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노동시장의 유휴생산능력 추정 및 통화정책에 대한 시사점 분석

Empirical Analysis on Labor Market Slackness and Monetary Policy Implications in Korea

  • 김태봉 (아주대학교 경제학과) ;
  • 이한규 (동덕여자대학교 경제학과)
  • 투고 : 2020.05.12
  • 심사 : 2020.12.15
  • 발행 : 2020.12.31

초록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전통적인 실업률의 유용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으며, 본 연구는 2015년부터 통계청이 공식적으로 발표하고 있는 고용보조지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고용보조지표의 정의를 2003년부터 2014년까지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에 소급 적용하여 고용보조지표를 추산하고, 이를 활용한 노동시장 유휴생산능력 지표에 대한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보완적 고용지표를 활용한 고용률갭이 여타 노동시장 유휴생산능력 지표에 비해 총산출갭과의 상관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인플레이션에 대한 예측력 개선효과도 비교적 뚜렷한 것으로 나타나, 보완적 고용지표를 활용한 고용률 기반 지표의 유용성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doubts have been raised about the usefulness of traditional unemployment rate for the labor market slackness, hence, this study provides alternative indicators that can help estimate the labor market slackness in Korea, and investigates the degree of biasness of traditional indices of Korean labor market. In particular, this study intends to focus on the possibility of employing the labor underutilization index officially announced by Statistics Korea (KOSIS) from 2015. To do this, we first define the labor underutilization indices from 2003 to 2014 by applying current definitions of labor underutilization indices retrospectively to these periods. Based on these indices,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the employment gap using labor underutilization indices is highly correlated with total output gap, and has significantly improved the performance of forecasting inflation rate compared to other labor market slackness indicators.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한국은행 통화정책국의 재정지원을 받아 작성된 것으로

참고문헌

  1. 김대일. 「한계적 경제활동참가자와 실업」. 「한국경제의 분석」 6권 1호, pp. 1-57, 한국금융연구원, 2000.
  2. 김용현. 「유사실업률 추이를 통한 실업률 수준 평가」. 「월간 노동리뷰」 2005년 1월호, pp. 35-44, 한국노동연구원, 2005.
  3. 김기호 . 장동구. 「고용률의 의이와 유용성 분석」. 「경제분석」 11권 2호, pp. 106-135, 한국은행.
  4. 박강우 . 이상우. 「고용 및 노동시장지표의 유용성: 고용지표와 인플레이션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BOK 경제연구」 2013-24, 한국은행, 2013.
  5. 박기성 . 서영빈. 「전일제 환산 취업자 추정 및 분석」, 「KERI Brief」 20-2, 한국경제연구원, 2020.
  6. 정현상. 「노동통계의 국제기준 개정과 고용보조지표」, 「월간 노동리뷰」 2014년 12월호, pp. 42-55, 한국노동연구원, 2014.
  7. 황수경. 「잠재실업의 구조와 규모」. 「월간 노동리뷰」 2009년 4월호, pp. 17-31, 한국노동연구원, 2009.
  8. 황수경. 「실업률 측정의 문제점과 보완적 실업지표 연구」, 「노동경제논집」 33권 3호, pp. 89-127, 2010.
  9. 황수경. 「실업 및 잠재실업의 측정에 관한 연구」, 「정책연구시리즈」 2011-03, 한국개발연구원, 2011.
  10. Bank of England, Inflation Report May 2014 (2014), Bank of England.
  11. Blanchflower, D. G. and A. T. Levin, "Labor Market Slack and Monetary Policy." NBER Working Paper #21094 (2015),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12. Bosler, C., M. C. Daly and F. Nechio, "Mixed Signals: Labor Markets and Monetary Policy." FRBSF Economic Letter 2014-36 (2014), Federal Reserve Bank of San Francisco.
  13. Davidson, R. and J. G. MacKinnon, "Several Tests for Model Specification in the Presence of Alternative Hypothesis." Econometrica 49 (1981): 781-793. https://doi.org/10.2307/1911522
  14. Erceg, C. J. and A. T. Levin,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Monetary Policy in the Wake of the Great Recession." Journal of Money, Credit and Banking 46 (2) (2014): 3-49. https://doi.org/10.1111/jmcb.12151
  15. Gali, J., "Monetary Policy, Inflation, and the Business Cycle: An Introduction to the New Keynesian Framework."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8.
  16. Hornstein, A., M. Kudlyak, and F. Lange, "Measuring Resource Utilization in the Labor Marke.t" Economic Quarterly 100 (1) (2014): 1-21, Federal Reserve Board of Richmond.
  17. Levin, A. T., "The Design and Communication of Systematic Monetary Policy Strategies." Journal of Economic Dynamics and Control 49 (2014): 52-69. https://doi.org/10.1016/j.jedc.2014.09.004
  18. Stock, J. H. and M. W. Watson, "Forecasting Inflation."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44 (1999): 293-335. https://doi.org/10.1016/S0304-3932(99)00027-6
  19. Van Zandweghe, W., "Interpreting the Recent Decline in Labor Force Participation." Economic Review First Quarter 2012 (2012): 5-34, Federal Reserve Bank of Kansas 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