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Types of Verbal Violence Through Speech Analysis on Non-facing Channels

비대면 채널에서의 음성분석을 통한 언어폭력 유형 탐색

  • Received : 2020.01.30
  • Accepted : 2020.04.20
  • Published : 2020.05.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ising issue of verbal violence at non-facing channels. Focus Group Interview(FGI) was conducted to examine verbal violence occurred during emotional labors in real-life cases.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of verbal violence in the conversation was confirmed through a new big data technology called Speech Analysis(SA). The result findings highlighted the two perspectives as below. First, verbal violence occurred through calls, is classified into personal insult, swearing/verbal abuse, unreasonable demand, (sexual) harassment and intimidation/threat. Second, Speech Analysis result exhibited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verbal violence were personal insult and swearing/verbal abuse. Informal language use and speaking in disrespectable manner was the highest rate in personal insult category. Moreover general cursing was the highest rate in swearing/verbal abuse category. In particular, the rate of using curse language was the highest in overall cases of verbal violence. This study summarizes the types of verbal violence that occur in non-facing channels and suggests a need for further investigation on how verbal stress affects working environment for emotional labor.

이 연구는 비대면 채널에서의 언어폭력이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고 감정노동자들의 업무처리 상황에서 발생하는 언어폭력의 실제 사례들은 무엇이 있는가를 전문가심층면접을 통해 조사하였다. 그리고 실제 통화내용에서 언어폭력의 분포를 음성분석(SA)이라는 새로운 빅데이터 기술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비대면 채널을 통해 일어나는 통화에서 언어폭력은 인격모독, 폭언/욕설, 무리한 요구, (성)희롱과 위협/협박으로 분류된다. 둘째 음성분석을 이용하여 이들 범주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은 인격모독과 폭언/욕설이었으며 인격모독에서는 하대/반말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폭언/욕설에서는 일반적 욕설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특히 전체 언어폭력 사례에서 일반적 욕설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 연구를 통해 비대면 채널 상황에서 발생하는 언어폭력의 유형을 정리하였으며 감정노동자들에게 있어서 언어적 스트레스가 직무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허우성 (2009). 원래 거친 것이 말이다. : 언어폭력의 문제. 철학과 현실, 119-126.
  2. 정달영 (2010). 한국어의 말 (言語) 관련 속담에 나타난 언어 인식. 한민족문화연구, 35, 39-71.
  3. Infante. D, & Wigley, C.(1986). Verbal aggressivenss: an interprersonal medel and measure. Commarication Monograph, 53, 61-69. https://doi.org/10.1080/03637758609376126
  4. 박미애 (2003). 학급내 언어적 폭력의 내용분석: 부산시 남자중학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부산대학교.
  5. 구자관 (2008). 언어폭력이 카지노딜러의 소진,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노조절기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 논문, 경기대학교.
  6. 김현숙 (2009). 일개병원의 특수부서 간호사에서 언어폭력, 사회적 지지와 이직의도의 연관성. 석사학위 논문, 카톨릭대학교.
  7. Infante, D. Sabourin, T. Rudd, J. & Shannon, E.(1990). Verbal aggression in violent and nonviolent marital disputes. Communication Quarterly, 38, 361-371. https://doi.org/10.1080/01463379009369773
  8. Mooney, A., Cresser, R., & Blachford, P(1991). Chidren’s views on teasing and fighting in junior school. Educational Research, 33, 103-110. https://doi.org/10.1080/0013188910330203
  9. Infante, D. Riddle, B., Horvath, C., & Tunlin, S. (1992). Verbal aggressivenss: message and reasons, Communication Quartery, 40, 116-126
  10. Buback III, D. (2004). Assertiveness training to prevent verbal abuse in the OR. AORN journal, 79(1), 147-164. https://doi.org/10.1016/S0001-2092(06)61149-6
  11. 김희정.박득 (2013). 고객센터 상담자의 감정노동에 관한 제언(언어폭력을 중심으로).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1(2), 169-172.
  12. 중앙일보 (2016.10.24.). [세상 속으로] "야, 이XXX" 다짜고짜 욕부터 하는 고객, "이러면…" 경고 뒤 끊자 공손히 다시 전화. https://news.joins.com/article/20762252.
  13. Csikszentmihalyi, M., Larson, R. (1987).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experience-sampling method.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75, 526-536. https://doi.org/10.1097/00005053-198709000-00004
  14. Mishra, C., & Sharma, A. M. (2016). A Review Paper on Voice Analy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Technology and Management, 5-12.
  15. Computaris (2015). Deciphering voice of Customer through Speech Analytics.
  16. 강기수 (2012). 입학사정관 전형 신입생의 대학적응 경험에 관한내러티브 연구. 교육사상연구, 26(1). https://doi.org/10.17283/JKEDI.2012.26.1.1
  17. 김상훈 (2017). 말하는대로 통역에서 비서까지, 음성인식 기술. 융합연구리뷰, 3(6).
  18. Verint,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Pub. no. ; US 2018/0226071 A1)
  19. 인터넷윤리실천협의회 (2012). 인터넷윤리(Second Edition). 이한미디어.
  20. 권정인.이성철.안성진 (2011). 사회현상학 관점에서의 인터넷역기능 분류체계 표준화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4(6),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