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기록 평가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esearch Records Appraisal Practice of the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ions

  • 안채영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 김지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투고 : 2020.09.29
  • 심사 : 2020.10.23
  • 발행 : 2020.10.31

초록

연구기록은 그 관리의 중대한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연구기록의 정의와 범위, 연구기록의 관리 주체 등 관리의 핵심요소에 대한 논란이 많은 기록유형이다. 연구기록은 관리하기 까다롭다는 이유로 사각지대에 방치되어 왔으나, 이를 잘 관리한다면 나중에 무한한 이차적 활용이 가능한 잠재적 가치가 큰 기록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정부출연연구기관은 연구기관이자 공공기관으로서 이러한 연구기록을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책임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기록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연구기록 평가의 필요성을 환기시키고 국내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 근무하는 기록연구사 11명과 인터뷰를 진행함으로써 정부출연연구기관의 현재 연구기록 관리 및 평가 현황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로 연구기록의 평가의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우선 현행 기록 평가체계의 관점에서 이를 연구기록 평가체계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실효성의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에 연구기록의 특성과 가치를 고려한 평가가 필요하다고 보았으며 연구기록의 평가목적, 평가의 주체, 평가방식, 평가시점, 평가도구 및 평가기준이 지향해야 할 방안을 제안하였다.

Research records are a type of record with a range of controversies over the core elements of management, such as the definition and scope of research records, and who manages research records, despite the critical need for their management. Research records have been neglected in blind spots because it is difficult to manage them, but if well managed, they are evaluated as records with a highly potential value that can be used infinitely later. In particular,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as both research institutes and public institutions, take responsibility for systematic management of these research records. Therefore, as this study noted the necessity of research records appraisal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research records in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and conducted interviews with 11 records managers working at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in Korea,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records management and appraisal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was identified. As a result, improvement measures for research records appraisal was suggested as follows. First of all, in the light of the current public records appraisal system, there is a problem of effectiveness in applying it to the research record appraisal system as it i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an appraisal system appropriate for research records was needed, and proposed plans for improving the research records appraisal system in terms of purposes, authority, methods, time point, tools and criteria for appraisal.

키워드

참고문헌

  1. 국가기록원. 2018. 2019년도 정부산하공공기관 및 대학 기록물관리 지침. 대전: 국가기록원 기록관리지원부 공공지원과.
  2. 강경무, 이상민. 2002. 아카이브와 매뉴스크립트의 선별과 평가. 서울: 진리탐구.
  3. 구찬미. 2018. 과학기술분야 연구기관의 DMP를 적용한 연구기록물 관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9(1), 1-21. https://doi.org/10.14404/jksarm.2019.19.1.001
  4. 구찬미, 김순희. 2017. 기록관리 관점에서 본 연구기록물의 가치와 특성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7(3), 49-70. https://doi.org/10.14404/JKSARM.2017.17.3.049
  5. 김로사, 장우권. 2016. 연구관리기록물 관리 매뉴얼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3), 179-207. https://doi.org/10.14404/JKSARM.2016.16.3.179
  6. 김명훈. 2002. 공공기록물의 평가체제에 대한 이론적 검토 - 선별방식 및 가치 범주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6, 3-40. https://doi.org/10.20923/kjas.2002.6.003
  7. 김명훈. 2009a. 전자기록 환경 하의 현행 평가제도 개선방향 분석 : 평가방식 및 평가 체제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19, 103-151. https://doi.org/10.20923/kjas.2009.19.103
  8. 김명훈. 2009b. 전자기록 평가론. 서울: 진리탐구.
  9. 김명훈, 현종철. 2008. 매뉴스크립트 평가체계 구축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8(1), 45-63. https://doi.org/10.14404/JKSARM.2008.8.1.045
  10. 김수진, 정은경. 2012.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기록물 관리를 위한 수집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4), 109-124.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4.109
  11. 김진묵, 최재황, 곽승진. 2012. 과학기술 분야 콘텐츠 유형별 아카이빙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평가기준의 설정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연구, 43(2), 1-22. https://doi.org/10.1633/JIM.2012.43.2.001
  12. 서은경. 2005. 국립기록원 기록물평가정책 비교분석-영국, 미국, 캐나다, 호주를 중심으로. 정보관리연구, 36(4), 1-22. https://doi.org/10.1633/JIM.2005.36.4.001
  13. 설문원. 2006. 공공업무의 체계적 기록화를 위한 보유일정표 설계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4), 199-219. https://doi.org/10.4275/KSLIS.2006.40.4.199
  14. 설문원. 2013. 단위과제 기반 공공기록물 평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3), 231-254. https://doi.org/10.14404/JKSARM.2013.13.3.231
  15. 설문원. 2015. 로컬리티와 지방기록관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5(4), 151-171. https://doi.org/10.14404/JKSARM.2015.15.4.151
  16. 신동희. 2020. 생산부터 보존까지 기록관리 전반에서 이해하는 기록평가: 미국 뉴욕주 기록관의 사례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20(1), 177-199. https://doi.org/10.14404/JKSARM.2020.20.1.177
  17. 오정훈. 2015. Toc 기반 연구기록물시스템 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학위논문.
  18. 이경래. 2019. 공공기록 평가의 책임과 권한의 분배-'시민참여 평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60, 49-88.
  19. 이미영. 2015. 과학기술분야 연구기록의 평가모형 연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국내박사학위논문.
  20. 이미영. 2016. 처분일정표를 바탕으로 한 연구기록 평가제도 연구 호주,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50, 311-349. https://doi.org/10.20923/kjas.2016.50.311
  21. 이미영. 2017.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기록분류 현황과 개선과제. 기록학연구, 53, 229-259. https://doi.org/10.20923/kjas.2017.53.229
  22. 이미영, 박윤미, 심세현, 김슬기, 김현우, 주미경. 2018. 과학기술분야 연구기관의 공통기능 보존기간기준표 설계 사례.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8(3), 125-143.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3.125
  23. 이상민. 2006. 일제시기 총독부 기록과 도시계획 기록의 평가 혹은 재평가 - 이론적 쟁점과 평가의 실제 -.기록학연구, 0(14), 3-51.
  24. 이원영 역. 2002. 현대기록학개론, 서울: 진리탐구.
  25. 이준석, 김옥주. 2006. 연구부정행위에 대한 규제 및 법정책 연구: 미국 연구진실성관리국(ORI)의 사례를 중심으로, 생명윤리, 7(1), 101-116.
  26. 임나래. 2007. 가치분석에 의한 기록관리 선순환 체계의 모색. 기록학연구, 0(15), 263-306.
  27. 임진희. 2011. 연구 품질 확보를 위한 기록관리 방안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1), 183-206. https://doi.org/10.14404/jksarm.2011.11.1.183
  28. 정경록. 2017. 국가적 차원의 중요기록물 평가.선별을 위한 재평가 방안 연구 -기록물 평가.폐기 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학위논문.
  29. 천권주, 김효민. 2010. 기록물 보존가치 평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육군 특수기록관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23, 46-86.
  30. 황광일. 2019. 직무분석을 통한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역할 및 전문성의 제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학위논문.
  31. Eaker, Chris. 2016. Selection and appraisal of digital research datasets.
  32. Eastwood, Terry. 2004. Appraising digital records for long-term preservation. Data Science Journal, 3, 202-208. https://doi.org/10.2481/dsj.3.202
  33. H.D. Tjalsma, J.P. Rombouts. 2010. Selection of Research Data. Guidelines for appraising and selecting research data. Data Archiving and Networked Services, 2011, 13-14.
  34. ISO/TR 21946:2018 -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Appraisal for managing records.
  35. ISO15489-1:2016 -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Records management - Part 1: Concepts and principles.
  36. JL Faundeen, LR Oleson. 2007. Scientific Data Appraisals: The Value Driver for Preservation Efforts.
  37.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5. Preserving scientific data on our physical universe: A new strategy for archiving the nation's scientific information resource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39.
  38. Niu, Jinfang. 2014. Appraisal and selection for digital cur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Curation, 9(2), 65. https://doi.org/10.2218/ijdc.v9i2.272
  39. Piwowar, H. A. 2008. Proposed Foundations for Evaluating Data Sharing and Reuse in the Biomedical Literature. Bulletin of IEEE Technical Committee on Digital Libraries, 4(2).
  40. Schurer, K., D, Donakowski, & Hilary Beedham. 2004. The selection, appraisal, and retention of social science data. Data Science Journal, 3, 209-221. https://doi.org/10.2481/dsj.3.209
  41. Whyte, Angus & Andrew Wilson. 2010. How to appraise and select research data for curation: A digital curation centre and australian national data service "working level" guide. Site Du Digital Curation Centre.
  42.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43.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4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45.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46.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http://www.alio.go.kr/home.do

피인용 문헌

  1. 기록되기 전엔 알 수 없는 것들 vol.67, 2020, https://doi.org/10.20923/kjas.2021.68.107