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sing Transportation Card Data to Analyze City Bus Use in the Ulsan Metropolitan City Area

교통카드를 활용한 시내버스의 현황 분석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20.09.11
  • Accepted : 2020.10.26
  • Published : 2020.12.01

Abstract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transportation card data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operation and usage of city buses in Ulsan Metropolitan City in Korea. The analysis us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dicato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and also the categories were classified as general status, operational status, and satisfaction. The existing city bus survey method has limitations in terms of survey scale and in the survey process itself, which incurs various types of errors as well as requiring a lot of time and money to conduct. In particular, the bus means indicators calculated using transportation card data were analyzed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the existing operational status survey methods that rely entirely on site surveys. The city bus index calculated by using the transportation card data involves quantitative operation status data related to the user, and this results in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duct a complete survey without any data loss in the data collection process. We took the transportation card data from the entire city bus network of Ulsan Metropolitan City on Wednesday April 3, 2019. The data included information about passenger numbers/types, bus types, bus stops, branches, bus operators, transfer information, and so on. From the data analysis, it was found that a total of 234,477 people used the city bus on the one day, of whom 88.6% were adults and 11.4% were students. In addition, the stop with the most passengers boarding and alighting was Industrial Tower (10,861 people), A total of 20,909 passengers got on and off during the peak evening period of 5 PM to 7 PM, and 13,903 passengers got on and off the No. 401 bus route. In addition, the top 26 routes in terms of the highest number of passengers occupied 50% of the total passengers, and the top five bus companies carried more than 70% of passengers, while 62.46% of the total routes carried less than 500 passengers per day. Overall, it can be said that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replacing the existing survey method by analyzing city bus use by using transportation card data for Ulsan Metropolitan City. However, due to limitations in the collection of availabl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only on one matched data, attempts to analyze time series data were not made, and the scope of analysis was limited because of not considering a methodology for efficiently analyzing large amounts of real-time data.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의 시내버스 운영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기존의 조사방법과 달리 교통카드 자료를 활용하는 방법을 이용하며, 시내버스의 지표는 자료의 성격별 특성에 따라 정량지표와 정성지표로 분류되고, 내용별 분류는 일반현황, 운영현황, 만족도 등으로 분류되었다. 기존의 시내버스의 조사방법은 조사 규모상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조사과정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오류 발생은 물론, 큰 비용과 시간을 요구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현장조사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기존의 운영현황 조사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교통카드 자료를 활용하여 산출된 시내버스의 지표를 분석하였다. 이렇게 교통카드 자료를 활용하여 산출된 시내버스 지표는 이용자에 관련된 정량적 운영현황 자료로서, 전수조사가 가능하고 자료수집 과정에서 자료 손실이 전혀 없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2019년 4월 3일(수) 1일간의 울산광역시 전역에서 사용된 교통카드 자료를 활용하여 울산광역시의 시내버스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내용은 이용객 수, 버스 종류별, 정류장별, 지점별, 시간대별, 버스 운영업체별, 노선별 이용객 수, 환승 관련 정보 등의 자료들이며, 기존의 조사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현황 분석 결과, 울산광역시에서는 2019년 4월 3일(수) 1일 동안 총 234,477명이 시내버스를 이용하며, 이용 승객 중 88.6 %는 성인이었으며, 11.4 %는 학생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승객이 가장 많이 승하차한 정류소는 공업탑으로 10,861명이었으며, 첨두시간대인 17~19시에 20,909명이 승하차하였고, 노선은 401번으로 13,903명이 승하차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수송객 순위 상위 26개 노선이 전체 이용객의 50 %를 점유하였고, 상위 5개사가 70 % 이상의 승객을 수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노선의 62.46 %가 1일 500명 미만의 승객을 수송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를 대상으로 교통카드 자료를 활용하여 시내버스 운영현황을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조사방법을 대체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입수 가능한 자료수집의 한계로 인해 1일 치 자료에 대해서만 분석을 하였으며, 시계열 형태의 자료 분석을 시도하지 못하였고, 대량의 실시간 자료를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론을 고려하지 않아 분석범위가 한정되었다는 점은 본 연구의 한계점이라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Benn, H. P. (1995). Bus route evaluation standards, TCRP Synthesis of Transit Practice 10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Washington DC, USA.
  2. Choi, C. K. and Jeong, H. Y. (1999). Analyzing the effect of the operation of hanaro transportation card, Municipal Administration Research No. 11, Busan Metropolitan City Policy Development Office (in Korean).
  3. Kim, G. S. (2001).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for the use of transportation cards, Municipal Administration Research, No. 21, Daegu Metropolitan City Policy Development Office (in Korean).
  4. Korea Transportation Industry Research Institute (2005).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a nationwide transportation card compatibility system (in Korean).
  5.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2006). Establishment of basic public transportation (in Korean).
  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6). Traffic survey guidelines (in Korean).
  7. Park, J. Y. and Kim, D. J. (2006). A study on the use of transportation cards in public transportation policy,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in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