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the relation between Korean learners' English proficiency and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stressed vowel in a monosyllabic noun to that of the unstressed vowel in an article of the noun phrases (e.g., "a cup", "the bus", etcs.). Generally, the vowels in monosyllabic content words are phonetically more prominent than the ones in monosyllabic function words as the former have phrasal stress, making the vowels in content words longer in length, higher in pitch, and louder in amplitude. This study, based on the speech samples from Korean-Spoken English Corpus (K-SEC) and Rated Korean-Spoken English Corpus (Rated K-SEC), examined 879 English noun phrases, which are composed of an article and a monosyllabic noun, from sentences which are rated on 4 levels of proficiency. The lengths of the vowels in these 879 target NPs were measured and the ratio of the vowel lengths in nouns to those in articles was calculated. It turned out that the higher the proficiency level, the greater the mean ratio of the vowels in nouns to the vowels in articles, confirming the research's hypothesis. This research thus concluded that for the Korean English learners, the higher the English proficiency level, the better they could produce the stressed and unstressed vowels with more conspicuous length differences between them.
본 연구는 기능어인 관사 및 1음절 내용어 명사로 구성된 명사구 내 두 단어의 모음 길이 비율과 영어 능숙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영어와 한국어 발음에 있어서 대표적 차이 중 하나는 발음상의 리듬이라는 특정적인 요소가 규칙적으로 나타나는지 여부이다. 특히 영어 발화시 내용어는 기능어 대비 상대적으로 더 두드러진(prominent) 소리를 가지게 되는데 이는 영어에서 내용어의 경우 강세를 갖게 되나 기능어의 경우 그 강세가 미비하거나 강세를 갖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영어의 내용어 단어 내 모음은 기능어 단어의 모음보다 길게 발음되며, 더 큰 소리로 발화되며, 더 높은 소리를 가지고 리듬을 만들어 내게 된다. 이를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내용어 내 강세를 갖는 모음과 기능어 내 강세를 갖지 않는 모음의 길이 차이에 초점을 두고 유창성이 평가된 L2 영어 음성 코퍼스(Rated K-SEC) 중 한국인 초등학생이 발화한 879(원어민 발화 20개 포함)개의 문장 내 명사구 음성 파일을 연구자료로 사용하였다. 이 879개의 문장은 영어 유창성 평가에 따라 4개의 등급으로 각각 재분류되었으며 이들 문장안에 들어 있는 명사구 내의 관사의 모음 길이와 명사의 모음 길이를 확인하고 그 비율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관사 모음 대비 명사 모음 길이 비율은 영어 능숙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Advanced(2.453)>Intermediate High(1.26)>Intermediate Low(1.034)>Novice(0.857)]. 또한 각 능숙도 그룹 간 내용어-기능어 간 모음 길이의 차이 및 그 비율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p< .001). 이는 한국인 화자의 경우 영어 유창성이 높아질수록 영어 단어 발화 시 명사구 내의 기능어인 관사 모음보다 내용어인 명사 모음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길게 발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