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a Model to Predict the Number of Visitors to Local Festivals Using Machine Learning

머신러닝을 활용한 지역축제 방문객 수 예측모형 개발

  • 이인지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전자상거래협동과정) ;
  • 윤현식 (전남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Received : 2020.08.02
  • Accepted : 2020.08.31
  • Published : 2020.09.30

Abstract

Purpose Local governments in each region actively hold local festivals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the region and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Existing studies related to local festival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in tourism and related academic fields. Empirical studie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latent variables on local festivals and studies to analyze the regional economic impacts of festivals occupy a large proportion. Despite of practical need, since few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to predict the number of visitors, one of the criteria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local festivals, this study developed a model for predicting the number of visitors through various observed variables using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and derived its implications. Design/methodology/approach For a total of 593 festivals held in 2018, 6 variables related to the region considering population size, administrative division, and accessibility, and 15 variables related to the festival such as the degree of publicity and word of mouth, invitation singer, weather and budget were set for the training data in machine learning algorithm. Since the number of visitors is a continuous numerical data, random forest, Adaboost, and linear regression that can perform regression analysis among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s were used. Findings This study confirmed that a prediction of the number of visitors to local festivals is possible using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and the possibility of using machine learning in research in the tourism and related academic fields, including the study of local festivals, was captured.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the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is used to predict the number of visitors to the festival to be held in the future, so that the festival can be evaluated in advance and the demand for related facilities, etc. can be utilized. In addition, the RReliefF rank result can be used. Considering this, it will be possible to improve the existing local festivals or refer to the planning of a new festival.

Keywords

References

  1. 권재일, 김한주, "지역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한 지역축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관광레저연구, 제31권, 제1호, 2019, pp. 169-184.
  2. 김경숙, 정의선, "강원 동해안 해수욕 방문객의 수요예측과 정책적 시사," 관광학연구, 제26권, 제1호, 2002, pp. 255-271.
  3. 김근우, "지역축제의 방문동기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청도소싸움축제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제27권, 제4호, 2004, pp. 203-218.
  4. 김기상, 최형일, "퍼지 Adaboost를 이용한 객체 검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5호, 2016, pp. 104-112. https://doi.org/10.5392/JKCA.2016.16.05.104
  5. 김덕현, 유동희, 정대율, "의사결정나무 기법을 이용한 노인들의 자살생각 예측모형 및 의사결정 규칙 개발", 정보시스템연구, 제28권, 제3호, 2019, pp. 249-276.
  6. 김상호, "전남 지역축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을 위한 시군별 투입.산출 모형", 인문사회과학연구, 제14권, 2006, pp. 11-34.
  7. 김석범, 정한규, 황호연, "항공기 날개의 통계적 중량 예측식 도출 연구", 한국항공우주학회지, 제46권, 제1호, 2018, pp. 32-40. https://doi.org/10.5139/JKSAS.2018.46.1.32
  8. 김석우, 기초통계학, 학지사, 2007.
  9. 김선아, 김정원, 원동연, 최예림, "무슬림 관광객 증대를 위한 머신러닝 기반의 할랄푸드 분류 프레임워크", 정보시스템연구, 제26권, 제3호, pp. 273-293.
  10. 김시중, "한국 국제관광수요의 계량경제학적 예측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제17권, 1993, pp. 57-80.
  11. 김연형, "지역문화축제의 지역경제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전주 국제영화제를 중심으로", 응용통계연구, 제21권, 제1호, 2008, pp. 125-140. https://doi.org/10.5351/KJAS.2008.21.1.125
  12. 김영대, 이선영, 이환수, "IT 거버넌스 요인이 지역축제 성과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6권, 제12호, 2018, pp. 1-10. https://doi.org/10.14400/JDC.2018.16.12.001
  13. 김재협, 장경현, 이준행, 문영식, "아이다부스트(Adaboost)와 원형 기반함수를 이용한 다중표적 분류 기법", 전자공학회논문지, 제47권, 제3호, 2010, pp. 22-28.
  14. 김종성, 이준형, 김동현, 최창현, 이명진, 김형수, "머신러닝 기반의 호우피해 발생 확률 예측모형 개발", 한국방재학회논문집, 제19권, 제6호, 2019, pp. 115-127.
  15. 김철원, 이석호, "문화관광축제 육성방안", 한국관광연구원, 2001.
  16. 김학용, 권호종, "문화관광축제의 일몰제 도입에 따른 자생력 강화방안 연구",인문콘텐츠, 제45권, 2017, pp. 173-189.
  17. 류상범, 박정수, "기상통계론", 전남대학교 출판부, 2012.
  18. 문화체육부, "한국의 지역축제", 문화체육부, 1996.
  19. 문화관광부, "문화관광축제 변화와 성과(1996-2005)", 문화관광부, 2006.
  20. 문화체육관광부, "2018년 전국 지역축제 개최 계획", 문화체육관광부, 2018.
  21. 문화체육관광부, "2019년 전국 지역축제 개최 계획", 문화체육관광부, 2019.
  22. 박석희, 이장주, "지역축제의 이미지 측정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진도 영등축제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제22권, 제3호, 1999, pp. 243-261.
  23. 박종부, 이수범, "문화관광축제 서비스품질이 지역브랜드 자산, 지역태도, 지역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축제유형에 따른 다중집단분석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제30권, 제9호, 2018, pp. 401-420.
  24. 서휘석, 이동기, "물리적 환경이 지역축제의 만족과 재방문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제34권, 제1호, 2000, pp. 229-243.
  25. 손종원, 나승화, "지역주민의 축제 참여동기와 만족도가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유통과학연구, 제12권, 제8호, 2014, pp. 103-112. https://doi.org/10.13106/jds.2014.vol12.no8.103.
  26. 신창열, "지역산업연관모델을 활용한 춘천국제레저대회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이벤트컨벤션연구, 제15권, 제1호, 2019, pp. 1-21.
  27. 신창열, "지역축제 개최로 인한 지역경제 파급 효과에 관한 연구: 2019 철원 한탄강 얼음트레킹을 중심으로", MICE관광연구, 제56권, 2019, pp. 199-218.
  28. 신현식, "문화관광축제 스토리텔링 속성 분석에 관한 연구", 인문콘텐츠, 제19권, 2010, pp. 511-532.
  29. 신현식, 김창수, "지역축제 스토리텔링이 축제 매력성과 방문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제26권, 제3호, 2011, pp. 225-244.
  30. 안종윤, "바람직한 관광수요예측방법의 모형정립", 관광연구논총, 제7권, 1995, 5-32.
  31. 엄지영, 윤선영, "축제 이미지가 도시브랜드자산 및 지역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제31권, 제2호, 2016, pp. 131-150.
  32. 오남현, "환경자원을 활용한 지역축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예천군 곤충바이오엑스포 축제를 사례로", 한국비교정부학보, 제16권, 제3호, 2012, pp. 363-382.
  33. 오훈성, "문화관광축제 평가체계 연구(보고서번호: 기본연구 2011-56)",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1.
  34. 오훈성, "문화관광축제 선정의 일몰제 적용에 따른 제도 운영 개선방안 연구(보고서번호: 기본연구 2013-20)",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3.
  35. 유진은, "랜덤 포레스트", 교육평가연구, 제28권, 제2호, 2015, pp. 427-448.
  36. 윤유석, "스토리텔링을 통한 지역 역사인물의 대중화", 인문콘텐츠, 제19권, 2010, pp. 301-325.
  37. 이동훈, 김태형,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대졸 구직자 취업 예측모델에 관한 연구," 정보시스템연구, 제29권, 제2호, 2020, pp. 287-306.
  38. 이경모, "축제시설이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이벤트컨벤션연구, 제2권, 2005, pp. 137-152.
  39. 이준엽, "축제 성공요인에 대한 프리리스팅 연구", 이벤트컨벤션연구, 제31권, 2018, pp. 1-18.
  40. 이충기, "관광응용경제학", 대왕사, 2011.
  41. 이충기, 송학준, 신창열, "BIE Expo 방문객 수요예측", 관광레저연구, 제9권, 제3호, 2007, 263-281.
  42. 이충기, 최영준, "지역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한 보령머드축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관광연구, 제25권, 제5호, 2010, pp. 83-100.
  43. 이충기, 윤설민, "실현율(그루버지수, 자기확신지수)을 이용한 관광 수요 예측: 엑스포 잠재 방문객 사례", 관광학연구, 제36권, 제2호, 2012, pp. 11-29.
  44. 이한성, "농어촌축제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수출기반모형을 이용하여", 지역개발연구, 제47권, 제1호, 2015, pp. 27-39.
  45. 이한성, 이상학, 윤상헌, "농촌축제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의 추정: 하동군 악양대봉감축제를 사례로", 한국지역경제연구, 제35권, 2016, pp. 49-60.
  46. 이환범, 송건섭, "서브퀄(SERVQUAL) 요인을 이용한 지역축제의 서비스질 평가", 한국행정학보, 제36권, 제3호, 2002, pp. 249-268.
  47. 이희찬, 문혜선, "지역축제 시장규모추정 및 수요분석", 관광학연구, 제34권, 제1호, 2010, pp. 277-294.
  48. 정철, 신진옥, 박수지, 송상헌,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관광지 수요 예측: 온라인 검색 엔진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제41권, 제1호, 2017, pp. 13-27.
  49. 조문수, 고승익, 오상운, 고경실, "지역주민의 지역축제 평가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 애착도, 지역축제 영향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제31권, 제4호, 2007, pp. 177-198.
  50. 조용준, "빅데이터 SPSS 최신 분석기법: 신경망, SVM, 랜덤포레스트 편", 한나래출판사, 2018.
  51. 조현상, 이장주, "지역축제의 이미지 특성화에 관한 실증연구: 우리나라 6개 지역축제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제24권, 제1호, 2000, pp. 205-224.
  52. 진이환, "축제방문자의 수요예측방법 비교", 관광연구저널, 제20권, 제1호, 2006, pp. 49-61.
  53. 진이환, "중력모형을 이용한 축제 수요예측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54. 최영문, 김사헌, "연구노트 및 논평: 박스- 젠킨스 방법을 이용한 관광수요 예측: 모형의 진단과 예측", 관광학연구, 제18권, 제1호, 1994, pp. 227-251.
  55. 허명회, 정진환, 이종한, "우도거리에 의한 결정계수 R2에의 통합적 접근", 응용통계연구, 제4권, 제2호, 1991, pp. 117-127.
  56. Marsland, S., "머신러닝 가이드: 파이썬 코드기반(2판, 강전형 역)", 제이펍, 2016.
  57. Bonnin, R., "Machine Learning for developers", Packt, Birmingham 2018
  58. Robnik-Sikonja, M.and Kononenko, K., "An adaptation of Relief for attribute estimation in regression", Machine Learning: Proceedings of the Fourte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ICML'97, 1997, pp. 296-304.
  59. 시사상식사전, 산업연관표 [웹사이트]. (2015). URL: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69046&cid=43667&categoryId=43667
  60. 우리말샘, 텍스트 마이닝 [웹사이트]. (n.d.). URL: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003292&viewType=confi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