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ix Research Regarding Influence Factors of Burnout of Child Care Teachers: Based on Meta-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

보육교사 소진의 영향요인에 관한 혼합연구: 메타분석과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 김안나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전공) ;
  • 이은희 (동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9.07.25
  • Accepted : 2019.09.14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Objective: This research draws synthesized and objected results regard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burnout of child care teachers. The purpose for this is to understand in-depth of the burnout child care teachers experience at site through understanding their experience in depth. Methods: A mix research method including meta-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 was proceeded. Results: The main factor of burnout of the child care teacher is structural characteristics factor. Also through in-depth interview 13 main subjects and 28 detailed subject were found in the factors that affect burnout of child care teachers. Most factors which were meaningful results from the meta-analysis were re-confirm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Out of those, the most effective sub-factor showed psychological factor of self-esteem.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we have suggested child care environment unification, training education process for child care teachers, reinforcement of qualification standard, and accreditation system in order to enhance qualitative child care service and reduce exhaustion of child care teachers.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종합적이고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고, 그들의 경험을 심도 있게 파악함으로써 현장에서 보육교사가 겪는 소진에 대해 더욱 심층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메타분석과 심층인터뷰를 활용한 혼합연구방법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소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조직특성의 보호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개입과 예방은 어린이집 조직의 근무환경을 개선하는 등 환경적 접근이 더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또한 심층인터뷰를 통해 13개의 주제와 28개의 세부주제가 발견되었는데 메타분석 결과에서 유의미하게 나온 대부분의 요인이 심층인터뷰를 통해 재확인되었다. 그 중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온 하위 요인은 심리적 요인의 자아존중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소진을 감소시키고 보육서비스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보육환경의 일원화, 보육교사 양성교육과정 및 자격기준 강화, 평가인증제도의 재검토 등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정기획자문위원회(2017. 7). 문재인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 http://eiec.kdi.re.kr/에서 2019년 7월 20일 인출
  2. 김경희(2017).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미라(2004). 기관 특성과 개인적 특성에 따른 소진이 유아 교사의 이직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연옥(2012). 유아교사의 소진척도 개발 및 타당화.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신현정, 박진성(2019). 보육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교사 역량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3(1), 37-60.
  6. 오숙자, 최진아(2016). 보육교사의 집단자존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연구, 8(2), 185-200.
  7. 윤아랑, 정남운(2011). 상담자 소진: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2), 231-256.
  8. 이선임(2017). 보육교사의 관계적 근무환경의 질과 정서적 소진 간의 관계: 정서조절능력의 조절 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유경(2016). 보육교직원의 정서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조직문화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일자리위원회(2017). 일자리정책 5년 로드맵. http://jobs.go.kr/에서 2017년 9월 26일 인출
  11. 조상호, 강대옥, 김성철(2018). 보육교사의 자기격려와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8(4), 51-63. doi: 10.21213/kjcec.2018.18.4.51
  12. 조환이, 윤선아(2014). 교사소진 연구 동향 분석. 뇌교육연구, 13, 77-100.
  13. 통계청(2019. 2). 2018년 인구동향조사. http://kostat.go.kr에서 2019년 7월 20일 인출
  14. 픽은희(1983). 간호원의 소진 경험정도와 업무 만족도간의 상관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황성동(2014). 알기 쉬운 메타분석의 이해. 서울: 학지사.
  16. 황해익, 탁정화, 강현미(2014).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 인식수준에 따른 소진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9(4), 31-52.
  17. Borenstein, M., Hedges, L. V., Higgins, J. P. T., & Rothstein, H. R. (2009).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Chichester: John Wiley & Sons, Ltd.
  18. Chan, D. W. (2006).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mponents of burnout among Chinese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Hong Ko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2(8), 1042-1054. doi:10.1016/j.tate.2006.04.005
  19. Creswell, J. W. (2003).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2nd ed.). Thousand Oak, CA: Sage.
  20. Creswell, J. W. (2012).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2판(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역). 서울: 학지사(2005 원저 발간).
  21. Creswell, J. W. (2017). 연구방법: 질적, 양적 및 혼합적 연구의 설계 제4판(정종진, 김영숙, 성용구, 성장환, 류성림, 박판우, 유승희, 임남숙, 임청환, 허재복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2014 원저 발간).
  22. Dunham, J., & Varma, V. P. (1998). Stress in teachers: Past, present and future. Chichester, England: Wiley-Blackwell.
  23. Duval, S., & Tweedie, R. (2000). A nonparametric “trim and fill” method of accoun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95, 89-98. doi:10.1080/01621459.2000.10473905
  24. Faber, B. A. (1984). Stress and burnout in suburban teacher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77(6), 325-331. doi:10.1080/00220671.1984.10885550
  25. Freudenberger, H. J., & Richelson, G. (1980). Burnout: The high cost of high achievement. New York: Bantam Books.
  26. Higgins, J. P. T., Thompson, S. G., Deeks, J., & Altman, D. G. (2003). Measuring inconsistency in meta-analysis. British Medical Journal, 327, 557-560. doi:10.1136/bmj.327.7414.557
  27. Kyriacou, C. (1987). Teacher stress and burnout: An international review. Educational Research, 29, 146-152. doi:10.1080/0013188870290207
  28.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29. Maslach, C., & Jackson, S. E. (1981). Maslach burnout inventory manual.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30. Maslach, C., Schaufeli, W. B., & Leiter, M. P. (2001). Job burnou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397-422. doi:10.1146/annurev.psych.52.1.397
  31. Noddings, N. (1996). Stories and affect in teacher education. Cambridge Journal of Education, 26(3), 435-447. doi:10.1080/0305764960260311
  32. Ross, E. (1993). Preventing burnout among social workers employed in the field of AIDS/HIV. Social Work in Health Care, 18(2), 91-108. doi:10.1300/J010v18n02_06
  33. Saracho, O. N., & Bernard, S. (1993). Professionalism and the prepa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tioners.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nd Care, 89(1), 1-17. https://doi.org/10.1080/030044393089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