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과학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공학적 문제해결 중심 메이커톤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A Study on Effects of Make-A-Thon Program based on Engineering Problem Solving for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 김영민 (한국과학기술원 과학영재교육연구원) ;
  • 최진수 (한국과학기술원 과학영재교육연구원)
  • Kim, Youngmin (Global Institute for Talented Education,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 Choi, Jinsu (Global Institute for Talented Education,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투고 : 2020.03.27
  • 심사 : 2020.05.16
  • 발행 : 2020.05.31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a make-a-thon program based on engineering problem solving for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and to analyze the changes of participating students. Through the consultation of teachers and experts, a team-based and student-driven engineering problem-solving-oriented make-a-thon program was developed. And, the program operated using KAIST's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for 51 students. Students composed of 12 teams studied 12 topics through an engineering problem-solving process, and the overall program satisfaction was very high, on average 4.62. Through this program, students' creative leader competency have been positively changed, especially in cognitive characteristics (diffusion thinking,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ocial characteristics (pursuit of social values). Attitudes toward engineering also changed positively, especially in terms of difficulty of engineering, interest in engineering, gender role in engineering, and engineering and occupational factors.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is program is very effective for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with high demand for engineering edu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부(2019). 한-OECD 국제교육컨퍼런스」 개막 참고 자료 'OECD 학습나침반 2030과 학생의 자기 주체성'. https://www.moe.go.kr/에서 2019, 10, 23 자료 얻음.
  2. 김영민.강정하.허남영(2015). 과학 영재 학생들의 공학에 대한 이미지와 인식 분석. 영재교육연구, 25(1), 95-117. https://doi.org/10.9722/JGTE.2015.25.1.95
  3. 김영민.김기수(2017). 초중등 공학교육 프로그램 구성 모형 개발. 공학교육연구, 20(4), 21-27.
  4. 김영민.이영주(2017). 과학고 및 영재학교 교사들의 공학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 분석. 영재교육연구, 27(2), 203-225. https://doi.org/10.9722/JGTE.2017.27.2.203
  5. 이민주.김희백(2019). 학생 주도의 R&E 활동에서 드러나는 연구 활동의 주요 단계 및 학생의 인식적 행위주체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4), 511-523.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4.511
  6. 문대영(2009). 초등학생의 공학에 대한 태도 및 공학 문제 해결에 대한 사례 연구: STEM 통합 접근 교육 프로그램 적용을 통해.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2(4), 51-66.
  7. 서형업(2007). 문제중심학습(PBL)에 기초한 로봇교육 프로그램이 창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과학고등학교 사례. 공학교육연구, 10(4), 93-122.
  8. 이창훈(2008). ADDIE 모형에 터한 창의 공학 설계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과 적용 방안. 한국기술교육학회지, 8(1), 131-146.
  9. 정웅열.이영준(2018). 컴퓨팅 사고력 기반의 SW 융합교육이 과학고 학생들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집, 22(2), 99-102.
  10. 정현철.채유정.류춘렬(2012). 과학고 및 영재고 Research and Education(R&E) 수행과정 및 운영환경 분석: 지도자와 학생의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7), 1139-1157.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7.1139
  11. 지은림.주언희(2012). 창의적 인재 역량 측정을 위한 구인 탐색 및 척도 개발. 교육평가연구, 25(1), 69-94.
  12. 최진수.김영민.이영주(2019). 과학기술특성화대학(KAIST)을 중심으로 한 R&E 집중연구가 과학고등학교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6), 729-738.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6.729
  13. 최호성.태진미(2015). 과학고 R&E(Research & Education) 프로그램의 참여 경험과 의미. 영재와 영재교육, 14(3), 51-79.
  14. 한국교육개발원(2019a). OECD 교육 2030 참여 연구: 미래지향적 역량교육의 실행 전략 탐색. 연구보고 RR 2019-06.
  15. 한국교육개발원(2019b).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 학교교육에서 역량교육의 의미와 방향을 다시 세우다. KEDI BRIEF, 2019, Vol.21.
  16. KAIST(2016). 영재학교 현황 자료집. 대전: 신진기획인쇄사.
  17. KAIST(2017a). 과학고등학교 현황 자료집. 대전: 애드파워.
  18. KAIST(2017b). 영재학교 현황 자료집. 대전: 애드파워.
  19. KAIST(2018a). 과학고등학교 현황 자료집. 대전: 애드파워.
  20. KAIST(2018b). 영재학교 현황 자료집. 대전: 애드파워.
  21. KAIST(2019). 2018 DDSHS-KAIST 비룡창의과학연구 R&E프로그램 연구결과보고서. 대전: 애드파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