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Overprote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University Student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Shame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과보호가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지수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아동가족상담학과) ;
  • 김주연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아동가족상담학과)
  • Received : 2019.08.06
  • Accepted : 2019.09.10
  • Published : 2019.10.28

Abstract

This research examined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al overprotection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university students, whether the mediating effect of sham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otal 208 1st~4th grade university students, who are enrolled in university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parental overprotec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ham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perceived parental overprotection had negative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ird, The higher the degree of shame, the more negative impa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rth, Shame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perceived parental overprote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is implies that perceived parental overprotection indirectly influences university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y using shame as a mediato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가 대인관계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대학생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북부지역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 여 대학생 1-4학년 남학생 105명과 여학생 103명, 총 20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는 대인관계능력 및 수치심과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수치심은 각각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생이 부모의 과보호 수준이 높다고 지각할수록 대인관계능력이 낮아졌으며, 수치심의 정도가 높을수록 대학생의 대인관계 능력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가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치심이 매개효과를 가진다. 즉,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과보호 수준에 따라 대인관계능력이 달라지는데, 이러한 관계에서 수치심이 낮을수록 대인관계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논의와 제한점을 비롯하여 후속 연구 방향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석만, 인생의 2막 대학생활, 서울: 학지사, 2010.
  2. F. Heider, "The psychology of interpersonal relations," NY:John Willy&Sons,inc, 1964.
  3. 민지현, 대학생의 자기낙담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4. 정경아, 정서표현 양가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5. 남지현, 대학생의 5요인 성격특성 및 초기부적응 도식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6. 손경숙, "대학생들의 대인관계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관한 연구," 임상사회사업연구, 제14권, 제1호, pp.1-27, 2017.
  7. 최우경, 대학생 생활스트레스,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 및 자살생각의 구조,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8. K. Bartholomew and L. M. Horowitz, "Attachment styles among young adult: A test of a four-category mode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1, No.2, pp.226-244, 1991. https://doi.org/10.1037/0022-3514.61.2.226
  9. 강주현, 대학생의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 과정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10. J. J. Arnett, "Conceptions of the transition to adulthood: Perspective from adolescence through midlife," Journal of adult development, Vol.8, No.2, pp.133-143, 2001. https://doi.org/10.1023/A:1026450103225
  11. 최연실, "성인자녀의 부모 동거 현황 및 분석틀의 탐색,"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32권, 제4호, pp.75-89, 2014. https://doi.org/10.7466/JKHMA.2014.32.4.75
  12. 강현선, 성인기자녀의 부모의존 동거에 대한 사례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13. 정은영, 장성숙, "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 과보호 척도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0권, 제2호, pp.293-312, 2008.
  14. 구세경, 손미경,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 자기제시동기의 매개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제24권, 제3호, pp.1-21, 2018.
  15. 유계숙, 장경은, "혼합적 분석방법으로 살펴본 헬리콥터부모역할의 속성," 청소년시설환경, 제14권, 제3호, pp.5-15, 2019.
  16. 최미혜, "부모의 헬리콥터형 양육태도가 대학생 자녀의 친구관계,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GRI 연구논총, 제17권, 제2호, pp.181-205, 2015.
  17. 석민정,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자녀의 부정적 자동적 사고 및 분노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8. 장휘숙, 인간발달, 서울:박영사, 2000.
  19. 서주연, 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수치심 경향성을 매개변인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20. 박윤선, 채규만,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대인불안과의 관계에서 수치심 경향성의 매개효과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제18권, 제2호, pp.133-147, 2010.
  21. P. Loader, "Such a shame-a consideration of shame and shaming mechanisms in families," Child Abuse Review, Vol.7, pp.44-57, 1998. https://doi.org/10.1002/(SICI)1099-0852(199801/02)7:1<44::AID-CAR334>3.0.CO;2-7
  22. K. P. Leith and R. F. Baumeister, "Empathy, shame, guilt, and narratives of interpersonal conflicts: Guilt-prone people are better at perspective taking," Journal of Personality, Vol.66, No.1, pp.1-37, 1998. https://doi.org/10.1111/1467-6494.00001
  23. 김용태, "사회-심리적 특성으로서 수치심의 이해와 해결," 상담학연구, 제11권, 제1호, pp.59-73, 2010. https://doi.org/10.15703/KJC.11.1.201003.59
  24. J. P. Tangney and T. L. Dearing, Shame and Guilt, New York: Guilford Press, 2002.
  25. 홍은수, 수치심의 이해 빛 치유,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26. 안봉화, 내현적 자기애와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7. G. Parker, H. Tupling, and L. B. Brown, "A parental bonding instrument," British Journal of Medical Psychology, Vol.52, No.1, pp.1-10, 1979. https://doi.org/10.1111/j.2044-8341.1979.tb02487.x
  28. 송지영, "한국판 부모-자녀 결합 형태 검사 (Parental Bonding Instrument) : 신뢰도 및 타당도검증," JOURNAL OF THE KOREAN NEURO PSYCHIATRIC ASSOCIATION, 제31권, 제5호, pp.979-992, 1992.
  29. D. R. Cook, "Measuring shame: The Internalized Shame Scale," Alcoholism Treat ment Quarterly, Vol.4, pp.197-215, 1987. https://doi.org/10.1300/J020v04n02_12
  30. 이인숙, 최해림,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SS)의 타당화 연구-애착, 과민성 자기애, 외로움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7권, 제3호, pp.651-670, 2005.
  31. 한나리, 이동귀, "한국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2권, 제1호, pp.137-156, 2010.
  32.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33. S. G. West, J. F. Finch, and P. J. Curran,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56-75, Thousand Oaks, CA, US: Sage Publications, 1995.
  34. 이도근,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대인관계 역량에 미치는 영향 : 성차(性差)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35. 박지혜,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36. 이지연, "내면화된 수치심과 방어유형, 정서 표현의 관계," 상담학연구, 제9권, 제2호, pp.353-373,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