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ti-obesity and Anti-diabetic Effects of the Fermented Ethanol Extracts from White Jelly Fungus (Tremella fuciformis Berk) with Lactobacillus rhamnosus BHN-LAB 76

Lactobacillus rhamnosus BHN-LAB 76로 발효한 흰목이버섯 (Tremella fuciformis Berk) 추출물의 항비만 및 항당뇨 효과

  • Yoon, Yeo-Cho (Institute for Development of Bioindustrial Materials, BHNBIO Co., Ltd.) ;
  • Kim, Byung-Hyuk (Institute for Development of Bioindustrial Materials, BHNBIO Co., Ltd.) ;
  • Kim, Jung-Gyu (Institute for Development of Bioindustrial Materials, BHNBIO Co., Ltd.) ;
  • Lee, Jun-Hyeong (Institute for Development of Bioindustrial Materials, BHNBIO Co., Ltd.) ;
  • Park, YeEun (Institute for Development of Bioindustrial Materials, BHNBIO Co., Ltd.) ;
  • Park, Hye-Suk (Institute for Development of Bioindustrial Materials, BHNBIO Co., Ltd.) ;
  • Hwang, Hak-Soo (Kyochon F&B Co., Ltd.) ;
  • Kwon, Gi-Seok (Division of Horticulture & Medicinal Plant, Andong National University) ;
  • Lee, Jung-Bok (Institute for Development of Bioindustrial Materials, BHNBIO Co., Ltd.)
  • 윤여초 ((주)비에이치앤바이오 생물산업소개발연구소) ;
  • 김병혁 ((주)비에이치앤바이오 생물산업소개발연구소) ;
  • 김중규 ((주)비에이치앤바이오 생물산업소개발연구소) ;
  • 이준형 ((주)비에이치앤바이오 생물산업소개발연구소) ;
  • 박예은 ((주)비에이치앤바이오 생물산업소개발연구소) ;
  • 박혜숙 ((주)비에이치앤바이오 생물산업소개발연구소) ;
  • 황학수 (교촌 F&B(주)) ;
  • 권기석 (안동대학교 원예.생약융합학부) ;
  • 이중복 ((주)비에이치앤바이오 생물산업소개발연구소)
  • Received : 2018.11.27
  • Accepted : 2019.01.17
  • Published : 2019.09.28

Abstract

White jelly fungus (Tremella fuciformis Berk; TF)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in Asia; it is known to prevent hypertension, aging, cancer, and arteriosclerosi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ti-diabetic effects of fermented Tremella fuciformis Berk (FTF) ethanol extracts fermented with L. rhamnosus BHN-LAB 76. We show that FTF increases the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and suppress the adipogenesis of 3T3-L1 adipocytes. These inhibitory effects of FTF are accompanied by the regulation of the phosphorylation of AMPK, JNK, and Akt. These data demonstrate that FTF not only inhibits adipogenesis by affecting the adipogenic signaling, but also increases the anti-diabetic effects by regulating the insulin signaling pathway. Therefore, we suggest that the FTF can be used for developing functional food and cosmetics materials.

흰목이버섯(Tremella fuciformis Berk.; TF)은 흰목이과에 속하는 버섯으로 한국, 중국 및 열대지방에 분포한다. 흰목이버섯은 아시아 전통 의학에서 고혈압, 노화, 암 및 동맥 경화를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L. rhamnosus BHN-LAB 76로 발효된 흰목이버섯 추출물의 항 당뇨 효능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발효된 흰목이버섯 추출물은 발효하지 않은 추출물에 비해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을 증가시키고, 3T3-L1 전지방 세포에서의 지방세포 분화 유도를 통한 지방구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발효된 흰목이버섯은 지방 및 세포 분화 유도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AMPK, Akt의 유전자 발현을 촉진하고, JNK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통해 지방생성억제 및 항 당뇨 활성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L. rhamnosus BHN-LAB 76으로 발효한 흰목이버섯 추출물은 항비만 및 항당뇨 기능성 소재 및 식품 개발로의 활용이 가능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Keywords

서 론

최근, 경제성장과 산업화로인해 식· 생활 습관이 서구화되면서 다양한 생활 습관성 질환 및 대사성 질환의 발병률의 원인이 되고 있다[1]. 특히 비만 및 당뇨병의 유병률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합병증을 동반하여 사망률을 크게 높이고 있다. 이러한 당뇨병의 증가는 의료관련 비용 증가를 야기하고 삶의 질을 저하시킴으로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2]. 당뇨병은 비정상적인 체내 포도당의 흡수로 인한 대사성 질환으로 고혈당,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등과 같은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한다[3]. 당뇨병에 대한 근본적 치료 방법은 보고되어 있지 않으며, 탄수화물의 소화를 제한하여 고혈당을 감소시키는 것이 최선의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4−6]. 대표적인 혈당강하제는 acarbose, voglibose 등의 α-glucosidase 저해제와 sulfonylurea 계의 인슐린 분비 촉진제 등이 있다[7]. 그러나 혈당 강하를 통한 당뇨병의 치료제에 대해 체중증가, 간 독성 등의 다양한 부작용이 보고되어[8], 최근에는 천연소재를 이용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9−12]. 천연 소재의 항 당뇨 효과는 여러 flavonoids, glycosides 등에 의해 고혈당 완화에 유용하다고 보고되고 있다[13−15].

흰목이버섯(Tremella fuciformis Berk; TF)은 흰목이과(Tremellaceae)에 속하는 버섯으로, 한국, 일본, 중국, 유럽 및 아메리카 등 세계 각지에 분포하고 있다[16]. 흰목이버섯의 다른 명칭은 흰 젤리버섯(white jelly fungus) 또는 은이(silver ear)가 있으며[17], 효능으로는 T 세포 활성화를 통한면역력 증가를 유도하여 항암, 항노화 효과와 고혈압 및 동맥경화 예방, 체지방 개선, 콜레스테롤 억제 항스트레스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18−22]. 또한, 흰목이버섯 추출물은 tyrosinase 효소 활성을 저해하고 melanin 합성 인자 조절을 통해 melanin 함량을 감소시켜 미백 기능 향상 및 주름개선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23]. 또한, 흰목이버섯은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매우 강하여, 고 보습 화장품 소재 뿐만 아니라 항당뇨, 항혈전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어 건강기능식품 및 의약품 소재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24].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은 탄수화물을 분해하여 젖산(lactic acid)을 생성하는 미생물로 포유류의 장내에서 항균물질 분비를 통해 유해균에 의한 이상 발효를 억제함으로서체내의 항상성 유지를 돕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5]. 최근에는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를 통해 천연 추출물의 생리활성 증대 및 이를 이용하여 기능성 소재 개발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건강 기능성 식품 소재, 화장품 소재, 사료첨가제 등의 제조에 이용되고 있다[26].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유산균 발효를 통한 천연 추출물 함유 활성 성분 및 생리활성의 증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27− 29],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한 대마씨 추출물의 경우, 발효하지 않은 대마씨 추출물 대비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이 증가한다고 보고되었다[30]. 그러나, 현재까지 흰목이버섯에 대한 다양한 효능이 보고되고 있지만, 유산균 발효를 통한 항당뇨 효능에 관한 연구는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 발효를 통한 흰목이버섯 추출물의 항비만 및 항당뇨 효능 변화를 확인하고, 기능성 생물소재로의 활용가치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본 연구에서 사용한 흰목이버섯은 (주)부농에서 국내산을 구입하였다. Acarbose, p-nitrophenyl β-D-glucoside (pNPG), sodium phosphate (monobasic, dibasic), α-glucosidase enzyme, dimethyl sulfoxide (DMSO), 3-Isobutyl-1- methylxanthine (IBMX), dexamethasone, oil-red-o staining solution은 Sigma-Aldrich Co.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insulin은 Welgene Inc. (Korea)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phospho-AMPKα (Thr172), phospho-JNK (Thr183/Tyr185), phospho-Akt (Ser473), β-actin, anti-HRP rabbit항체는 Cell Signaling Technology (USA)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ELISA reader는 SparkTM 10M Multimode Microplate Readers (TECAN, Swizerland)를 사용하였다.

사용 균주 및 배양 조건

본 연구에서 흰목이버섯의 발효를 위해 사용된 유산균은 전통 발효식품으로부터 스크리닝을 통해 분리한 Lactobacillus rhamnosus BHN 76을 사용하였다(Fig. 1). 유산균 배양 조건은 초기 균수 105 CFU/ml로 37℃에서 48시간 동안 MRS broth 배지에서 배양한 후, 사용하였다.

Fig. 1. The phylogenetic tree of lactic acid bacteria used in this study.

유산균 발효 흰목이버섯 추출물(FTF)

흰목이버섯 100 g을 분말로 파쇄한 후, 유산균을 1 × 10 7CFU/ml로 접종하여 배양기(37℃)에서 72시간 동안 발효하였다. 각각의 유산균으로 발효한 흰목이버섯의 추출법은 추출 용매, 시간, 온도에 따른 최적의 추출 수율을 통해 선별하였으며(data not shown), 선별된 조건인 시료 부피 10배의 에탄올(EtOH)을 가하여 80℃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한 시료는 여과 후 감압 농축기(Eyela, Japan)로 60℃에서 감압 농축을 하고, 동결 건조하여 얻은 추출물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α-Glucosidase 저해 활성 분석

α-Glucosidase 저해 활성 측정은 Tibbot과 Skadsen의 방법에 따라 pNPG (p-nitrophenyl β-D-glucoside)에서 유리되어 나오는 반응 생성물(p-nitrophenol)을 측정하여 수행하였다[31]. 각 농도의 시료 25 μl에 2.5 mM pNPG 50 & mu;l와0.2 unit/ml α-glucosidase enzyme solution 25 μl를 첨가한 후, 37℃에서 20분간 반응시키고 0.1 M NaOH 50 μl를 넣어반응을 정지시켰다. 반응액 중 p-nitrophenol 생성량은 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은 효소를 첨가한 처리구와 무처리구 사이의 흡광도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양성대조구로 acarbose를 사용하였으며, 음성대조구로 α- glucosidase enzyme 대신 0.1 M sodium phosphate buffer(pH 6.8)를 동량 분주하였다.

α-Glucosidase 저해 활성(%) = 1−(S − SB) × 100 / (Control − Blank)

S : α-glucosidase enzyme 처리구의 흡광도

SB : α-glucosidase enzyme 무처리구의 흡광도

세포 배양

본 실험에 사용된 3T3-L1 전지방세포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USA)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3T3-L1 세포는 10% bovine calf serum (BCS, Gibco, USA), 1 x antibiotics (Welgene Inc., Korea)를 첨가한 Dulbecco modified Eagle medium (DMEM, Welgene Inc.)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세포가 80% confluent 되었을 때, 0.05% trypsin/EDTA (Welgene Inc.)을 사용하여 세포를 떼어내고 1,100 rpm, 3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세포 pellet을 모으고, 새로운 배지로 현탁하여 사용하였다.

지방세포 분화 유도 및 시료 처리

6-well plate의 well 당 1.2 × 106 개의 3T3-L1 세포를 10% BCS가 첨가된 DMEM 배지에 분주, 배양한 후 100% confluent 한 상태에서 MDI (0.25 μM dexamethasone (Sigma-Aldrich Co.), 0.5 mM 3-isobutyl-1-methylxanthine(IBMX, Sigma-Aldrich Co.), 10 μg/ml의 insulin (Welgene Inc.)을 포함한 10% fetal bovine serum (FBS, Gibco)가 첨가된 지방분화유도 DMEM 배지로 변경 후 37℃, 5% CO2 조건에서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동일 농도(10 & mu;g/ml)의 insulin을 첨가한 10% FBS를 포함한 DMEM 배지로 48시간 간격으로 변경하였다. 시료 추출물은 100, 250, 500, 1000 μg/ml의 농도로 지방유도 배지 변경 시 동시에 처리하였다.

세포독성평가

유산균 발효 전과 발효 후 흰목이버섯 추출물의 3T3-L1 세포에 대한 독성 평가는 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formazan 측정을 통한 tetrazolium bromide salt (MTT) assay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24 well plate에 3T3-L1 전지방세포를 well 당 0.5 × 105 개씩 분주하고, confluent 된 상태에서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μg/ml의 농도의 흰목이버섯 추출물을 37℃,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24시간 후, 흰목이버섯 추출물이 포함된 배지를 완전히 제거하고 phosphate-buffered saline (PBS)에 5 mg/ ml의 농도로 용해된 MTT 시약을 Serum-free 배지에 농도 0.5 mg/ml로 희석하여 처리한 후,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배지를 완전히 제거하고 200 μl의 DMSO를 첨가하여 살아있는 3T3-L1 세포에서 생성된 formazan을 용해시켰다. 용해된 formazan은 96-well plate에 각 well 당 90 & mu;l씩 넣어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생존율(% of Control)은 흰목이버섯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3T3-L1 전지방세포를 대조군으로 하여 계산하였다.

Cell viability (%) = OD540 nm (sample)/OD 540 nm (control) × 100

Oil-red-O 염색

지방세포로의 분화 후, 세포 내 지방구 생성 확인은 Oil red O 염색을 통해 실시하였다. 세포를 배양한 배지를 완전히 제거하고 phosphate-buffered saline (PBS)로 세척한 후 4% formalin으로 10분간 세포를 고정하였다. 고정 후, deionized water로 세척하고 Oil red O를 넣어 실온에서 30분간 염색한 후 염색액을 제거하고 deionized water로 3회 세척하여 염색된 지방구를 microscopic image (Olympus, Japan)로 관찰하였다. 그 후, 100% isopropyl alcohol를 가하여 염색된 지방을 추출하고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 분석하였다.

Western blot

지방분화유도 단백질의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cold PBS 로 세척 후 수거한 세포에 protease inhibitor cocktail(Roche, Swizerland)과 phosphatase inhibitor cocktail(Roche)을 첨가한 RIPA buffer (150 mM sodium chloride, 1% Triton X-100, 1% sodium deoxycholate, 0.1% SDS, 50 mM Tris-HCl, pH 7.5, and 2 mM EDTA) (Bioseang, Korea)를 넣고 5분 간격으로 voltex하여 얼음에 30분간 방치하였다. 그 후 12,000 rpm, 4℃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취하여 SMARTTM bicinchoninic assay (BCA) protein assay kit (iNtRON Biotechnology, Korea)를 사용하여 단백질 양을 정량하였다. 정량한 각 단백질 lysate 100 μg을 취하여 SDS loading buffer와 섞고 95℃에서 3분간 반응시킨 후, 얼음에 넣고 10분간 방치하였다. 각 단백질은 10%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에 loading을 하고 80 V에서 30분, 120 V에서 1시간 30분 동안 전기 영동을 통해 단백질을 분리시켰고 PVDF (polyvinylidendifluoride) membrane (Amersham, UK)에 1시간 동안 전이시킨 후, 5% skim milk를 처리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켜 비 특이적인 단백질을 blocking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1차 항체를 4℃에서 12시간 이상 반응시키고 PBS-T로 세척한 후, 1차 항체에 따른 2차 항체를 처리하여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enhanced chemiluminoesence (ECL) solution을 처리하고, chemidoc을 이용하여 특정 단백질의 발현 양을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

본 실험에서 사용된 모든 실험은 3회 반복하여 진행하였으며, 결과 값은 mean ± standard deviation (SD)로 나타내었다. 각 그룹 간 평균은 SPSS (SPSS Inc., USA)를 이용한 비 모수적 Kruskal-Wallis 및 Mann-Whitney 분석을 사용하여 비교하였으며, p < 0.01 과 p < 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결과 및 고찰

유산 발효에 따른 발효 흰목이버섯 추출물(FTF)의 제조

본 실험에서 사용한 발효하지 않은 흰목이버섯 추출물(Not fermented Tremella fuciformis; NFTF) 및 L. rhamnosus BHN-LAB 76 유산균 발효 흰목이버섯 추출물 (Fermented Tremella fuciformis; FTF)은 100 g의 흰목이버섯을 이용하였으며, 발효 전과 발효 후의 흰목이버섯으로부터 추출 수율을 확인하였다. 각 흰목이버섯 100 g으로부터 에탄올 추출 후, 동결 건조한 결과 약 16.45 g과 21.65 g의 추출 분말을 확보하였으며, 추출 수율은 16.45%와 21.65%로 확인되어, 유산균을 통한 발효 흰목이버섯의 추출 효율은 발효하지 않은 흰목이버섯 추출 수율 대비 약 31.6%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Table 1). 일반적으로 유산균을 통한 발효 시 다양한 유기산 및 아미노산 등의 대사산물이 생성되며 이러한 대사산물에 의해 pH의 감소에 따라 추출 효율이 증가한다고 보고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도 유산균 발효흰목이버섯 추출효율이 30% 넘게 증가하였다[32, 33].

Table 1. Extraction yield of non-fermented TF and FTF with Lactobacillus rhamnosus BHN-LAB 76.

유산 발효에 의한 흰목이버섯 추출물(FTF)의 α-glucosidase 저해 활성

α-Glucosidase는 이당류를 단당류로의 분해를 촉매하는 가수 분해 효소이며[34], 이러한 α-glucosidase를 저해시키는 물질은 항당뇨 활성을 증진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35]. 본 연구에서는 유산 발효에 의한 흰목이버섯 추출물의 당뇨 억제 활성을 α-glucosidase assay를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양성대조구로서 사용된 acarbose (1 mg/ml)는 42.21 & plusmn; 1.03%의 α-glucosidase 억제 활성이 나타났으며, 동일한 농도 1 mg/ml로 처리한 발효하지 않은 흰목이버섯 추출물(NFTF)과 L. rhamnosus BHN-LAB 76 유산균으로 발효한흰목이버섯 추출물(FTF)의 α-glucosidase 억제 활성은 64.83 ± 1.55%, 89.74 ± 1.16%로 유산 발효한 흰목이버섯 추출물은 발효하지 않은 흰목이버섯 추출물 대비 약 138% 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든 흰목이버섯 추출물은 양성대조구에 비해 현저히 증가된 α-glucosidase 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다(Fig. 2). 1990년 초부터 α-glucosidase의 활성 저해에 의한 항당뇨 활성은 당대사를 지연시켜 혈당 증가를막는 방법이 연구되기 시작하였다[36, 37]. 유산균 발효에 의한 대마씨 추출물의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은 발효하지 않은 대마씨 추출물보다 약 15% 이상 증가시킨다고 보고되었으며[38], 유산균 발효를 통한 생물전환은 천연물의 효능을 증가시키는 유용한 기술로 이용되고 있다[30, 39].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유산균으로 발효한 흰목이버섯 추출물은α-glucosidase 저해 활성을 증가시켜 당뇨 억제 활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추가 연구를 통해 유산균 발효 흰목이버섯 추출물의 항당뇨 활성을 확인해 볼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Fig. 2. The α-glucosidase inhibitory effects of non-fermented TF and FTF with Lactobacillus rhamnosus BHN-LAB 76.

흰목이버섯 추출물(FTF)의 세포 독성 평가 및 지방분화유도 억제 효과

NFTF와 FTF가 세포에 미치는 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3T3-L1 전지방세포에 각 추출물을 0.1, 0.25, 0.5, 1 mg/ml의 농도로 처리한 후 MTT assay를 통해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NFTF와 FTF를 처리한 모든 농도에서 세포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모든 실험은 0.1, 0.25, 0.5, 1 mg/ml 농도에서 진행하였다(Fig. 3).

흰목이버섯 추출물이 3T3-L1 전지방세포에서 지방분화유도를 통한 지방구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8일간 분화 유도 배지에 NFTF와 FTF를 0.25, 0.5, 1 mg/ml의 농도로 처리하였다(Fig. 4). MDI 처리를 통한 전지방세포의 지방 분화 유도는 지질 성분에 특이적으로 반응하여 지방구만을 염색하는 Oil red O 시약을 사용하여 염색한 후 현미경 관찰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미분화된 3T3-L1 전지방세포(normal)는 지방구의 형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은 반면, 8일간 분화시킨 MDI 양성 대조군에서는 염색된 지방구의 수가 현저하게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Fig. 5A). 양성대조군에 비해, NFTF를 처리한 군에서는 미미하게 감소된 지방구가 나타났으나, FTF를 처리한 군에서는 현저히 감소된 지방구를 확인하였고, 용해시킨 지방 축적도는 농도 의존적으로 p < 0.05, p < 0.01 수준에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FTF 1 mg/ml 농도로 처리한 군에서는 분화배지만을 처리한 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된 지방구 형성을 확인하였으며(Fig. 5A), Oil-Red-O 염색약으로 염색된 지방구를 100% isopropyl alcohol로 용해시켜 지방 축적도를 확인해본 결과, p < 0.01 수준에서 약 25% 지방 축적 감소를 확인하였다(Fig. 5B). 유산균을 통한 발효는 지방 분화 억제 효과를 가진 삼정환의 지방구 생성 억제효과를 더욱 증대시킨다고 보고하였다[40].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FTF는 NFTF 보다 지방세포로의 분화 억제 활성이 탁월한 것으로 판단된다.

Fig. 3. The cell viability of non-fermented TF and FTF with Lactobacillus rhamnosus BHN-LAB 76 in 3T3-L1 cells.

Fig. 4. Flowchart of 3T3-L1 adipocyte differentiation procedure.

Fig. 5. Adipocyte differentiation inhibitory effects of non-fermented TF and FTF with Lactobacillus rhamnosus BHN-LAB 76.

유산 발효에 의한 흰목이버섯 추출물(FTF)의 p-AMPK, p-JNK, p-Akt의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

FTF에 의한 지방구 형성의 감소가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3T3-L1 전지방세포에서 세포 내 에너지 항상성 조절 인자인 p-AMPK 인산화와 지방 세포 분화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insulin을 통해 활성화되는 Akt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해보았다[41, 42]. 또한, 세포 분화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JNK의 활성을 western blot을 통해 확인해 보았다[43]. 그 결과, 미분화된 3T3-L1 전지방세포의 인산화된 AMPK 유전자 발현은 현저히 감소됨을 확인하였고 이에 비해 FTF을 0.1, 0.25, 0.5, 1 mg/ml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FTF 1 mg/ml 농도로 처리한 군에서는 확연하게 증가한 AMPK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또한 Akt 유전자 발현에서 FTF를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 저 농도(0.1, 0.25, 0.5 mg/ml)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고 농도(1 mg/ml)로 처리한 군에서는 현저하게 증가된 결과를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JNK 유전자 발현을 통해 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본 결과, 미 분화된 3T3-L1 전 지방세포에서는 어떠한 발현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분화 유도한 세포에서는 확연하게 증가된 양상을 확인하였으며, 발효 흰목이버섯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는 농도 의존적이지는 않았지만, 감소된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였다(Fig. 6A). 본 연구에서는 인산화 되기 전 total form을 확인하지 못했으나, β-actin 대비 p-AMPK, p-JNK, p-Akt 수치 정량화를 통해 분석해 본 결과, FTF 처리 전 시료에 비해 각 인자들이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Fig. 6B). 이러한 결과를 통해 FTF를 처리한 군에서의 감소된 지방구 형성은 세포 내 p-AMPK, p-JNK, p-Akt 유전자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지방세포로의 분화 및 세포 분화 유도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Adipogenesis 억제는 AMPK의 활성화를 통한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의 발현 감소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44], Aspergillus oryzae로 발효한 울금 주정 추출물에서의 지방 형성 억제 효과는 AMPK의 mRNA 발현이 증대되는 것을 통해 나타난다고 보고하였다[45]. 따라서, 유산균으로 발효한 흰목이버섯 추출물은 항비만 및 항당뇨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건강기능식품으로 활용 및 발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Fig. 6. (A) Phosphorylated AMP-activated kinase (AMPK), Jun N-terminal kinase (JNK), and Protein kinase B (PKB or Akt) protein levels by western blot in the 3T3-L1 cells after adipocyte differentiation with the ethanol extracts of Tremella fuciformis Berk(FTF)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rhamnosus BHN-LAB 76. (B) Quantification of p-AMPK, p-JNK, p-Akt protein activities com- pared to β-actin.

요 약

흰목이버섯(Tremella fuciformis Berk.; TF)은 흰목이과에 속하는 버섯으로 한국, 중국 및 열대지방에 분포한다. 흰목이버섯은 아시아 전통 의학에서 고혈압, 노화, 암 및 동맥 경화를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L. rhamnosus BHN-LAB 76로 발효된 흰목이버섯 추출물의 항 당뇨 효능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발효된 흰목이버섯 추출물은 발효하지 않은 추출물에 비해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을 증가시키고, 3T3-L1 전지방 세포에서의 지방세포 분화 유도를 통한 지방구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발효된 흰목이버섯은 지방 및 세포 분화 유도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AMPK, Akt의 유전자 발현을 촉진하고, JNK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통해 지방생성억제 및 항 당뇨 활성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L. rhamnosus BHN-LAB 76으로 발효한 흰목이버섯 추출물은 항비만 및 항당뇨 기능성 소재 및 식품 개발로의 활용이 가능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Acknowledg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Technology development Pro gram (C0563692) funded by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MSS, Korea).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financial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References

  1. King H, Aubert RE, Herman WH. 1998. Global burden of diabetes, 1995-2025: Prevalence, numerical estimates, and projections. Diabetes Care. 21: 1414-1431. https://doi.org/10.2337/diacare.21.9.1414
  2. Kim SG, Choi DS. 2009. Epidemiology and current status of diabetes in Korea. Hanyang Med. Rev. 29: 122-129.
  3. Chait A, Brunzell JD. 1996. Diabetes, lipids, and atherosclerosis, pp. 467-469. In LeRoith D, Taylor SI, Olefsky JM (eds.), Diabetes Mellitus, Lippincott-Raven Publishers, Philadelphia.
  4. Toeller M. 1991. Diet therapy of diabetes mellitus. Fortschr. Med. 41: 41-42.
  5. Koivisto VA. 1993. Insulin therapy in type II diabetes. Diabetes Care. 16: 29-39. https://doi.org/10.2337/diacare.16.3.29
  6. Boule NG, Haddad E, Kenny GP, Wells GA, Sigal RJ. 2001. Effects of exercise on glycemic control and body mass in type 2 diabetes mellitus: a meta-analysis of controlled clinical trials. JAMA 286: 1218-1227. https://doi.org/10.1001/jama.286.10.1218
  7. Bhatt S, Mahesh R, Gampa G. 2011. An overview on recent advances in diabetes mellitus therapy. Int. J. Pharm. Fron. Res. 1: 84-100.
  8. Hanefeld M. 1998. The role of acarbose in the treatment of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J. Diabetes Complications 12: 228-237. https://doi.org/10.1016/S1056-8727(97)00123-2
  9. Jang MJ, Rhee SJ. 2004. Hypoglycemic effects of pills made of mulberry leaves and silkworm powder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611-1617. https://doi.org/10.3746/jkfn.2004.33.10.1611
  10. Ham IH, Jeong ES, Lee BH, Choi HY. 2008. The study on antihypertensive and anti-diabetic effect of Moriramulus. Korean J. Herbology 23: 203-212.
  11. Kim OK. 2008. Antidiabetic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Lycii fructu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Pharmacogn. 23: 73-82. https://doi.org/10.4196/kjpp.2008.12.2.73
  12. Lee K-J, Ham I-H, Bu Y-M, Kim H-C, Choi H-Y. 2008. Antidiabetic effect of Glechoma longituba (Nakai) Kupr in diabetic rats induced by streptozotocin. Korean J. Herbology 23: 175-180.
  13. Andrade-Cetto A, Wiedenfeld H. 2001. Hypoglycemic effect of Cecropia obtusifolia on streptozotocin diabetic rats. J. Ethnopharmacol. 78: 145-149. https://doi.org/10.1016/S0378-8741(01)00335-X
  14. Farkes L. 1998. Active principles of plants of traditional medicine as models of new drugs. J. Ethnopharmacol. 2: 45-48.
  15. Vetrichelvan T, Jegadeesan M. 2002. Anti-diabetic activity of alcoholic extract of Aerva lanata (L.) Juss. ex Schultes in rats. J. Ethnopharmacol. 80: 103-107. https://doi.org/10.1016/S0378-8741(01)00412-3
  16. Oh Y-H, Kim S-B, Lee G-W, Kim H-Y, Shim M-J, Rho H-S, et al. 2006. The immunomodulatory and antitumor effects of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Tremella fuciformis. Korean J. Mycol. 34: 105-111. https://doi.org/10.4489/KJM.2006.34.2.105
  17. Ko MS. 2012. The growth level of hair follicles and hairs about stress-induced mice of Tremella fuciformis Berk. J. Korean Soc. Cosm. 18: 1158-1165.
  18. Cheng H-H, Hou W-C, Lu M-L. 2002. Interactions of lipid metabolism and intestinal physiology with Tremella fuciformis Berk edible mushroom in rats fed a high-cholesterol diet with or without nebacitin. J. Agric. Food Chem. 50: 7438-7443. https://doi.org/10.1021/jf020648q
  19. Cheung PCK. 1996. The hypocholesterolemic effects of two edible mushrooms: Auricularia auricula (tree-ear) and Tremella fuciformis (white jelly-leaf) in hypocholes-terolemic rats. Nutr. Res. 16: 1721-1725. https://doi.org/10.1016/0271-5317(96)00191-1
  20. Ko MS, Lee SJ, Kang SM. 2009. Effect of Tremella fuciformis Berk on anti stress activities during long-term and short-term in mice. KSBB J. 24: 131-139.
  21. Li H, Lee HS, Kim SH, Moon B, Lee C. 2014.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of Tremella fuciformis and its major phenolic acids. J. Food Sci. 79: C460-C468. https://doi.org/10.1111/1750-3841.12393
  22. Shi Z-W, Liu Y, Xu Y, Hong Y-R, Liu Q, Li X-L, et al. 2014. Tremella Polysaccharides attenuated sepsis through inhibiting abnormal $CD4^+CD25^{high}$ regulatory T cells in mice. Cell. Immunol. 288: 60-65. https://doi.org/10.1016/j.cellimm.2014.02.002
  23. Lee KH, Park HS, Yoon IJ, Shin YB, Baik YC, Kooh DH, et al. 2016.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s of Tremella fuciformis extracts. Korean J. Med. Crop Sci. 24: 38-46. https://doi.org/10.7783/KJMCS.2016.24.1.38
  24. Chen FF, Cai DL. 2008. Research advances in primary biological effects of Tremella polysaccharides. J. Integr. Med. 6: 862-866.
  25. Marklund S,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9-474. https://doi.org/10.1111/j.1432-1033.1974.tb03714.x
  26. Kanmani P, Kumar RS, Yuvaraj N, Paari KA, Pattukumar V, Arul V. 2013. Probiotics and its functionally valuable products-A review. Crit. Rev. Food Sci. Nutr. 53: 641-658. https://doi.org/10.1080/10408398.2011.553752
  27. Jeon J-M, Choi S-K, Kim Y-J, Jang S-J, Cheon J-W, Lee H-S. 2011. Antioxidant and antiaging effect of ginseng berry extract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7: 75-81. https://doi.org/10.15230/SCSK.2011.37.1.075
  28. Lee KH, Rhee K-H, Kim B-S, Choi Y-H, Kim C-H. 2013. Sleep inducing effect of Gastrodia elata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Pharmacogn. 44: 281-285.
  29. Lee J-B, Bae J-S, Son I-K, Jeon C-P, Lee E-H, Joo W-H, et al. 2014. Antioxidant and ACE inhibiting activities of sugared-buchu (Allium ampeloprasum L. var. porum J. Gay)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J. Life Sci. 24: 671-676. https://doi.org/10.5352/JLS.2014.24.6.671
  30. Yoon Y-C, Kim B-H, Kim J-K, Lee J-H, Park Y-E, Kwon G-S, et al. 2018. Verification of biological activities and tyrosinase inhibition of ethanol extracts from Hemp seed (Cannabis sativa L.)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J. Life Sci. 28: 688-696. https://doi.org/10.5352/JLS.2018.28.6.688
  31. Tibbot BK, Skadsen RW. 1996.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gibberellin-inducible, putative ${\alpha}$-glucosidase gene from barley. Plant Mol. Biol. 30: 229-241. https://doi.org/10.1007/BF00020110
  32. Lee KJ, Gu MJ, Roh JH, Jung PM, Ma JY. 2013. Quantitative analysis of bioconversion constituents of Insampeadock-san using various fermented bacteria. Yakhak Hoeji 57: 167-172.
  33. Lee KJ, Song NY, Roh JH, Liang C, Ma JY. 2013. Analysis of bioconversed- components in fermented Jaeumganghwa-tang by Lactobacillus. J. Appl. Biological Chem. 56: 131-135. https://doi.org/10.3839/jabc.2013.021
  34. Shinde J, Taldone T, Barletta M, Kunaparaju N, Hu B, Kumar S, et al. 2008.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Syzygium cumini (Linn.) Skeels seed kernel in vitro and in Goto-Kakizaki (GK) rats. Carbohydr. Res. 343: 1278-1281. https://doi.org/10.1016/j.carres.2008.03.003
  35. Baron AD. 1998. Postprandial hyperglycaemia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s. Diabetes Res. Clin. Pract. 40: S51-S55. https://doi.org/10.1016/S0168-8227(98)00043-6
  36. Kim KK, Kang YH, Kim DJ, Kim TW, Choe M. 2013. Comparison of antioxidant, ${\alpha}$-glucosidase inhibition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leaf and root extracts of Smilax china L. J. Nutr. Health 46: 315-323. https://doi.org/10.4163/jnh.2013.46.4.315
  37. Lee E-W, Kim T, Kim H-S, Park Y-M, Kim S-H, Im M-H, et al. 2015. Antioxidant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effects of ethanolic extract of Ainsliaea acerifolia and organic solvent-soluble fractions. Korean J. Food Preserv. 22: 275-280. https://doi.org/10.11002/kjfp.2015.22.2.275
  38. Park Y-E, Kim B-H, Yoon Y-C, Kim J-K, Lee J-H, Kwon G-S, et al. 2018. Total polyphenol contents,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oasted-flaxseed extracts based on lacticacid bacteria fermentation. J. Life Sci. 28: 547-554. https://doi.org/10.5352/JLS.2018.28.5.547
  39. Lee J-H, Yoon Y-C, Kim J-K, Park Y-E, Hwang H-S, Kwon G-S, et al. 2018.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of the fermentation of barley seeds (Hordeum vulgare L.) using lactic acid bacteria. J. Life Sci. 28: 444-453. https://doi.org/10.5352/JLS.2018.28.4.444
  40. Song M-Y, Bose S, Kim H-J. 2013. Effect of probiotics-fermented samjunghwan on differentiation in 3T3-L1 preadipocyt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7. https://doi.org/10.3746/jkfn.2013.42.1.001
  41. Blüher M, Patti M-E, Gesta S, Kahn BB, Kahn CR. 2004. Intrinsic heterogeneity in adipose tissue of fat-specific insulin receptor knockout mice is associated with differences in patterns of gene expression. J. Biol. Chem. 279: 31891-31901. https://doi.org/10.1074/jbc.M404569200
  42. Blüher M, Michael MD, Peroni OD, Ueki K, Carter N, Kahn BB, et al. 2002. Adipose tissue selective insulin receptor knockout protects against obesity and obesity-related glucose intolerance. Dev. Cell 3: 25-38. https://doi.org/10.1016/S1534-5807(02)00199-5
  43. Sluss HK, Han Z, Barrett T, Davis RJ, Ip YT. 1996. A JNK signal transduction pathway that mediates morphogenesis and an immune response in Drosophila. Genes & Dev. 10: 2745-2758. https://doi.org/10.1101/gad.10.21.2745
  44. Ji SY, Jeon KY, Jeong JW, Hong SH, Huh MK, Choi YH, et al. 2017. Ethanol extracts of mori folium inhibit adipogenesis through activation of AMPK signaling pathway in 3T3-L1 preadipocytes. J. Life Sci. 27: 155-163. https://doi.org/10.5352/JLS.2017.27.2.155
  45. Kim J, Park J, Jun W. 2014. Anti-obesity effect of ethyl acetate fraction from 50% ethanol extract of fermented Curcuma longa L. in 3T3-L1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1681-1687. https://doi.org/10.3746/jkfn.2014.43.11.1681

Cited by

  1.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the Addition of Tremella fuciformis Berk Powder vol.31, pp.2, 2021, https://doi.org/10.17495/easdl.2021.4.31.2.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