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elderly's Perceived Health and Social Support on Social Capital Formation

노인의 주관적 건강과 사회적 지지가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 Back, Jeong Man (Dept. of Administration, Dongyang University) ;
  • Jeon, Sang Nam (Dept. of Public Health & Medical Administration, Dongyang University)
  • 백정만 (동양대학교 행정학과) ;
  • 전상남 (동양대학교 보건의료행정학과)
  • Received : 2020.08.07
  • Accepted : 2020.08.28
  • Published : 2020.08.31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perceived health and social support) affecting social capital formation of the elderly. Methods: Samples consisted of 184 people aged over 65 years old in one county of Kyungsangbukdo.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social support(both emotional support and instrumental suppor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economic status. Secondly,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erceived health affected a positive influence on social capital in Model1, which analyzed only perceived health. However, Model2, which analyzed perceived health and social support(emotional support, instrumental support) at the same time, showed that only instrumental support affected social capital formation. Conclusions: It was suggested to develop customized health promotion and job creation are required for social capital formation of the elderly.

Keywords

References

  1. 강윤희, 김미영, 이에리쟈. (2008). 재가노인의 주관적 건강, 일상생활 수행능력. 영양상태간의 관계. 대한간호학회지, 38(1), 122-130. https://doi.org/10.4040/jkan.2008.38.1.122
  2. 고상백, 장세진, 강명근, 차봉석, 박종구. (1997). 직장인들의 건강수준 평가를 위한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 예방의학회, 30(3), 540-554.
  3. 김기홍. (2006). 한국농촌마을 사회자본의 특징에 관한 연구: Trust&Network를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서울: 고려대학교 대학원.
  4. 김태준, 최상덕, 장근영, 이기홍, 전주혜. (2009). 한국의 사회적 자본 실태 분석 연구. 충북: 한국교육개발원.
  5. 김혜연. (2011). 사회적 자본이 지역주민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 민간자원 연계사업 참여 주민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3(3), 1-29.
  6.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7. 선우덕 외 5명. (2014). 노인 보건사업의 현황과 개선방안.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8. 성혜영, 조희선. (2006). Rowe와 Kahn의 구성요소를 활용한 성공적 노화 모델. 한국노년학, 26(1), 105-123.
  9. 손주희. (2017). 노인의 경제적 지위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를 통한 간접효과를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서울: 고려대학교대학원
  10. 신근영. (2016). 노인의 자기효능감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강릉: 가톨릭관동대학교 대학원.
  11. 신학진. (2011). 노인의 사중고가 우울을 매개로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경로당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1(3), 653-672.
  12. 오영은. (2017). 농촌노인의 고독감과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연구: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광주: 전남대학교 대학원.
  13. 이금옥. (2007). 농촌노인의 성공적인 노화요인 구조분석[박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14. 이성균. (2006). 한국 자영업자의 사회적 자본과 소득수준. 한국사회학, 4(5), 178-206.
  15. 이지원. (2017) 초고령사회에 따른 노인건강의료 분야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학연구, 25(4), 181-203.
  16. 이현기. (2010). 노인 자원봉사활동과 사회자본:사회 자본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50, 263-290.
  17. 이현주, 정순둘, 김고은. (2013).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저소득층 노인의 사회적 자본 경험과 의미. 노인복지연구, 60, 143-168.
  18. 이화. (2015). 노년기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스트레스와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 장서진. (2013). 사회자본과 사회적 지지의 지각수준이 치매 예방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문화적 특성인 가족 건강성의 조절효과[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 전길양, 김정옥. (2000). 배우자 사별노인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적응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38(1), 155-170.
  21. 전상남. (2019). 노인의 우울 및 사회적 자본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 20(3), 29-42.
  22. 전상남, 송현종. (2017).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EQ-5D)과 적정수면시간과의 관련성. 대한보건연구, 43(1), 2017.
  23. 조선배. (1996). LISREL 구조방정식 모델. 서울: 영지문화사.
  24. 진재문, 김수영, 문경주. (2017). 노인차별에 대한 사회적 자본의 영향에 관한 연구-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7(2), 135-166.
  25. 최민정. (2015). 중고령 여성의 사회적 자본과 경제적 자본의 관계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35(2), 124-163. https://doi.org/10.15709/HSWR.2015.35.2.124
  26. 최윤정, 박유신, 김찬, 장유경. (2004). 서울 및 경기지역 노인의 건강자가평가에 따른 기능적 건강 및 영양 위험 평가. 한국영양학회지, 37(3), 223-235.
  27. 통계청. (2019). 고령자 통계. 대전: 통계청.
  28. 하성규, 박기덕. (2011). 사회적 자본의 영향요인과 주거공동체 활성화: 서울 아파트단지와 여주농촌 마을 비교 연구. 한국지방자치연구, 12(4), 133-153.
  29. Coleman J.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94-121. https://doi.org/10.1086/229033
  30. Cohen S. (1987). Social support, stress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a theoretical analysis. In A. Baum, (Eds.), Handbook of Psychology and Health (pp. 1-32). New York: Lawrence Erlbaum.
  31. Cohen S, Hoberman HM.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 79-125.
  32. Diener E.(2012). New findings and future directions for subjective well-being research. American Psychology, 69, 851-864.
  33. Farmer MM, Ferraro KF. (1997). Distress and perceived health: Mechanisms of health declin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8(3), 298-311. https://doi.org/10.2307/2955372
  34. Gallagher EN, Vella-Brodrick DA.(2008). Social support and emotional intelligence as predi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4, 1551-1561. https://doi.org/10.1016/j.paid.2008.01.011
  35. Jeon SN, Shin H, Lee HJ. (2012). Dynamics of Constructs in Successful Aging of Korean Elderly: Modified Rowe and Kahn's Model. Osong public health and research perspectives, 3(3), 137-181. https://doi.org/10.1016/j.phrp.2012.07.003
  36. Lin N. (2000). Inequality in Social Capital. Contemporary Sociology, 29(6), 785-795. https://doi.org/10.2307/2654086
  37. Marsden PV. (1987). Core Discussion Networks of American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2(1), 122-131. https://doi.org/10.2307/2095397
  38. Mickelson KD, Laura DK. (2003). Social distribution of social support: The mediating role of life event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2(3), 265-281. https://doi.org/10.1023/B:AJCP.0000004747.99099.7e
  39. Orkibi H, Ronen T, Assoulin N. (2014). The subjective well-being of israeli adolescents attending specialized school class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6, 515-526. https://doi.org/10.1037/a0035428
  40. Putnam R. (1993). The Prosperous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The American Prospect, 13, 35-42.
  41. Rowe JW, Kahn RL. (1997).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37(4), 433-440. https://doi.org/10.1093/geront/37.4.433
  42. Seeman TE, Bruce ML, McAvay GJ. (1996). Social network characteristics and onset of ADL disability: MacArthur studies of successful aging. The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51(4), 191-200.
  43. Smith, AM, Shelley JM, Dennerstein L. (1994). Self-rated health: biological continuum or social discontinuity?. Social Science and Medicine, 39(1), 77-83. https://doi.org/10.1016/0277-9536(94)90167-8
  44. Yoon E, Lee RM, Goh M. (2008). Acculturation, social connected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Cultural Diversity and Ethnic Minority Psychology, 14, 246-255. https://doi.org/10.1037/1099-9809.14.3.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