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통합돌봄센터 계획을 위한 고령인구의 종합사회복지관 이용실태 연구 - 경기도 남부 4개 사회복지관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Use of General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the Planning of Integrated Care Center - Focused on four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Southern Gyeonggi-do

  • 투고 : 2020.04.21
  • 심사 : 2020.05.21
  • 발행 : 2020.06.15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basic data for desirable location and functions of the integrated care center. Methods: Survey, Questionaire and statistical analysis are the main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n order to collect data related to utilization pattern and favorite functions of the senior people, researchers have visited 4 social welfare facilities located in Southern Gyeonggi Province. 403 questionaires have been gathered from 4 facilities and they have been analyzed by using Excel Program of MS. Results: First, compared to other services, healthcare services have been preferred by many older people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This means that integrated care centers providing healthcare services for older people rather than services for children or disabilities is desirable. Second, Integrated Care Centers had better be established within the walk distance of elderly people. If it is not easy, the introduction of shuttle bus for older people is desirable. Especially, in case of large Care Center. Implications: This study shows that small facility with community care rather than big facility is desirable for small community in the point of friendliness, convenience, economy, etc..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mbine welfare service and healthcare service even in small center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태경, 2019, "지역사회 통합돌봄(커뮤니티케어)의 원칙", 의료정책포럼.
  2. 권순정 외, 2019, "지역사회 통합돌봄센터 모델개발연구", 보건복지부
  3. 보건복지부, 2018, "독거노인의 안전하고 행복한 노후, 포용적 지역공동체 돌봄을 위한 제 2차 독거노인 종합지원대책('18-'22)".
  4. 보건복지부, 2019, "2019 사회복지관 운영관련 업무처리 안내".
  5. 석재은 외, 2018, "장기요양서비스 급여대상 및 범위 확대에 따른 노인 돌봄종합사회서비스 사업의 개편방안 연구", 보건복지부.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6. 선우덕, 2017, "고령사회의 돌봄 대상 노인 확대에 따른 정책적 대응", 보건복지포럼.
  7. 오성훈, 2018, "장소기반 전략계획을 위한 도시계획체계 개선방안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보고서.
  8. 오영인, 2019, "한국형 지역사회 통합돌봄(커뮤니티케어)의 올바른 추진 방향을 위한 비판적 시각", 의료정책포럼.
  9. 이유진.김의준, 2015, "의료시설 접근성과 대중교통 접근성이 농촌 및 도시 지역 거주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분석-일반화된 순서형 로짓 모형의 적용-",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 27권 제1호.
  10. 이유진.최명섭, 2018, "노인 인구 밀집지역의 시공간적 분포와 결정요인 분석-서울 생활인구 빅데이터의 활용-", 서울도시연구 제19권 제4호
  11. 전경희 외, 2017, "2017년도 노인 실태조사", 정책보고서
  12. 전용호, 2018, "노인 돌봄의 연속성 측면에서 바라본 의료.보건.복지 서비스의 이용과 연계", 한국노인복지학회
  13. 정은하, 2016, "해외의 고령친화도시 정책 사례와 시사점", 서울정책아카이브.
  14. 한수경.이희연, 2015., "서울대도시권 고령자의 시간대별 대중교통 통행흐름 특성과 통행 목적지의 유인 요인 분석", 서울도시연구 제 16권 제 2호.
  15. 통계청 2019, "2019 고령자 통계".
  16. WHO, 2007, Global Age-Friendly Cities: A Gu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