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Daily Teaching Plan and Reflective Thinking of Edu Care Teachers About Art Area

만2세 미술영역 운영현황 분석과 보육교사의 반성적 인식 탐색

  • Park, Soo Jung (Dept.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Sungkyul University) ;
  • Bae, Jee Hyun (Dept.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Sungkyul University)
  • 박수정 (성결대학교 유아교육과) ;
  • 배지현 (성결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9.07.29
  • Accepted : 2019.09.13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nnual operational status in the filed of art shown in daily teaching plan for 2-year old, provide the analysis results helping the reflective cognition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relevant researches.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1 year portion of daily teaching plan of 6 edu care teachers, provided the analysis results to the teacher in charge and promote the reflective cognition. Results: First,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art area shown in the daily teaching plan for 2-year old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arts experience, expression type, art supplies, basic planar material, planar painting material, three-dimensional expression material. Second, The reflective cognition in the teacher on the analysis results of operational status in the field of art for 2-year old was shown as limits such as the infant art missing art appreciation, concentration on art supplies, ambiguity of infant art and the uniformed art activity. Conclusion/Implication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e facts that it identified the operational concentration in the field of art for 2-year old, it utilized the analysis data of the teacher's daily teaching plan as reflective cognition tell, it showed the diverse teacher's cognitions on the infant-oriented art education not the uniformed art activity appli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만2세 일일보육일지에 나타난 연간 미술영역의 운영현황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제공하여 보육교사의 반성적 인식에 도움을 주어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6명의 보육교사의 일일보육일지 1년 분량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담임교사에게 제공하여 자신의 미술영역 운영에 대한 반성적 인식을 도모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일일보육일지에 나타난 미술영역의 운영현황으로 예술경험에서는 예술적 표현하기가, 표현유형별로는 평면표현이, 미술도구에서는 가위와 테이프가, 평면 바탕재료에서는 종이가, 평면 채색 재료에서는 색연필이, 입체 표현재료에서는 인공재료 사용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만2세 미술영역 운영현황 분석결과에 대한 교사의 반성적 인식은 감상이 빠진 영아미술, 미술재료의 편중, 영아미술의 모호함, 획일적인 미술활동이라는 한계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보육계획상의 문서와 실제의 통합적 인식을 도왔다는 점, 보육교사 자신의 일일보육일지 분석자료가 자기장학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나영, 이경열, 정욱호, 홍계옥(2005). 영유아 발달. 파주: 양서원.
  2. 김순희, 이순복(2018). 미술의 요소와 원리에 근거한 만 2세 표준보육과정 교사용 지도서 미술활동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4(4), 63-83. doi:10.14698/jkcce.2018.14.04.063
  3. 김영천, 김경식, 이현철(2011). 교육연구에서의 통합 연구방법: 개념과 시사점. 초등교육연구, 24(1), 305-328.
  4. 김윤경, 유연옥(2018).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반성적 사고와 수업전문성의 관계. 사고개발, 14(3), 25-42.
  5. 김은영, 임부연(2015). 영아반 미술놀이영역의 활성화 연구. 교육혁신연구, 25(1), 97-110.
  6. 김정준, 장윤희(2016). 영아 미술활동 실행과정에 나타난 영아 보육교사의 인식과 태도 변화. 구성주의 유아교육연구, 3(1), 73-91.
  7. 노희연, 박찬옥(2012). 자연물을 이용한 영아 감각탐색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72, 127-151.
  8. 박찬화, 나종혜, 권연희, 최목화(2013). 일일보육 계획안에 따른 일과유형 분류 및 일과유형별 보육프로그램의 특성.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1(1), 45-57. doi:10.6115/khea.2013.51.1.045
  9. 보건복지부(2013). 영아보육프로그램 2세. 세종: 보건복지부.
  10. 보건복지부(2015). 어린이집 평가인증 안내 3차 지표. 세종: 보건복지부.
  11. 송주연, 나정(2017). 보육교사의 성공적인 수업에 대한 의미와 조건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21(1), 189-214.
  12. 안경숙, 김소향(2012).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유아 미술 관련 활동 분석: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를 중심으로.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6(4), 183-205. doi:10.6115/khea.2013.51.1.045
  13. 염지숙, 오채선(2016). 영아반 교사의 놀이 중심 교육 과정 만들어가기. 열린유아교육연구, 21(4), 121-153.
  14. 염지숙, 이명순, 조형숙, 김현주(2011). 유아교사론. 파주: 정민사.
  15. 유소연, 이순복(2019). 만 2세 표준보육과정을 기반으로 보육일지의 수학교육 내용분석. 교육 논총, 39(1), 205-226. doi:10.25020/je.2019.39.1.205
  16. 오윤정(2016). 어린이집 2세 학급의 감각탐색영역에서 이루어지는 수학적 놀이경험의 의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오진선(2016). 영아미술교육에 대한 교사인식과 운영 현황 및 지도방안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유혜숙(2013). 감각적 탐색 미술놀이가 영아의 그리기 태도와 능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연구, 5(1), 73-90.
  19. 이금구(2003). 만 1, 2세 영아를 위한 미술 교육의 현황 및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승미, 이승연(2008). 보육시설 영아반의 미술활동 운영 현황과 교사들이 인식한 어려움 및 지원 요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5), 47-69.
  21. 이원영, 임경애, 김정미, 강유진(2019). 유아미술교육. 서울: 학지사.
  22. 이은경(2018). 식재료 감각탐색활동이 만 2세반 영아의 사회정서발달과 놀이성에 미치는 효과. 총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은숙, 김은심, 유지안(2015). 어린이집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미술활동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3), 449-470.
  24. 이정미(2010). 보육교사의 직무실태 및 보육일지 작성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 평가인증보육시설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지연(2017). 만 2세 영아의 점토놀이 활성화를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진희, 임진형(2016).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2세 영아보육프로그램의 미술 관련 활동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6(2), 155-175. doi:10.21213/kjcec.2016.16.2.155
  27. 이찬미(2016). 영아 미술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현경(2014).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미술교육 운영 실태 분석.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최혜림(2014).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미술 활동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현화동, 윤선영, 김남연(2009). 영아교사의 영아미술 교육에 대한 어려움과 지원 요구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3(4), 319-340.
  31. 홍성희, 조은래(2013). 만 2세 영아반의 교실문화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6), 171-196. https://doi.org/10.14698/jkcce.2013.9.6.171
  32. Barnes, R. (2015). Teaching art to young children (3th ed.). Oxon: New York, Routledge.
  33. Creswell, J. W., & Plano Clark, V. L. (2010). Designing and conducting mixed methods research (2nd ed.). CA: Sage Publications Ltd.
  34. Finnegan, J. E. E. (2001). Looking at art with toddlers. Art Education, 54(3), 40-45. doi:10.2307/3193923
  35. Goffin, S. G. (1987). Cooperative behaviors: They need our support. Young Children, 42(2), 75-81.
  36. Lowenfeld, V., & Brittain, W. L. (1993). 인간을 위한 미술교육: 어린이와 청소년을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미술연구회 역). 서울: 미진사 (1964 원저 발간).
  37. Pollard, A. (2008). Reflective teaching: Evidence-informed professional practice (3rd ed.). London: Continuum.
  38. Schirrmacher, R. (2006). Art and creative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 (5th ed.). Albany, NY: Delmar.
  39. Sellars, M. (2013). Reflective practice for teachers. CA: Sage Publications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