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Huirang Daesa Sculpture at Haeinsa Temple in Hapcheon

합천(陜川) 해인사(海印寺) 희랑대사상(希朗大師像)의 특징과 제작 의미

  • Jeong, Eunwoo (Department of Archaeology and Art History at Dong-A University)
  • 정은우 (동아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 Received : 2020.09.20
  • Accepted : 2020.11.18
  • Published : 2020.12.20

Abstract

Produced during the Goryeo period (718-1392), the statue of the monk Huirang Daesa at Haeinsa Temple in Hapcheon is almost life-size, with a height of 82.4 cm, a width of 66.6 cm at the knees, and a maximum width of 44 cm at the torso (front and back). Notably, it is the only known example of an East Asian Buddhist sculpture made from wood and dry lacquer that was formed by joining the front and back halves. However, a similar technique was used on a dry lacquer statue of the Medicine Buddha at Cheongnyangsa Temple in Bonghwa, which is estimated to date from the late Goryeo or early Joseon period. As such, this technique is thought to represent this particular time period. In an eighteenth-century travelogue about a trip to Mt. Gayasan, the author describes a sculpture that is believed to be the statue of Huirang Daesa at Haeinsa Temple, based on various unique features that closely correspond to the sculpture's current appearance. For example, the sculpture is said to have a hole in the chest and rough, knobby tendons and bones, two features that can still be seen today. Another sculpture of a Buddhist monk who was active in the western regions during the third and fourth century also has a hole in the chest, which is said to be a symbol of spiritual strength. The travelogue also states that the statue was lacquered black at the time, which means that it must have been painted with its present colors some time in the nineteenth century. Over time, the sculpture has been enshrined in various halls of Haeinsa Temple, including Haehaengdang, Jinsangjeon, and later Josajeon (Hall of the Patriarchs), and Bojangjeon. Records show that images of Buddhist monks, or "seungsang," were produced in Korea as early as the Three Kingdoms period (18 BCE-660 CE), but few of these works have survived. At present, only four such sculptures are extant, including the images of Huirang Daesa from the Goryeo period, and those of Monk Naong and Uisang Daesa from the Joseon period. Of these, the sculpture of Huirang Daesa has special significance for its early production date (i.e., CE. tenth century), outstanding production techniques, and superb artistic quality, realistically capturing both the external appearance and internal character of the subject. The tradition of producing, sanctifying, and worshipping statues of monks was prevalent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China and Japan. However, each country developed its own preferred materials and techniques for producing these unique images. For example, while China has a large number of mummified Buddhist images (yuksinbul), Japan produced diverse images with various materials (e.g., dry lacquer, wood, clay) according to period. But despite the differences in materials and techniques, the three nations shared the same fundamental purpose of expressing and honoring the inherent spirituality of the monks.

희랑대사상은 고려시대에 제작된 상으로 높이 82.4cm, 무릎폭 66.6cm, 앞뒤 최대폭 44cm에 이르는 등신상에 가까운 크기이다. 제작 기법은 승상의 앞면과 뒷면을 건칠과 나무를 접합하여 만든 것으로 동아시아의 유일한 사례로 주목된다. 유사한 기술이 나말여초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봉화 청량사 건칠약사여래좌상에 이미 적용된 바 있어 이 시기의 특징으로 이해된다. 희랑대사상에 대해서는 18세기에 쓰여진 가야산을 여행하면서 쓴 기행문에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즉 승상의 가슴에 있는 구멍과 힘줄과 뼈가 울퉁불퉁하다는 등의 독특한 특징은 현재의 희랑대사상과 정확하게 부합된다. 가슴에 있는 구멍은 신통력의 상징으로 3~4세기에 활동한 서역의 승려 불도징(佛圖澄)의 가슴에도 있었다고 한다. 또한 당시에는 흑칠 상태였으며, 19세기에 현재와 같이 채색되었음도 알 수 있다. 봉안 전각은 해인사의 해행당(解行堂)과 진상전(眞常殿)이었으며, 이후 조사전과 보장전을 거치면서 현재에 이른다. 우리나라에서 승상의 제작과 봉안은 삼국시대부터 있었던 것으로 문헌 기록에 등장하지만 현존하는 작품은 매우 드문 편이다. 현재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승상의 초상조각은 고려시대의 희랑대사상을 비롯하여 조선시대에 제작된 나옹과 의상대사상 등 모두 네 구뿐이다. 이 가운데 희랑대사상은 고려 초기 10세기경에 제작된 상으로서 최고의 제작 기술과 사실적인 재현 그리고 내면의 인품까지 표현한 점에서 예술적 가치가 뛰어난 작품이다. 승상을 제작하여 숭배하고 신성시하는 전통은 한국만이 아니라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에서 크게 유행하였다. 다만 재료와 제작 기술에 대해서는 나라마다 차이와 특이성을 보이며 발전하였다. 중국은 육신불(肉身佛)이 많은 편이며 일본은 건칠, 나무, 흙 등 시대마다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많은 승상을 제작하였다. 저마다 다른 재료와 기법을 사용했지만 동아시아 각국의 승상 제작은 승려의 참모습과 정신성의 성공적 표현을 추구하였다는 점에서는 다르지 않다.

Keywords

References

  1. 신광희, 한국의 나한도, 서울: 한국미술연구소, 2014.
  2. 李智冠 編著, 海印寺誌, 서울: 伽山文庫, 1992.
  3. 유리건판으로 보는 북한의 불교미술,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2014.
  4. (주)씨엔티 경담연구소, 해인사 목조희랑대사상 보수·보존처리사업, 합천군/법보종찰 해인사, 2009.
  5. 성주문화원, 가야산 유산록, 성주문화원, 2019.
  6. 海印寺 대적광전·법보전 비로자나불 복장유물 조사보고서, 법보종찰 해인사, 문화재청, 2008.
  7. 남동신, 나말여초 화엄종단의 대응과 《(화엄)神衆經》의 성립, 外大史學 5, 1993.
  8. 文明大, 海印寺 木造希朗祖師眞影(肖像彫刻)像의 考察, 고고미술 138·139, 1978.
  9. 정은우, 남양주 흥국사의 조선전기 목조 16나한상, 동악미술사학 10, 2009.
  10. 정은우, 고려 청동왕건상의 조각적 특징과 의의, 한국중세사연구 37, 2013.
  11. 최원식, 신라하대의 해인사와 화엄종, 한국사연구 49, 1985.
  12. 허형욱,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유리건판의 화장사 지공화상좌상에 대한 고찰, 불교미술사학 28, 2019.
  13. 이헌석, 조선전기 해인사의 왕실발원 복장유물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14. 정소라, 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