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국방기술기획을 위한 WBS 기반 기술 조사·분석 방법론의 효과분석 : 'A' 미사일 무기체계 중심으로

Effect Analysis of WBS-Based Technology Research and Analysis Methodology for Defense Technology Planning : With 'A' Missile System

  • Kim, Mi Seon (Department of Aviation&Guided Weapons, Defense Agency for Technology and Quality (DTaQ))
  • 투고 : 2020.10.21
  • 심사 : 2020.12.04
  • 발행 : 2020.12.31

초록

국방 분야의 기술기획은 무기체계 개발에 필요한 핵심기술을 식별 및 조사·분석함으로써 전력화시기를 만족하여 무기체계 개발 가능하도록 사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핵심기술이란, 합동군사전략목표기획서에 수록된 무기체계 또는 미래 무기체계의 국내개발 또는 생산에 필요한 고도, 첨단기술로서 선진 외국에서 개발 완료되어 기술이전을 회피하거나 국가안보차원에서 반드시 확보가 요구되는 기술을 의미한다. 과거 핵심기술개발 업무는 무기체계의 주요 작전운용성능을 기반으로 핵심기술을 도출하여 과제화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었으나, 이와 같은 방식으로는 주요 작전운용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체계개발 시 반드시 확보되어야하는 체계종합 기술, 기타 체계 기반기술 등을 확보 불가하다. 본 논문에서는 무기체계의 작업분할구조를 기반으로 구성품 단위에서 무기체계 개발을 위하여 반드시 확보되어야 하는 핵심기술을 식별함으로써 연구개발 시점에서의 공백기술을 방지하는 작업분할구조 기반 기술 조사·분석 방법론을 구체적으로 제안한다. 구체적인 과정은 대상무기체계 작업분할구조 구성, 각 품목별 국내개발현황 조사, 품목 기반 요소기술 도출 및 요소기술별 수준조사 실시, 무기체계 개발시점까지 기술수준이 확보되어야 하는 핵심기술 식별 단계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론의 효과분석은 'A' 미사일 무기체계를 중심으로 제시한다.

Technology planning in the defense field aims to develop core technologies in order to develop weapon systems to satisfy the force integration period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necessary technologies for weapon systems. In the past, core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s were conducted by deriving core technology based on the main required operational capability. But in this case, there is the limitation that technologies which are necessary to develop weapon systems but do not directly affect required operational capability, such as system integration technologies, are not consider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work breakdown structure-based technology research and analysis methodology that prevents vacant technologies by identifying core technologies that must be secured for the development of weapon systems at the component level. With the proposed methodology, it is possible to identify technologies that must be acquired to realize the required operational capability of systems or which must be secured even they do not affect the required operational capability.

키워드

참고문헌

  1.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ct((2020. 3.31.) Article 32.
  2. D. H. Kim,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Defense Technology PD System", JKAIS, Vol.19, No.5, pp.117-121, 2018. DOI: https://doi.org/10.5762/KAIS.2018.19.5.117
  3. Conduct Guide of Core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2020. 7. 9.).
  4. MIL-STD-881D, Department Of Defense(USA), Apr. 2018.
  5. Instruction for Military Force Development(2020. 5.14.) Article 26.
  6. 2019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Survey, DTaQ, 2019.
  7. S. W. Noh, Y. H. Song, J. M. Choi, "A Study on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Defense Technology Planning in Respons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JKAIS, Vol.19, No.4, pp.551-556, 2018. DOI: https://doi.org/10.5762/KAIS.2018.19.4.551
  8. Technology Readiness Assessment Guide(2019.12.24.) Articel 3.
  9. Technology Readiness Assessment Guide(2019.12.24.) Articel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