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Marital Communication, and School Adaptation in Early Childhood of Young Children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부부 간 의사소통,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 Noh, Min Ja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ongwon University) ;
  • Song, Mi Jeoung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ongwon University)
  • 노민자 (송원대학교 유아교육과) ;
  • 송미정 (송원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9.07.30
  • Accepted : 2019.09.14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on early childhood adaptatio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communication in the adaptation of young children to early education institutio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19 infants and their mother living in J city in Jeonbuk province.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as spss 21.0 and amos 21.0,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communication have a direct influence on the adaptation of young childre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Second, marital communication showed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the adapt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Based on these results. Conclusion/Implications: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reduction of parenting stress and positiv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between couples.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 간의 관계에서 부부 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북 J시에 거주하는 유아 219명과 그들의 어머니이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1.0, amos 21.0으로 분석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부부 간 의사소통은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 관계에서 부부 간 의사소통은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양육스트레스 감소와 긍정적인 부부 간 의사소통의 중요성에 대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정(2015).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과 유치원 부적응 행동.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세미, 엄정애(2007). 만 3세 유아의 정서지능과 유치원 적응간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2(1), 5-22.
  3. 고경미, 이선경(2019).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부부간 의사소통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3), 611-628. doi:10.22251/jlcci.2019.19.13.611
  4. 구희정(2010).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의 구성과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기현, 강희경(1997).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5(5), 141-150.
  6. 김나영(2002). 장애유아 어머니의 의사소통 불안의식, 부부간 의사소통 효율성, 생활만족도의 관계 분석. 발달장애연구, 6(1), 165-174.
  7. 김두범, 김미경, 김현희, 최관희(2012). 영유아 보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서울: 창지사.
  8. 김명희, 최연실(2007). 중년기 기혼남녀의 부부의사 소통과 부부친밀감이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3), 1-23.
  9. 김미화(2009). 유아의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 태도가 유치원적응에 미치는 영향.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민희, 문혁준(2007).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및 유아교육.보육기관에서의 사회적 적응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5(9), 27-36.
  11. 김보민, 박인전(2013). 어머니-교사 관계와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간의 구조적 관계: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 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77, 123-150.
  12. 김보민, 박인전(2017). 유아의 유아교육기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2(1), 453-478. doi:10.20437/KOAECE2-1-08
  13. 김순진(2013). 어머니 변인이 자녀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행복감, 양육스트레스, 양육 효능감을 중심으로.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순환, 조해연, 김민정(2013). 만 4세 유아의 언어 능력, 정서지능과 유치원 적응. 어린이미디어연구, 12(2), 97-121.
  15. 김예진(2017). 유아기 자녀를 둔 부부의 의사소통 패턴이 아내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남편의 양육참여도의 매개적 역할.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은영(2013). 사회적 지지와 부부 의사소통이 발달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꽃동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김현경(2009).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 관련 변인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김현미, 도현심(200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5(6), 279-298.
  19. 김현진(2014). 유아의 교육기관적응과 자아탄력성 및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나정숙, 이배, 김경숙(2016). 어머니 효능감 및 어머니-자녀 간 의사소통이 유아의 교육기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96, 237-258.
  21. 노성향(2014). 아버지의 자기효능감이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 양육참여의 매개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4(3), 45-59.
  22. 문수백(2009). 구조방정식 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23. 문영경(2016). 유아의 성, 놀이성과 교사-유아의 상호 작용이 만 3세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6(2), 369-390. doi:10.18023/kjece.2016.36.2.016
  24. 박경선, 문혁준(2014).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기관적응의 관계에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8(3), 135-157.
  25. 박천진, 정혜원(2018).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부모 양육태도와 유아 교육기관 적응과의 관계: 유아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23(2), 1-20. doi:10.20437/KOAECE23-2-01
  26. 박희숙, 이승은(2007).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유치원 적응력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2(6), 337-356.
  27. 서주현, 김진경(2012).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영유아보육학, 73, 101-121.
  28. 송지준(2014). SPSS/AMOS통계분석방법. 파주: 21세기사.
  29. 송진숙(2004).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의 적응과 관련 변인간의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3), 167-189.
  30. 심혜선(2001). 도시주부의 부부간 의사소통 효율성.가정관리전략 및 가정생활만족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안창현, 김진이(2008). 부부의 자아존중감, 의사소통 및 가족 응집성.적응성과 갈등대처방식간의 관계.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6(2), 95-114.
  32. 온은아, 이선경(2017). 유아의 행복감 및 자기조절력과 유아교육기관 적응능력간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12(2), 133-153. doi:10:16978/ecec.2017.12.2.006
  33. 우종필(2012).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출판사.
  34. 윤수정(2015). 영아기질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간의 결혼만족도와 부부갈등의 매개 및 중재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95, 173-193.
  35. 윤지은, 장영숙(2011). 유아의 정서지능과 또래 유능성이 유치원 적응에 미치는 영향. 교육종합연구, 9(2), 94-115.
  36. 이경님, 유혜선(2014).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교사-영아관계가 어린이집 초기 적응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3(3), 165-190.
  37. 이석호, 이주연(2012).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행동 관련변인 연구: 양육행동의 하위영역별 비교. 한국보육학회지, 12(1), 111-130.
  38. 이선화(2019).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결혼 만족도와의 관계: 핵심자기평가와 부부의사 소통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이영숙(2005). 유아의 적응행동 및 부적응행동과 관련된 변인 연구: 유아의 성별, 기질, 취원기간, 그리고 어머니의 양육태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0. 이영숙, 서소정(2006). 유아의 적응행동에 관한 연구-유아와 어머니의 사회인구학적변인,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중심으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4(5), 143-155.
  41. 이자현, 위영희(2012).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영유아의 교육기관 적응의 관계. 아동학회지, 33(5), 139-161. doi:10.5723/KJCS.2012.33.5.139
  42. 이재성, 문영경, 최형임(2012). 아동이 인지한 부모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아동교육, 21(2), 233-246.
  43. 이정순(2003).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3(3), 5-19.
  44. 이현지, 김우호(2011). 장애청소년 부모의 양육부담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가족의사소통과 가족 기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재활복지, 15(3), 131-153.
  45. 임미지, 문혁준(2014). 유아의 의도적 통제, 부부갈등, 부모역할 지능과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 행동. 인간발달연구, 21(1), 159-179.
  46. 임원신(2006).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7. 임효진, 박휴용, 장경은, 이지은(2015). 어머니의 심리적, 관계적 변인과 양육스트레스, 후속 출산 의도의 구조적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20(2), 297-318.
  48. 장영애, 이영자(2012). 어머니의 양육행동, 양육 스트레스 및 부부갈등이 유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지, 20(3), 357-373.
  49. 장원호, 김민진, 이지영, 권정아(2018).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자아 존중감의 매개효과. 유아교육연구, 38(4), 379-398. doi:10.18023/kjece.2018.38.4.015
  50. 전병주(2016).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성별에 따른 양육스트레스, 부부 의사소통 및 삶의 질 관계.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20, 121-144.
  51. 정미경, 김영희(2003). 어머니의 아동기 양육경험, 우울, 부부갈등 및 양육행동과 학령기 아동의 부적응.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1(8), 123-137.
  52. 정은주, 이미선(2013).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 어려움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부부 의사소통과 부모역할 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가족복지학, 18(4), 485-510. doi:10.13049/kfwa.2013.18.4.485
  53. 정현숙(2001). 한국형 결혼만족도척도 개발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9(12), 205-224.
  54. 최미경, 도현심, 김민정, 신나나(2013). 부모공동양육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불안 및 과잉행동 간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2), 25-39. doi:10.7466/JKHMA.2013.31.2.025
  55. 최선희(2014).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어머니 및 교사변인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6. 최정미, 우희정(200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3(3), 361-369.
  57. 최지영(2011). 영아의 초기 어린이집 적응이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5(3), 77-100.
  58. 홍성희(2015).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유아의 유아교육 기관 적응과의 관계. 동아인문학, 33, 573-596.
  59. 홍세희(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 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60. 홍지명(2015).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유아교육기관 적응간의 관계 연구. 인문사회 21, 6(4), 911-928.
  61. 황해익, 송연숙, 최혜진, 손원경(2014). SPSS 자료분석. 서울: 창지사.
  62. Abidi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 (PSI). Charlotte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63. Bart, O., Hajami, D., & Bar-Haim, Y. (2007). Predicting school adjustment from motor abilities in kindergarten.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6(6), 597-615. doi:10.1002/icd.514
  64.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1), 83-96. doi:10.2307/1129836
  65. Crnic, K. A., & Greenberg, M. T. (1990). Minor parenting stresses with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1(5), 1628-1637. doi:10.1111/j.1467-8624.1990.tb02889.x
  66. Cummings, E. M., & Davies, P. T. (2010).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 An emotional security perspective. New York, NY, US: Guilford Press.
  67. Emery, R. E., & Tuer, M. (1993). Parenting and the marital relationship. In T. Luster & L. Okagaki. (Eds.). Parenting: An ecological perspective (pp. 121-148),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68. Erel, O., & Burman, B. (1995). Interrelatedness of marital relations and parent-child relations: A meta-analytic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18(1), 108-132. doi:10.1037/0033-2909.118.1.108
  69. Fornell, C., & Lar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doi:10.1177/002224378101800104
  70. Jewsuwan, R., Luster, T., & Kostelnik, M. (1993).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perceptions of temperament and children's adjustment to preschool.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1), 33-51. doi:10.1016/S0885-2006(05)80097-3
  71. Mann, M. B., & Thornburg, K. R. (1987). Guilt of working women with infants and toddlers in day care.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27(3), 451-464. doi:10.1080/0300443870270304
  72. Marsh, J. C. (2003). Arguments for family strengths research. Social Work, 48(2), 147-149. doi:10.1093/sw/48.2.14
  73. Masten, A. S., & Garmezy, N. (1985). Risk, vulnerability and protective factors in developmental psychology. In B. B. Lahey & A. E. Kazdin (Eds.), Advances in clinical child psychology (pp. 1-52). NY: Plenum Press.
  74. Shaw, D. S., Keenan, K., & Vondra, J. I. (1994). Developmental precursors of externalizing behavior: Age 1 to 3. Developmental Psychology, 30(3), 355-364. doi:10.1037/0012-1649.30.3.355
  75. Sturge-Apple, M. L., Davies, P. T., & Cummings, E. M. (2006). Impact of hostility and withdrawal in interparental conflict on parental emotional unavailability and children's adjustment difficulties. Child Development, 77(6), 1623-1641. doi:10.1111/j.1467-8624.2006.00963.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