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S 실내디자인 과목의 '주거공간 계획하기' 단원에서 3차원 스케치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수업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struction Program using 3D Sketching Software for 'Planning for Residential Space' Unit of NCS-based on Interior Design Subject

  • 투고 : 2019.08.10
  • 심사 : 2019.09.16
  • 발행 : 2019.09.30

초록

최근 실내건축 분야의 실무 현장이나 대학의 실내건축 교육은 3차원 스케치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공간계획능력을 필수적으로 요구하고 있지만, 현재 특성화 고등학교에서의 교육은 수작업성 실기수업과 2D CAD 중심으로 구성되어 산업계의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공간계획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3차원 스케치 소프트웨어 기반 수업 프로그램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 고등학교 NCS 기반 실내디자인 과목의 '주거공간 계획하기' 단원에서 3차원 스케치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특성화고 수업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3차원 스케치 소프트웨어 기반 수업 프로그램은 PDIE 모형 절차에 따라 준비, 개발, 실행, 평가의 4단계를 거쳐 개발되었으며, 실험설계 모형은 이질집단 사후검사설계를 사용하였다. 실험 처치는 건설 분야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총 9차시의 실내디자인 교과 수업에 적용하였다. 실험 처치 후에는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에 대한 학업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개발된 수업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3차원 스케치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 프로그램은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 모두에서 기존의 수작업성 실기 수업보다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In recent years, space planning ability using 3D sketch software is required in the working field of interior design. However, vocational high school do not respond appropriately to changes in the industry, because the class of vocational high school consists of hands-on practical classes and 2D CAD based classes. There is a shortage of 3D sketch software-based instruction programs that can improve students' spatial planning skills. Therefore, this study is to develop instruction program using 3D sketch software for 'Planning for Residential Space' unit of NCS-based on interior design subject and to find out the effect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by applying to vocational high school class. The 3d sketch software based instructional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through four stages of preparatio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DIE model process. The experimental design model used nonequivalent group posttest-only design in this study.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construction and 9 hours of interior design subjects were applied. After the experiments, students were tested for academic achievement in the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areas. As a result, the instruction program using the 3d sketch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an existing manual instruction program in both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areas.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부(2017). NCS 학습모듈 개발매뉴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 김진수(2005). 공업교육연구법과 SPSS. 웅보출판사
  3. 김진수(2011). STEAM 통합 교육의 수업 자료 제작을 위한 PDIE 모형 개발. 대한공업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pp. 386-392.
  4. 박철현(2017). 스케치업 보조모델링이 건축 CAD교육의 도면 이해와 해석에 미치는 효과.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5. 신수범, 김주일(2013). 3D 그래픽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도형 학습 효과.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18(1). 185-192. https://doi.org/10.9708/jksci.2013.18.1.185
  6. 윤영찬(2009). 중학교 기술.가정과 '제도의 기초' 단원에서 PBL 수업이 제도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7. 윤원정(2004). 3차원 스케치 시스템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8. 이태경, 이진욱(2012). 구글 스케치업 활용을 통한 가구디자인 컴퓨터교육 방법 연구. 한국조형디자인학회지, 15(1). 10-24.
  9. 이향림(2018). 특성화고 자동차계열 직업영어 교재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0. 이현희, 김래영(2013). 공간 능력과 공간 기하적 사고에서 SketchUp 활용의 효과 -중학교 1학년 입체도형의 측정 단원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52(4). 531-547.
  11. 최병근(2009). 구글 스케치업 활용을 통한 장면의 시각화 연구. 영상기술연구, 11. 119-136.
  12. Lawshe, C. H(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al Psychology. 28(4), 563-57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