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In this paper, we propose a classification analysis method for diagnosing and predicting problematic smartphone use in order to provide policy data on problematic smartphone use, which is getting worse year after year. Attempts have been made to identify key variables that affect the study. For this purpose, the classification rates of Decision Tree, Random Forest, and Support Vector Machine among machine learning analysis methods, which are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were compared. The data were from 25,465 people who responded to the '2018 Problematic Smartphone Use Survey' provided by the Korea Information Society Agency and analyzed using the R statistical package (ver. 3.6.2). As a result, the three classification techniques showed similar classification rates, and there was no problem of overfitting the model. The classification rate of the Support Vector Machine was the highest among the three classification methods, followed by Decision Tree and Random Forest. The top three variables affecting the classification rate among smartphone use types were Life Service type, Information Seeking type, and Leisure Activity Seeking type.
본 연구는 스마트폰 과의존을 진단하고 예측하기 위하여 할 수 있는 분류분석 방법과 스마트폰 과의존 분류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변수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의 방법인 기계학습 분석 기법 중 의사결정트리, 랜덤포레스트, 서포트벡터머신의 분류율을 비교하였다. 자료는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제공한 '2018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에 응답한 25,465명의 데이터였고, R 통계패키지(ver. 3.6.2)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3가지 분류분석 기법은 정분류율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모델에 대한 과적합 문제가 발생되지 않았다. 3가지 분류분석 방법 중 서포트벡터머신의 분류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의사결정트리 기법, 랜덤포레스트 기법 순이었다. 스마트폰 이용 유형 중 분류율에 영향을 미치는 상위 3개 변수는 생활서비스형, 정보검색형, 여가추구형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