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자기 보고식 공학설계 역량 검사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he Self-Reported Measurement for Engineering Design Competency

  • 김태훈 (충남대학교 사범대학 전기.전자.통신공학교육과) ;
  • 조한진 (충남대학교 대학원 공업기술교육학과) ;
  • 강문주 (충남대학교 대학원 공업기술교육학과)
  • Kim, Taehoon (Dept. of Electric, Electronic & Communication Engineering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Jo, Han-jin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 Technology Edu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ang, Moon-ju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 Technology Edu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0.01.06
  • 심사 : 2020.01.28
  • 발행 : 2020.01.31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elf-reported measurement for engineering design competency. In this study, engineering design competency is defined as the overall individual ability that is necessary for an engineer for his/her successful accomplishment of engineering design. This measurement was developed through reviewing documents, defining factor and sub-factor, making an item and constructing validity verification. The self-reported measurement for engineering design competency consists of 6 factors and 40 items. 6 factors cover competency of design performance, competency of considering economic and social influence, competency of utilizing mathematical and scientific knowledge, competency of teamwork, competency of design-centered thinking and competency of collecting and using data. A 6-points Likert scale was used for each item.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석준(2007). 공학 설계입문 교과목 개선을 위한 국내외 대학 비교 연구.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 김성일(2014). 예비 기술 교사들의 창의공학설계 수업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4(1), 91-110.
  3. 김은주.성명희(2018).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따른 대학생의 핵심역량 변화와 수업만족도 분석.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학술대회지, 2017(4), 93-109.
  4. 김태우(2014). 역량중심의 인적자원관리 시스템 설계. 석사학위논문, 한국산업기술대학교.
  5. 김태훈.이소이.노태천(2005). 공학설계능력의 평가 요소 구명. 공학교육연구, 8(3), 49-56.
  6. 김태훈(2015). 전문가 인식 조사에 의한 공학 설계 능력의 정의 및 하위 영역과 요소 도출. 공학교육연구, 18(3), 24-32.
  7. 박신영 외(2018). 공과대학생의 창의공학설계능력 교육요구도 분석. 공학교육연구, 21(2), 7-16. https://doi.org/10.18108/JEER.2018.21.2.7
  8. 백남진.온정덕(2014). 역량기반 교과 교육과정에서 기준과 수행의 의미. 한국교육과정연구, 32(4), 17-46.
  9. 소경희(2007).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25(3), 1-21. https://doi.org/10.15708/KSCS.25.3.200709.001001
  10. 소경희 외(2010). 뉴질랜드 교육과정 개혁 동향: 핵심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실천 사례. 비교교육연구, 20(2), 27-50.
  11. 손화철(2011). 공학설계와 기술철학. 철학연구, 94, 107-136.
  12. 양은하(2010). 교수역량 진단도구 개발: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3. 유영제(1998). 공학과 과학교육. 한국과학교육학회(편), 과학교육에서 STS 접근 학술대회 논문집(pp. 33-48).
  14. 이강.한윤식.김경미(2013). 공학교육방법 및 프로그램: 제 3세계 현지인과 함께하는 적정기술 공학설계 워크숍의 교육적 효과. 공학교육연구, 16(2), 3-10.
  15. 이경희 외(2010). 공과대학 신입생의 핵심역량 인식수준을 통한 공학교육방향 연구. 공학교육연구, 13(6), 1-15.
  16. 이애화.최명숙(2014). 국내 대학생 핵심역량과 그 진단도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0(4), 561-588.
  17. 이창훈(2008). ADDIE 모형에 터한 창의 공학 설계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과 적용 방안. 한국기술교육학회지, 8(1), 131-146.
  18. 이현영(2010). 공과대학 교수역량(teaching competency) 진단도구 개발과 교수역량, 교수효능감, 직무만족도, 강의평가 간의 관계규명.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 이홍민(2005). 팀장의 역량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 장용철.김건국.김민철(2013). 창의설계입문의 PBL 적용: 충남대학교 환경공학분야 사례. 공학교육연구, 16(2), 78-85.
  21. 천경희(2010). 역량기반 의학교육 모델의 개발.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22. 최유현(2005). 창의적 공학교육을 위한 문제중심학습(PBL)의 모형과 절차의 탐색. 공학교육연구, 8(1), 99-112.
  23. 한국기업교육학회(2010). HRD 용어사전. 서울: 중앙경제.
  24. 한지영(2011). 공학설계교육을 통한 자기주도학습 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14(1), 64-73.
  25. 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and Technology.(1997). Criteria for Accrediting Programs in Engineering in the United States. Author.
  26. Athey, T. R., & Orth, M. S.(1999). Emerging competency methods for the futuer. Human Resource Management, 38(3), 215-226. https://doi.org/10.1002/(SICI)1099-050X(199923)38:3<215::AID-HRM4>3.0.CO;2-W
  27. Dym, C. L.(1994). Engineering Design : A Synthesis of View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Fletcher, S.(1991). NVQs, standards and competence: A practical guide for employer, management and trainers. London: Kogan Page.
  29. Hoffmann, T.(1999) The Meanings of Competency. Journal of European Industrial Training, 23, 6: 275-285 https://doi.org/10.1108/03090599910284650
  30. Kline, R. B.(2004).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Methodology In The Social Sciences). Guilford publications.
  31. Lawshe, C. H.(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
  32. Longman(2014). Longman dictionary of contemporary English(6th ed.). New York: Pearson Longman.
  33. Mcelland, D. C.(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1-14. https://doi.org/10.1037/h0034092
  34. Mirabile, R.(1997). Everything you wanted to know about competency modeling. Training and Development, 51(8), 73-77.
  35.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2002). Defining and assessing learning: Exploring competency-based initiatives (NCES 2002-159). Retrieved July 27, 2004.
  36. OECD(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37. Rex B., & Kline. R. B.(200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 The Guilford Press.
  38. Rychen, D. S., & Salganik, L. H.(2003). Highlights from the OECD Project Definition and Selection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s(DeSeCo). Neuchatel: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39. Thompson, B. S.(1998). Creative Engineering Design(4th ed.). Okemos Press.

피인용 문헌

  1. 자기 보고식 공학설계 역량 검사 도구 규준화 연구 vol.23, pp.3, 2020, https://doi.org/10.18108/jeer.2020.23.3.66
  2. 과학기술특성화대학 핵심역량 검사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vol.23, pp.5, 2020, https://doi.org/10.18108/jeer.2020.23.5.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