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resent Status of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and Utilization of Picture Book Peritex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유아교사의 그림책 읽기활동 현황 및 주변텍스트에 대한 인식과 활용

  • Nam, A Reum (Dept. of Early Childhood Nature-Friendly Educatio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 Kim, Sang Lim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남아름 (인천대학교 유아.숲.자연교육학과) ;
  • 김상림 (인천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9.07.29
  • Accepted : 2019.09.15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and their knowledge and utilization of the picture book peritexts. Methods: The subjects were 276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teachers' current status of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as well as their knowledge and utilization of picture book peritex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1.0 program to analyze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y and percentage. Results: As results, most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at reading picture books to young children was very important and responded that the purpose of reading picture books was to develop children's imagination and creativity. In term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on 12 peritexts, some peritexts such as 'title', 'cover' and 'title page' were recognized at high level but other peritexts such as typography and layout were at low level. In addition, early childhood teachers' utilization level of peritexts were shown as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ir knowledge level. Conclusion/Implications: The study results imply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 to be informed of the concepts of picture book peritexts and encouraged to utilize peritexts while reading picture books to young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그림책 읽기활동 현황 및 그림책 주변텍스트에 대한 인식과 활용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지역의 유아교사 총 276명 이었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그림책 읽기활동 현황과 및 그림책 주변텍스트에 대한 인식과 활용을 조사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대부분의 유아교사는 유아에게 그림책을 읽어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그림책 읽기의 목적을 '상상력과 창의력 발달을 위해'라고 응답하였다. 그와 더불어, 유아교사는 그림책 주변텍스트에 12가지 구성요소인 제목과 표지, 속표지를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헌사지, 면지, 덧싸개, 띠지, 재질, 판형 및 제본, 수상표시에 대해서는 보통 수준으로, 타이포그래피 및 레이아웃에 대해서는 낮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유아교사의 그림책 주변 텍스트에 대한 인식은 대체로 높은 편이었으나, 그림책 읽기 시 주변 텍스트의 몇몇 요소에 대해서는 대부분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그림책 읽기 활동 현황 및 그림책 주변텍스트에 대한 인식과 활용을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능동적인 그림책 읽기를 도모하고, 그림책 주변텍스트 활용을 통해 다차원적인 읽기교수 방법의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지영(2017). 그림책 표지 탐색활동이 유아의 읽기 흥미도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교육과학기술부(2012). 5세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권오원, 이성희(2011). 유아전통문화교육을 위한 그림책 분석 및 그림책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2(1), 165-179.
  4. 권윤지, 이조은, 이연선(2016). 그림책 파도야 놀자의 파라텍스트 의미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4), 1-28. doi:10.22154/JCLE.17.4.1
  5. 권희경(2006). 그림책 읽기에 대한 유아교사의 신념과 실제: 교사 효능감 및 발달적 적합성과의 관계. 동화와 번역, 12, 137-161.
  6. 김도남(2001). 상호텍스트성에 기반한 텍스트 이해 단계 설정 검토. 독서연구, 6, 191-230.
  7. 김명화, 홍혜경(2009). 유아교육기관의 그림책 읽어 주기 활동의 실태 및 요구 조사. 어린이미디어 연구, 8(2), 147-172.
  8. 김미숙(2005).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 수업이 유아의 미술 활동과정 및 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수경(2015). 유치원 교실 내 환경으로서 그림책 배치 및 활용 실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숙령, 고윤희, 육길나, 조숙진(2008). 그림책을 활용한 통합적 수학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 개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54, 119-139.
  11. 김영미, 김현주(2015).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1), 231-247. doi:10.14698/jkcce.2015.11.231
  12. 김영은(2005). 유치원에서의 동화 활용 현황 조사: 부산 지역을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은정(2018). 그림책 표지 탐색활동이 유아의 읽기 흥미도와 시각적 문해력에 미치는 영향. 경인 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장성(2008). 비평과 비방사이: 채인선 이런 옛 이야기 그림책이 필요할까?의 자리는 어디쯤 일까?. 창비어린이, 6(2), 227-243.
  15. 김정선(2015). 그림책 파라텍스트: 판형, 종이, 페이지, 제본(2). 조형미디어학, 18(2), 65-70.
  16. 김정준, 신원애(2016). 그림책에 나타난 파라텍스트의 의미 분석: 볼로냐 라가치상 국내 수상작을 중심 으로. 육아지원연구, 11(3), 179-202. doi:10.16978/ecec.2016.11.3.008
  17. 김현실, 서현아(2010).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생태유아교육연구, 9(3), 1-29.
  18. 나선희(2010). 그림책 면지와 서사의 관계: 한국 그림책을 중심으로. 동화와 변역, 19, 93-118.
  19. 남아름, 이시자(2018). 면지 탐색활동을 포함한 그림책 읽기가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과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9(3), 111-135. doi:10.22154/JCLE.19.3.5
  20. 민광미, 현정희, 이지현(2008). 그림책 읽기 전 활동이 유아의 읽기동기 및 읽기태도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3(1), 55-77.
  21. 박다솜(2018). 한국과 중국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그림책 읽기 현황과 교사의 인식 및 그림책 읽기 상호 작용.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박선희, 한주희(2016). 그림책의 재미 요소 탐구: 유아의 반응을 중심으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3), 95-122. doi:10.22154/JCLE.17.3.5
  23. 박순주(2016).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동화활동 현황 및 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박지영(2008). 그림책을 활용한 반편견 교육활동이 일반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박혜경(2001).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인터넷을 이용한 동화지도 실태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서정숙, 김정원, 김유정(2009). 그림책 중심 문학교육의 실시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문학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0(1), 1-22.
  27. 서정숙, 김정원, 남규(2006). 그림책 중심의 문학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문학적 능력과 흥미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6(6), 103-127.
  28. 서정숙, 김주희 (2016). 그림책에게 배웠어. 서울: 샘터사.
  29. 서정숙, 남규(2005). 그림책으로 하는 유아 문학 교육. 서울: 창지사.
  30. 서정숙, 박경자, 현정희(2010). 그림책 면지 탐색활동이 유아의 읽기흥미도와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0(1), 75-93.
  31. 송주진, 전일우(2006).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5(2), 1-22.
  32. 송희진, 문철(2014). 우리나라 그림책의 프랑스 번역판의 파라텍스트 변형 연구: 판형과 제본, 표지, 면지, 종이 재질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 연구, 15(6). 267-281.
  33. 신세니(2011). 포스트모던 그림책 파라텍스트의 특성 및 기능 연구: 유아의 그림책 읽기 과정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신영숙(2018). 그림책 읽기 과정에서 나타나는 파라 텍스트에 대한 유아 반응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안영길, 조명숙(2016). 그림책 읽기의 이해방식과 지도 방안 탐색: 기호학과 해석학을 중심으로. 유아 보육.보육복지연구, 20(4), 375-401.
  36. 열린책들 편집부(2010). 2010 열린책들 편집 매뉴얼. 파주: 열린책들.
  37. 오민정(2004). 그림책을 통한 유아의 토의활동과 역할 놀이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건국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오정은(2004). 그림책을 통한 유아의 후속 이야기 짓기가 언어표현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유은석, 민혜영(2008). 가정과 연계한 그림책 활동이 유아와 어머니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1), 1-22.
  40. 이경아(2004). 그림책을 활용한 균형적인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에 미치는 효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이경화, 조순옥, 김정원, 심은희, 이연규, 이문정(2003). 유아 언어 교육. 서울: 창지사.
  42. 이대균, 정명자, 백경순(2005). 유아교사의 그림책 선정과 지도방법에 관한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6(2), 75-99.
  43. 이명화(2007). 글 없는 그림책 활용에 따른 만3세 유아의 언어 능력 및 사회.정서발달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이명화, 김정준(2017). 그림책 페리텍스트 탐색과 읽어 주기 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읽기 흥미와 언어 표현력에 미치는 변화 추이.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4(1), 45-66.
  45. 이우영(2006). 유치원에서의 그림책 활용에 대한 실태분석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이차숙(2012). 그림책 읽기의 의미 구성적 과정에 대한 이해. 한국영유아보육학, 73, 55-80.
  47. 이현경, 안지성, 이효원(2011). 포스트모던 그림책 읽기에 드러난 유아들의 의미구성 과정 탐색.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2(1), 199-221.
  48. 이현아, 김영연(2006). 유아교사의 동화지도 방법에 관한 실태 조사. 교육과학연구, 11, 195-225.
  49. 임아름(2017). 그림책의 면지 탐색활동이 만4세 유아의 내러티브 산출 및 이해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전홍주, 박선혜, 박신영(2015). 유아교육기관의 그림책 제공 실태와 교사의 인식. 어린이미디어연구, 14(3), 279-305.
  51. 정근수(2013). 문학 반응 활성화를 위한 그림책 읽어주기에 대한 실태 및 유아 교사의 인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4), 289-313.
  52. 정혜연(2011). 그림책의 주변텍스트(Peritext) 탐색 활동이 유아의 읽기 태도 및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조명숙(2017). 그림책 텍스트의 글, 그림, 파라텍스트 기능 및 관계 탐색. 어린이미디어연구, 16(2), 47-71. doi:10.21183/kjcm.2017.06.16.2.47
  54. 조승민(2005). 그림책 표지탐색 활동이 유아의 읽기 흥미도와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지연주(2012). 교사와 어머니의 문해신념, 그림책에 대한 인식 및 읽기활동 빈도가 유아와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6. 채영란, 김명화(2011). 동화를 활용한 대화읽기가 유아의 이야기이해력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0(2), 1-25.
  57. 최경, 육길나, 연혜민(2016). 보육교사의 그림책을 통한 독서교육 실태 연구. 문화예술교육연구, 11(6), 25-50. doi:10.15815/kjcaes.2016.11.6.2
  58. 한기호(2008). 책은 진화한다: 크로스미디어 시대의 출판 비지니스. 서울: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59. 함영숙(2015). 자연그림책을 활용한 유아미술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 어린이미디어연구, 14(3), 393-412.
  60. 현은자, 김세희(2005). 그림책의 이해 1-2. 파주: 사계절출판사.
  61. 현정희, 서정숙(2009). 그림책 읽어주기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0(2), 125-147.
  62. 황윤세(2007). 학습주기를 활용한 그림책 통합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 교육연구, 27(3), 273-300.
  63. 황인희(2016). 그림책 표지 탐색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4. 마쓰이 다다시(2014). 어린이와 그림책(이상금 역). 서울: 샘터사.
  65. Genette, G. (1997). Paratexts: Thresholds of interpretatio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66. Martinez, M., Stier, C., & Falcon, L. (2016). Judging a book by its cover: An investigation of peritextual features in caldecott award books. Children's Literature in Education, 47(3), 225-241. doi:10.1007/s10583-016-92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