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Smart City's goal is to solve urban problems through smart city's component technology, thereby developing eco-friendly and sustainable economies and improving citizens' quality of life. Until now, smart cities have evolved into component technologies, but it is time to focus attention on the needs and participation of citizens in smart cities. In this paper, we present a big data procedure for solving smart city problems based on citizens' needs and participation. To this end, we examine the smart city project market by region and major industry. We also examine the development stages of the smart city market area by sector. Additionally it understands the definition and necessity of each sector for citizen participation, and proposes a method to solve the problem through big data in the seven-step big data problem solving process. The seven-step big data process for solving problems is a method of deriving tasks after analyzing structured and unstructured data in each sector of smart cities and deriving policy programs accordingly. To attract citizen participation in these procedures, the empathy stage of the design thinking methodology is used in the unstructured data collection process. Also, as a method of identifying citizens' needs to solve urban problems in smart cities, the problem definition stage of the design sinking methodology was incorporated into the unstructured data analysis process.
스마트시티의 목표는 스마트시티의 요소기술을 통해 도시문제를 해결하여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경제발전 및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스마트시티는 요소기술 중심으로 발전해왔지만 이제는 스마트시티에서 생활을 하는 시민들의 니즈나 참여에 대해 관심을 두어야 할 때이다. 본 논문에서는 시민 니즈와 참여를 기반으로 스마트시티의 문제해결을 위한 빅 데이터 절차를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지역별 주요산업별 스마트시트 프로젝트 시장과 분야별 스마트시티 시장 영역 발전단계를 살펴본다. 또한 시민 참여에 대한 분야별 정의와 필요성을 이해하고 빅 데이터를 통한 문제해결 방법으로 7단계 빅 데이터 문제해결 프로세스에 접목 방안을 제시한다. 문제해결을 위한 7단계 빅데이터 프로세스는 스마트시티의 각 부문별 정형·비정형 데이터 수집 분석 후 과제를 도출하고 이에 따른 정책 프로그램을 도출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절차에 시민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하여 비정형 데이터 수집과정에서 디자인싱킹 방법론의 공감단계를 활용한다. 또한 스마트시티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 니즈를 찾는 방법으로 비정형 데이터 분석과정에 디자인싱킹 방법론의 문제정의 단계를 접목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