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A wh-phrase in an embedded sentence may have either an embedded or a matrix scope. Interpretation of a wh-phrase with a matrix scope has tended to be syntactically unacceptable unless the sentence reads with a wh-intonation. Previous studies have found two differences in prosodic characteristics between sentences with matrix and embedded scopes. Firstly, peak F0s in wh-phrases produced with an F0 compression wh-intonation are higher than those in indirect questions, and peak F0s in matrix verbs are lower than those in sentences with embedded scope. Secondly, a substantial F0 drop is found at the end of embedded sentences in indirect questions, whereas no F0 reduction at the same point is noticed in sentences with a matrix scope produced with a high plateau wh-intonation. However, these characteristics were not found in our experiment. This showed that a more compelling difference exists in the values obtained from subtraction between the peak F0s of each word (or a word plus an ending or case marker) and the F0s at the end of the word. Specifically, the gap between the peak F0 in a word composed with an embedded verb and the F0 at the end of the word, which is a complementizer in Korean, is large in embedded wh-scope sentences and low in matrix wh-scope sentences.
내포절의 의문사 어구는 모문의 작용역일 경우 의문사 섬 제약을 위배하게 되는 통사 구조를 갖게 된다. 그러나 의문사 억양으로 발화될 경우 이러한 제약을 벗어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남 방언의 경우 모문의 의문문 종결 어미에 따라 모문의 작용역을 갖는 의문문으로 발화되어 고 평탄조나 저 평탄조의 운율 특징을 갖으며, 내포문의 작용역을 갖는 문장의 억양과 다른 패턴을 보인다. 모문의 작용역 문장 발화에서 고 평탄조의 의문사 억양일 경우, 내포문 보문소의 F0가 내포문 작용역에서의 동일 요소보다 높고, 저 평탄조일 경우 의문사의 F0 정점이 내포문 작용역에서보다 높음과 동시에 모문 동사의 F0 정점은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에서 주장한 운율 특징이 경북 방언에서도 동일하게 작동하는지 살펴보고, 모문의 작용역일 경우 의문사 억양의 종류에 따라 두 가지 운율 단서를 분리하여 내포문 작용역 문장과 비교하는 이전 연구와 달리, 의문사 억양의 종류와 관계없이 모문의 작용역인 문장들과 내포문 작용역인 문장들을 구분하는 새로운 하나의 단서를 제시하였다. 고 평탄조나 저 평탄조일 경우라 하더라도 내포문 동사의 F0 정점과 내포문 보문소의 F0 값의 차이는 큰 변화가 없는 반면, 내포문 작용역일 경우 이 값은 큰 차이를 보이게 된다. 또한 모문 동사의 F0 정점과 모문 종결 어미의 F0의 차이도 저 평탄조와 고 평탄조에서 사이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으나 내포문 작용역의 문장 발화에서는 그 값이 크게 나타난다. 결과적으로 작용역에 따른 운율 특징의 차이는 내포 동사와 모문 동사에서 F0 정점과, 내포 동사와 함께하는 보문소, 그리고 모문 동사와 연결된 종결 어미의 F0 값의 차이로 일관되게 설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