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the Minimum Wage Increment on Employment and Work-hour of New Workers in Korea

최저임금 인상이 신규근로자 고용과 근로시간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9.03.10
  • Accepted : 2019.05.20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This paper estimates the effect of the minimum wage increment on employment and work-hour of new workers in Korea using the data from the Survey on Labor Conditions by Type of Employment (SLCTE) from 2008 to 2017. We construct worker groups by sex, age, and education to mitigate endogeneity problem in estimating the effect of minimum wage increment. The result shows that the minimum wage increment leads to decrease of new employment and increase of the ratio of new workers who work less than 15 hours per week. Especially, women, the elderly, the youth, and under high school education level group are sensitive to the minimum wage increment.

본 연구는 2008~2017년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원자료를 사용하여 최저임금 인상이 신규근로자의 고용과 근로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였다. 최저임금의 내생성 문제를 완화하고자 성별, 연령, 학력에 따라 근로자 집단을 구성하였다. 최저임금의 인상은 신규고용을 감소시키고 주당 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초단시간 신규근로자의 비중을 증가시키는 두 가지 부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최저임금의 인상에 특히 취약한 계층은 여성, 청년층과 고령층, 고졸 이하 집단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승복. 도구변수를 이용한 최저임금의 고용효과. 노동경제논집 40권 3호 (2017. 9): 105-131.
  2. 강승복 . 박철성. 시계열 자료를 이용한 최저임금의 고용효과 분석. 노동경제논집 38권 3호 (2015. 9): 1-22.
  3. 김대일. 최저임금의 저임금 근로자의 신규 채용 억제효과. 노동경제논집 35권 3호 (2012. 12): 29-50.
  4. 김민성 . 김영민 . 박태수. 최저임금 변화가 지역고용에 미치는 효과 분석. 산업관계연구 23권 2호 (2013. 6): 37-73.
  5. 김영민. 최저임금의 변화가 임금과 고용구조에 미치는 효과분석. 산업연구. 2014.
  6. 김영민. 최저임금의 변화가 제조업과 서비스업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임금과 고용 구조를 중심으로. 산업경제(2015년 8월호): 52-59.
  7. 김우영. 최저임금이 청년고용에 미치는 영향: 지역-시계열 분석. 한국고용정보원 고용동향조사 심포지엄 자료 (2010. 5): 392-409.
  8. 김유선. 최저임금제도가 저임금근로자 및 근로조건 등에 미친 영향 평가. 노동부 연구용역보고서, 2004.
  9. 김유선. 최저임금 수준평가와 고용효과에 관한 연구. 국회환경노동위원회 연구용역보고서, 2011.
  10. 김유선. 최저임금의 고용효과. KLSI 이슈페이퍼. 2014-20.
  11. 김주영. 최저임금의 고용효과. 최저임금 효과분석 제3장, 연구보고서 2011-02, 한국노동연구원, 2011.
  12. 김형락 . 이정민. 주 40시간 근무제의 도입이 근로시간, 임금 및 고용에 미치는 영향. 노동경제논집 35권 3호 (2012. 12): 83-100.
  13. 남성일. 법정근로시간 단축의 거시경제 효과 분석. 노동경제논집 25권 2호 (2002. 6): 33-78.
  14. 남성일. 최저임금제가 노동수요에 미치는 효과: 감시단속 근로자에 대한 실증분석. 노동경제논집 31권 3호 (2008. 12): 1-19.
  15. 성재민. 임금불평등 추세와 원인에 대한 연구. 연구보고서 2014-02, 한국노동연구원, 2014.
  16. 신우리 . 송헌재 . 임현준. 최저임금 조정이 노동자들의 노동시간과 노동소득에 미치는 영향. 노동경제논집 42권 1호 (2019. 3): 73-105.
  17. 이병희. 최저임금의 고용유지 및 취업 유입 효과. 산업노동연구 14권 1호 (2008. 6): 1-23.
  18. 이병희 . 정진호 . 이승렬 . 강병구 . 홍경준. 저소득 노동시장 분석, 연구보고서 2008-01, 한국노동연구원, 2008.
  19. 이시균. 최저임금의 고용효과. 노동리뷰 (2007년 6월): 43-51.
  20. 이정민 . 황승진. 최저임금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노동경제논집 39권 2호 (2016. 6): 1-34.
  21. 이정민 . 황승진. 최저임금 인상이 임금분포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의 분석 24권 2호 (2018. 8): 1-42. https://doi.org/10.22823/JKEA.24.2.201808.1
  22. Card, D. "Do Minimum Wages Reduce Employment? A Case Study of California, 1987-89." Industrial and Labor Relations Review 46(1) (October 1992): 38-54. (a) https://doi.org/10.2307/2524737
  23. Card, D. "Using Regional Variation in Wages to Measure the Effects of the Federal Minimum Wage." Industrial and Labor Relations Review 46(1) (October 1992): 22-37. (b) https://doi.org/10.1177/001979399204600103
  24. Card, D. and Krueger, A. "Minimum Wages and Employment: A Case Study of the Fast-Food Industry in New Jersey and Pennsylvania." American Economic Review 48(4) (September 1994): 772-793.
  25. Katz, L., and Krueger, A. "The effect of the minimum wage on the fast-food industry." ILR Review 46(1) (October 1992): 6-21. https://doi.org/10.1177/001979399204600102
  26. Kawaguchi, D., Hisahiro, N., Izumi, Y. "Labor market responses to legal work hour reduction: Evidence from Japan." Economic and Social Research Institute, Cabinet Office,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