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Maker Education Program Utilizing Virtual Reality Creation Platform on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Learning Flow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 플랫폼을 활용한 메이커 교육이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 이민우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김성식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Received : 2020.02.06
  • Accepted : 2020.02.27
  • Published : 2020.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maker education program us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 creation platform o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learning flow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is purpose, we selected a virtual reality content creation platform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n handle and share easily, and analyzed its effectiveness by applying the educational program in which the step-by-step activities of the TMSI model were reconstructed in relation to virtual reality content production education among existing maker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Through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maker education program us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 creation platfor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learning flow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 플랫폼을 활용한 메이커 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생이 다루기 쉽고, 공유가 쉬운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 플랫폼을 선정하고, 메이커 교육 교수·학습 모형 중 TMSI 모형의 단계별 활동을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 교육과 관련지어 재구성한 교육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 플랫폼을 활용한 메이커 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학습몰입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창선.이재환 (2006). 제품디자인의 현실감에 있어 가상현실(VR)의 적합성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1(-), 315-323.
  2. 정현희 (2011). 디지털아트의 수용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경성대학교디지털디자인 전문대학원.
  3. 최인수 (2011). 창의성의 발견. 서울: 쌤앤파커스.
  4. Pantelidis, V. S. (1993). Virtual Reality in the Classroom. Educational Technology, 33(4), 23.
  5. 신인수 (2014). 가상현실을 활용한 목적기반 시나리오 (GBS)에서 아동의 도해력과 흥미의 효과. 석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
  6. 석지영 (2005).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한 과학교육 코스웨어의 개발. 석사학위 논문. 성신여자대학교.
  7. 류철균.안보라 (2009). 어린이용 가상세계의 교육적 특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9(1), 177-186. https://doi.org/10.5392/JKCA.2009.9.1.177
  8. 강인애.김홍순 (2017). 메이커 교육(Maker education)을 통한 메이커정신(Maker mindset)의 가치 탐색,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7(10), 250-267.
  9. 윤혜진 (2018). 디자인 사고기반 메이커 교육 모형 개발. 박사학위 논문. 경희대학교대학원.
  10. Papert, S. (2000). What’sthe big idea? Toward a pedagogy of idea power. IBM systems journal, 39(3.4), 720-729. https://doi.org/10.1147/sj.393.0720
  11. 강인애 외 (2017). 메이커 교육. 서울: 내하.
  12. Martin, L. (2015). The promise of the maker movement for education. Journal of Pre-College Engineering Education Reserch (J-PEER), 5(1), 4.
  13. 최인수 외 (2018). 4차산업 수업혁명. 서울: 다빈치books.
  14. 남충모.김종우 (2018). 초등학생의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교육에 관한 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2(1), 33-40. https://doi.org/10.14352/jkaie.2018.22.1.33
  15. 박찬.김병석.박정민 (2017).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코딩으로 제어하는 가상현실 프로젝트. 서울: 다빈치books.
  16. 강인애 외 (2017). 메이커 교육. 서울: 내하.
  17. 황준원.강인애.최홍순 (2016). 메이커 페다고지 (Maker Pedagogy)로서 TMSI 모형의 가능성 탐색: 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추계학술대회.
  18. 강미정 (2018).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을 위한 체크리스트개발. 석사학위 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19. 조석희 (2002). 간편 창의적 문제해결력 개발 연구(II). 연구자료. 한국교육개발원.
  20. 석임복.강이철. (2007). Csikszentmihalyi의 몰입요소에 근거한 학습몰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공학연구, 23(1), 121-154.

Cited by

  1. 방사선과 학생을 위한 가상현실 교육콘텐츠 개발 및 적용을 통한 학습효과 분석 vol.43, pp.6, 2020, https://doi.org/10.17946/jrst.2020.43.6.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