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시공원 이용행태 특성의 시계열 분석

A Time Series Analysis of Urban Park Behavior Using Big Data

  • 우경숙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 서주환 (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환경조경디자인학과)
  • Woo, Kyung-Sook (Graduate School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 Hee University) ;
  • Suh, Joo-Hw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 Hee University)
  • 투고 : 2020.01.20
  • 심사 : 2020.03.02
  • 발행 : 2020.02.28

초록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서 도시민의 행태를 지원하는 공간으로 공원에 주목하였다. 현대의 도시공원은 특정한 역할을 하는 공간으로 국한되지 않으며, 공공의 성격을 가지고 있어 이용자의 이용행태에 따라 그 기능·의미가 변화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온라인상의 데이터는 방문할 공원의 선택 혹은 공원 이용행태의 결정을 지원하는 단계로 접어들었다. 이에 본 연구는 빅데이터의 자료 기반의 특징인 시계열 분석이 가능하도록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최초 년도인 2000년부터 2018년까지 여의도공원·여의도 한강공원과 양재 시민의 숲의 행태 변화를 빅데이터 기법인 텍스트마이닝(Text Mining)과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사회연결망)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요 이용행태와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변화가 있었다. 여의도공원·여의도 한강공원의 이용행태는 제 I시기는 '타다'(동적행태), 제 II시기는 '찍다'(정보통신서비스 행태), 제 III시기는 '걷다'(동적행태), 제 IV시기는 '먹다'(에너지원 행태)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요 행태가 다양하게 변화하는 모습이고, 양재 시민의 숲은 제 I시기는 '걷다'(동적행태), 제 II시기는 '걷다'(동적행태), 제 III시기는 '걷다'(동적행태), 제 IV시기는 '놀다'(동적행태)로 주로 동적행태 위주의 행태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여의도공원·여의도 한강공원은 스포츠 및 레저, 문화·예술, 여가와 관련된 요소가 도출되었고, 양재 시민의 숲은 자연자원 요소가 도출되어 주요 이용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차이가 있었다. 다음으로 대상지의 행태는 시기별로 특정 행태에 집중화되어 있으며, 차후 발생하는 행태를 선택하거나 제약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상지에 다양한 행태가 일어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공간, 시설 등이 골고루 활용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결과의 흥미로운 점은 두 공원에서 공통적으로 눈에 띄게 급증한 행태는 에너지원 행태(먹다, 마시다)와 소비행태(사다, 대여하다)이다. 에너지원 행태는 두 공원에서 모두 제 III시기에서 제 IV시기 사이에 10배 이상으로 치솟았으며, 다른 행태와 빈도에서 큰 차이를 보이며 월등히 높았다. 또한, 공원에 방문하는 시민들은 식음료비, 자전거 등의 대여비, 이밖에 행사 참여 등과 관련된 소비의사가 있으며, 공원이 도심 내 휴식공간에서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데이터 기법을 활용하여 도시공원 이용행태를 분석하였다는 점과 오늘날 도시공원은 휴식, 산책 등의 역할을 넘어서 시대적인 트렌드를 반영하며, 소비 성향이 나타나는 놀이공간으로 성향이 변화하였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현대 도시공원에서 일어나는 행태는 양과 내용이 과거와 다르게 변화하고 있다. 그러므로 빅데이터를 통해 수집되는 대규모 집단의 행태를 유형화하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다학제적인 논의를 통해 오늘날 도시공원을 시민들이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지를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park as a space to support the behavior of urban citizens in modern society. Modern city parks are not spaces that play a specific role but are used by many people, so their function and meaning may change depending on the user's behavior. In addition, current online data may determine the selection of parks to visit or the usage of park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 of behavior in Yeouido Park, Yeouido Hangang Park, and Yangjae Citizen's Forest from 2000 to 2018 by utilizing a time series analysis. The analysis method used Big Data techniques such as text min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The summary of the study is as follows. The usage behavior of Yeouido Park has changed over time to "Ride" (Dynamic Behavior) for the first period (I), "Take" (Information Communication Service Behavior) for the second period (II), "See" (Communicative Behavior) for the third period (III), and "Eat" (Energy Source Behavior) for the fourth period (IV). In the case of Yangjae Citizens' Forest, the usage behavior has changed over time to "Walk" (Dynamic Behavior) for the first, second, and third periods (I), (II), (III) and "Play" (Dynamic Behavior) for the fourth period (IV). Looking at the factors affecting behavior, Yeouido Park was had various factors related to sports, leisure, culture, art, and spare time compared to Yangjae Citizens' Forest. The differences in Yangjae Citizens' Forest that affected its main usage behavior were various elements of natural resources. Second, the behavior of the target areas was found to be focused on certain main behaviors over time and played a role in selecting or limiting future behavio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pace and facilities of the target areas had not been utilized evenly, as various behaviors have not occurred, however, a certain main behavior has appeared in the target areas.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analyzes the usage of urban parks using Big Data techniques, and determined that urban parks are transformed into play spaces where consumption progressed beyond the role of rest and walking. The behavior occurring in modern urban parks is changing in quantity and content. Therefore, through various types of discus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behavior collected through Big Data, we can better understand how citizens are using city parks. This study found that the behavior associated with static behavior in both parks had a great impact on other behaviors.

키워드

참고문헌

  1. Astri, W. and Y. M. Kim(2015) Correlation between social activities 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urban parks: -Urban parks in bandung. Indonesia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6(2): 17-32.
  2. Borgatti, S. P., A. Mehra, D. J. Brass, and G. Labianca(2009) Net work analysis in the social sciences. Science 323(5916): 892-895. https://doi.org/10.1126/science.1165821
  3. Choi, H. K(2009) The Instrumental Proposal That is Based on The Human Behavior and Space Trait.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4. Freeman, L. C.(1979)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rific ation. Social Networks, 1:215-239. https://doi.org/10.1016/0378-8733(78)90021-7
  5. Friedkin, N.(1993) Structural bases of interpersonal influence in groups: A longitudinal case study.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8: 861-872. https://doi.org/10.2307/2095955
  6. Gwak, K. Y.(2017) Social Network Analysis, Chungram.
  7. Im, S. B.(1998) Environmental Psychology, Bosung.
  8. Jacobs, J.(2010)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Greenbee.
  9. Kim, S. B.(2015) Blog text analysis about visitors' experience change of Seochon.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1(6): 93-102. https://doi.org/10.5659/JAIK_PD.2015.31.6.93
  10. Lee, E. J.(2008) The Public Resting Place Design Plan Considering User Behavior in Downtown Area.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11. Lee, J. H.(2013) Big data and social sciences: epistemological and methodological issues.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9(3): 127-165.
  12. Lee, J. S.(2012) Study on The Spatial Network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Leisure Movement for Seoul Metropolitan Area. Ph.D. Dissertation. Kyungki University.
  13. Lee, K. W.(2007) Korean Quality of life Development Basic Research,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14. Leem, B. H.(2012) An effect of co-authorship network on research performance: Focusing on co-authoring of logos management review. Korean Association of rkwhr7292-Logos Management 10(1): 1-20.
  15. Woo, K. S. and J. H. Suh(2018) Time series analysis of park use behavior utilizing big data - Targeting Olympic par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6(2): 27-36. https://doi.org/10.9715/KILA.2018.46.2.027
  16. Yun, Y. S. and E. S. Kim(2004) Leisure Activity Changes and Outdoor Recreation Resources Development in the Capital Region, KRIH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