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아영, 김희현. (2013). 몰입형 게임화에 따른 효과적 체험마케팅 연구 - 번트 슈미트(Bernd Schmitt)의 5가지 전략적 체험모듈을 중심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3(3), 687-695. https://doi.org/10.17280/JDD.2013.13.3.066
- 김상훈, 강지윤. (2005). 소비자 특성이 추구편익 및 내구재 속성의 중요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소비자 혁신성, 대인적 민감도, 소비자 지식을 중심으로. 마케팅 연구, 20(4), 209-230.
- 김선아, 황선진. (2018). 패션광고 유형과 패션브랜드 확장, 소비자 혁신성이 광고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26(5), 714-726. https://doi.org/10.29049/rjcc.2018.26.5.714
- 김성익, 오창섭. (2014). 3D 프린팅이 디자인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4), 75-86.
- 김수홍, 장광집. (2017).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가상현실 디자인 방향성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8(6), 79-90.
- 김은미. (2013). SPA 패션 브랜드 매장 내의 체험요소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쇼핑가치와 소비자 혁신성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정석. (2017). 블록체인 기술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종필, 송유진. (2018). 블록체인 기술 혜택의 효과가 블록체인 보험 서비스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UTAUT 모형을 기반으로. 한국IT서비스학회지, 17(4), 163-189. https://doi.org/10.9716/KITS.2018.17.4.163
- 김주희, 김유경. (2018). 스마트 웨어러블 패션브랜드 융복합 확장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35, 109-120.
- 김현창. (2015). 3D 프린팅이 사회.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3(7), 23-31. https://doi.org/10.14400/JDC.2015.13.7.23
- 김혜은. (2015). 3D 프린팅 기술의 발달로 인한 패션 산업 변화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5(4), 17-33.
- 박영배, 박현지. (2017). UTAUT모형을 이용한 사용자 수용연구.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22(1), 11-21. https://doi.org/10.9723/jksiis.2017.22.1.011
- 박현규. (2019). 소비자의 3D 프린터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가치 기반 수용 모델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훈. (2014. 6. 10). Realization of Creative Industry Series - New Strategy for the Growth of Fashion and Apparel Industry through the Convergence between Fashion Design and ICT. 자료검색일 2019. 5. 1, 자료출처 http://eng.kiet.re.kr/kiet_eng/?sub_num=211&state=view&idx=9360
- 배재권. (2013). 소셜커머스 서비스의 재구매의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14(2), 199-224. https://doi.org/10.15719/GEBA.14.2.201306.199
- 백미라, 최훈화, 이훈영. (2015). 웨어러블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에 대한 연령별 수용의도. 대한경영학회지, 28(12), 3171-3189.
- 서상우. (2018).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소비자의 지식수준과 불안수준에 따른 패션산업의 미래이미지. 패션비즈니스, 22(4), 130-144. https://doi.org/10.12940/JFB.2018.22.4.130
- 서성은, 노정심. (2015). 스마트패션제품 개발 동향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23(6), 1097-1115.
- 성가희, 주안치, 윤갑근. (2014). 체험마케팅을 위한 팝업 스토어의 공간디자인 표현 특성. 디자인지식저널, 29, 117-126.
- 성동규, 정헌수. (2018). 소비자 혁신성의 차이에 따른 브랜드 선택모형의 차이에 관한 연구. 상품학연구, 36(2), 33-40. https://doi.org/10.36345/KACST.2018.36.2.003
- 손현정, 이상원, 조문희. (2014). 대학생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UTAUT2 모델의 응용. 한국언론정보학보, 68, 7-33.
- 송영조, 최남희. (2017). 4차 산업혁명의 선.악순환구조 식별을 위한 인과지도 분석. 대구: 한국정보화진흥원.
- 신현신, 이항. (2011). 체험 마케팅이 브랜드 태도 및 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7(2), 294-307.
- 심현숙. (2012). 브랜드 체험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브랜드 자산의 조절 역할 및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유재원. (2018).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을 바탕으로 한 소비자의 신제품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 : 신제품 유형과 조절초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윤광석. (2018). 4차 산업혁명 시대 정보기술을 활용한 행정서비스 혁신방안 연구. 서울 : 한국행정연구원.
- 윤설민, 이태희. (2012). 테마파크에서의 체험이 감정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 체험마케팅 관점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24(2), 289-308.
- 이국희, 조재경. (2016). 3D프린팅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경험 분석과 서비스 방향제안. 한국HCI학회 논문지, 11(1), 47-55.
- 이용호, 이효정. (2018). 패션 4.0시대, 비즈니스 패러다임의 전환. CPA BSI, 1, 92-111.
- 이윤경. (2017). 제4차 산업혁명 시대, 패션산업에 나타난 ICT 융합. 한국디자인학회지, 23(3), 497-507
- 이은지, 이지혜, 조민하, 성용준, 최세정. (2018). 혁신성과 자기조절초점이 사물인터넷 제품 사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 소비자광고, 19(1), 67-91.
- 이재호, 전해영. (2017).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촉진자와 수용자 - 4차 산업혁명과 국내 산업의 미래. VIP Report, 705, 1-12.
- 이종석, 김일, 황선정. (2016). 3D 프린팅 패블릭을 활용한 패션 디자인 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4(3), 247-256.
- 이종석, 진성모. (2017). DLP 방식 3D 프린팅을 활용한 패션 디자인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8(5), 449-460.
- 임지아. (2016). 4차 산업혁명이 패션디자인산업에 미칠 영향에 관한 연구. 조형디자인 연구, 19(3), 267-287.
- 정민, 오준범. (2017).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기업인식과 시사점 - 국내 기업의 약 70%가 대응 못하고 있다!. VIP Report, 691, 1-15.
- 조아라. (2008). 체험마케팅을 적용한 상업공간 디자인 연구 - A브랜드 플래그쉽 스토어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주나안. (2018). 혁신에 대한 소비자 저항 : 스마트 의류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지경하. (2018). 의류매장의 디지털 사이니지가 몰입과 브랜드인지 및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진윤선, 권오병. (2017). 사물인터넷의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 2017 춘계학술대회, 432-435.
- 차윤수, 이정교. (2016). 3D 프린팅의 확장성을 활용한 체험마케팅 공간 특성연구 - 플래그쉽 스토어를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11(5), 207-217.
- 최은지. (2018). 화장품 체험 마케팅이 10대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메이크업디자인학회지, 14(1), 21-30.
- 황진숙, 이정민. (2011). 화장품 브랜드숍에서의 체험마케팅 유형이 브랜드 만족, 애착 및 충성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지, 17(6), 1086-1096.
- Goldsmith, R. E. & Hofacker C. F. (1991). Measuring consumer innovativenes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9(3), 209-221. https://doi.org/10.1007/BF02726497
- Hirschman, E. C. (1980). Innovativeness, Novelty Seeking, and Consumer Creativity.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7(3), 283-295. https://doi.org/10.1086/208816
- Midgley D. F. & Dowling G. R. (1978). Innovativeness: The Concept and Its Measuremen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4(4), 229-242. https://doi.org/10.1086/208701
- Venkatesh, V, Michael G. M., Gordon B. D. & Fred D. D(2003).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ward a Unified View. MIS Quarterly, 27(3), 425-478. https://doi.org/10.2307/30036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