.1.207-212
- Shaw, D., & Shiu, E. (2002). The role of ethical obligation and self‐identity in ethical consumer choice.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6(2), 109-116. https://doi.org/10.1046/j.1470-6431.2002.00214.x
- Son, H., Lee, J., & Chung, Y. (2018). Value creation mechanism of social enterprises in manufacturing industry: Empirical evidence from Korea. Sustainability, 10(1): 46. https://doi.org/10.3390/su10010046
- Williams, E. C. (1988). Product publicity: Low cost and high credibility.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17(4), 355-359. https://doi.org/10.1016/0019-8501(88)900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